• 제목/요약/키워드: Sun-dried

검색결과 663건 처리시간 0.037초

전처리 및 건조방법에 따른 곶감의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in Dried Persimmons Processed by Different Pretreatment and Drying Method)

  • 문광덕;김종국;손태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31-335
    • /
    • 1993
  • 건시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국내 유명산지의 건시를 시료로 하여 건시의 제조시험과 품질평가에 관한 기초자료로서 그 품질요소를 조사하였다. 건시의 수분함량은 30-36%였으며, 탄닌함량은 0-20%로 무처리구는 $CO_2$와 alcohol 처리구보다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전당함량은 55-60%였고 그 구성은 glucose와 fructose로 구성되어 있었다. 열풍건조에 의한 건시의 제조는 천일건조보다 그 품질이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으며 특히 slice 한 제품의 품질은 전과의 경우보다 비교적 우수하였다.

  • PDF

Comparative Antioxidant Enzyme Activity of Diploid and Tetraploid Platycodon grandiflorum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Boo, Hee-Ock;Shin, Jeoung-Hwa;Kim, Young-Seon;Park, Hee-Jeong;Kim, Hag-Hyun;Kwon, Soo-Jeong;Woo, Sun-He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89-396
    • /
    • 2013
  • The antioxidant enzyme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variations in drying methods of diploid and tetraploid in Platycodon grandiflorum were determine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were measured as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peroxidase (POX), and ascorbate peroxidase (APX).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were freeze-dried, indoor-dried, hot-air dried, and microwave dried. The root extract of P. grandiflorum have shown the highest SOD enzyme activity of 92% in tetraploid of freeze-dried and indoor-dried while diploid of microwave dried showed the lowest SOD enzyme activity of 47.5%. The activity of CAT showed higher values in the root of tetraploid than in the diploid of P. grandiflorum in all drying methods. The APX activity showed relatively higher values in the root extract of freeze-dried both the diploid and tetraploid, but the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other extracts was not significant. The POX activitie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f diploid and tetraploid in P. grandiflorum showed relatively high values in freeze-dried and indoor-dried compared with other drying methods, and the POX activity between the diploid and tetraploid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drying metho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variation in drying methods of diploid and tetraploid in P. grandiflorum was the highest in the freeze-dried, and was higher in tetraploid than diploid in all the concentrations. In conclusion, the root of P. grandiflorum had the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in both diploid and tetraploid. In particular, the tetraploid root of P. grandiflorum showing high antioxidant enzyme activity could be good materials for development of source of functional healthy food.

시판 마른청어(Clupea pallasi) 및 마른멸치(Engraulis japonicus)의 위생 특성 비교 및 품질기준 제시 (Sanitary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Boiled-dried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 and Boiled-dried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nd Proposal of Quality Standards)

  • 강상인;이수광;김용중;김민주;박선영;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604-613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food quality of commercial boiled-dried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 as a substitute for boiled-dried anchovy. Standards for controlling quality of boiled-dried Pacific herring were suggested based on international (US FDA and CODEX) and domestic (Korean FDA, Standards on Quality of Seafood and Seafood Products, KS) standards for boiled-dried anchovy. The standards included requirements for moisture [less than 30% (less than 35 in very tiny sizes)], water activity (less than 0.85), salinity (less than 10%), water-phase salt (less than 20%), acid-insoluble ash (less than 1.5%), yeast and mold (fewer than 1.0×103 CFU/g), and different size and breakage (less than 5%). Based on the standards suggested, commercial boiled-dried Pacific herring passed nine levels (all levels) in water activity, acid-insoluble ash, mold and yeast concentrations; seven levels (L-1, 2, 3, 4, M-1, 2, S) in water-phase salt, and three levels (L-1, 3, 4) in the ratio of different size and breakage categor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quality of commercial boiled-dried Pacific herring is similar to that of commercial boiled-dried anchovy.

냉풍건조 멸치의 식품성분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old Air Dried Anchovies)

  • 김인수;이태기;염동민;조문래;박해욱;조태종;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73-980
    • /
    • 2000
  • 냉풍건조 멸치의 품질가치를 검토하기 위하여 냉풍건조 멸치의 식품학적 품질 특성을 천일건조 멸치 및 열풍건조 멸치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냉풍건조 멸치의 경우 열풍건조 멸치나 천일건조 멸치 에 비하여 과산화물 값은 낮았고, 고도불포화지방산 잔존율은 높아 건조 중 지질산패가 가장 적게 진행되었다. 냉풍건조 멸치는 천일건조 멸치 및 열풍건조 멸치에 비하여 L값의 경우 높았고, a값 및 b값의 경우 낮아, 냉풍건조 멸치가 기타 건조법으로 제조한 멸치에 비하여 색상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었다 색도, 산패취 및 형상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냉풍건조 멸치가 기타 건조법으로 제조한 마른 멸치보다 품질이 우수하였다. 냉풍건조 멸치는 칼슘 및 인과 같은 무기질과 구성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천일건조 멸치 및 열풍건조에 비하여 차이 없이 풍부하면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는 이들 멸치보다 오히려 약간 높아, 천일건조 멸치에 비하여 건강 기능적인 면에서 약간 우수하리라 판단되었다. 맛 및 엑스분 추출정도를 알 수 있는 열수 가용성 질소함량은 냉풍건조 멸치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천일건조 멸치, 열풍건조 멸치의 순이었다. 이상의 화학적(지질산패 정도, 맛 및 영양특성) 및 관능적(색도, 산패취, 형상등)검사로 미루어 냉풍건조 멸치가 기존의 천일건조 멸치 및 열풍건조 멸치에 비하여 우수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명태육 건조중의 formaldehyde 및 amine 류의 변화 (CHANGES IN CONTENTS OF FORMALDEHYDE AND AMINES IN ALASKA POLLACK MUSCLE DURING DRYING)

  • 안철우;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8
    • /
    • 1978
  • 북양산 냉동명태를 시료로 하여 이것을 일건, 열풍건조 및 염건을 하였을 때의 육중의 FA, TMAO, TMA 및 DMA의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1. TMAO의 함량은 열풍건조품이 가장 적어 생시료때의 약 $60\%$에 지나지 않았고, 다음이 염건품이며, 일건품은 생시료때의 약 $72\%$함량으로 잔존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온건품에 있어서 육중의 염분량을 공제한 무염물로 환산하는 경우는 생시료때의 $92\%$함량으로 가장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2. TMA의 함량은 염건품이 생시료 때의 2.3 배함량(무염물로서는 3.5배량)을 보여 가장 증가율이 적었고, 다음이 일건품이였으며, 열풍건조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42배함량을 나타내어 월등히 많았다. 3. DMA의 함량은 열풍건조품과 염건품에 있어서는 각각 생시료 때의 10배량정도를 나타내었고, 일건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16배량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염건품에 있어서 무염물로 환산하는 경우는 생시료 때의 15배량으로 일건품과 비슷한 값을 보였다. 4. FA의 함량은 일건품에서는 생시료 때의 1.3배량, 염건품에서는 2.5배량(무염물로 환산)으로 증가한 반명, 열풍건조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83\%$ 함량으로 오히려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5. 전반적으로 FA 함량과 아민류의 함량을 비교하여 보면 FA함량이 많은 시료에는 DMA함량도 많은 대비하여, TMA함량이 많은 시료에는 FA함량이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오징어 건조 및 조리 중 콜레스테롤 산화물 생성 (The Formation of Cholesterol Oxidation Products during Its Drying and Cooking in Squid)

  • 양승미;신정혜;강민정;김태훈;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73-578
    • /
    • 2001
  • 오징어의 건조방법이나 조리방법에 따라 콜레스테롤, malonaldehyde 및 콜레스테롤 산화물을 HPLC로 분석한 결과 콜레스테롤은 생시료 634mg/100g에 비해 건조 시료에서는 약 23.5%나 감소하였으며, 가열 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조리방법에 관계없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천일건조후 증숙한 시료는 생시료에 비해 49.4%까지 감소한 반면에 malo-naldehyde는 생시료 12.7$\mu\textrm{g}$/100g에 비해 건제품에서는 약 2.1배 증가하였고, 조리 중에도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콜레스테롤 산화물은 건조중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7-ketocholesterol과 7$\alpha$-hydro-xycholesterol의 경우는 천일 건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에. 7$\beta$ 및 25-hydroxycholesterol은 열풍건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리중 콜레스테롤산화물은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천일건조 후 증숙한 시료의 25-hydroxycholesterol은 2.5$\mu\textrm{g}$/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천일건조 후 전자레인지로 조리한 시료의 7 $\alpha$-hydroxychole-sterol은 127.3 $\mu\textr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 PDF

다양한 염을 첨가한 쑥두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gwort-Tofu with Various Salts)

  • 백용규;김성훈;박인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307-1311
    • /
    • 2008
  • 두부 제조 시 응고제로 $CaCl_2$을 사용하고, 두부에 간을 배게 하여 두부의 맛에 대한 품질향상을 목적으로 정제염, 천일염, 죽염, 심층해염을 첨가한 실험군 쑥두부와 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쑥두부의 수율, 일반성분, 조직감 측정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천일염, 죽염, 심층해염을 첨가한 쑥두부의 수율은 $202.29%{\sim}207.50%$로 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수율 185.1%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높았다. 그리고 조지방, 조단백질, 조회분의 함량은 다양한 염을 첨가한 실험군 쑥두부가 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높게 나타났다. 조직감 측정에서는 hardness와 gumminess에서 실험군 쑥두부가 대조군 쑥두부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값을 보였지만 brittleness와 cohesiveness, chewiness에선 유의적인 차이점을 찾지 못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경도와 탄력성에선 유의적인 차이점이 없었지만 짠맛, 구수한 맛, 씹힘성, 전체적 기호도에선 대조군 쑥두부보다 염을 첨가한 실험군 쑥두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특히 죽염 쑥두부와 심층해염 쑥두부에서 두부 맛에 영향을 미치는 구수한 맛과 전체적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건조방법에 따른 복분자 분말의 갈변 및 흡습 특성 (Browning and Moisture Sorption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Prepar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정헌식;성종환;이영근;김한수;이주백;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797-803
    • /
    • 2009
  • 건조방법이 복분자 분말의 갈변 및 흡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신선 복분자를 천일, 적외선 및 동결 건조한 다음 분쇄하고 이 분말의 색도와 수분활성도 ($a_w$) 0.11-0.90 범위에서 평형수분함량(EMC)을 각각 측정하였다. 갈변지표인 $L^*$값과 $a^*$값은 동결 건조한 복분자 분말이 다른 방법으로 건조한 분말보다 높고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황색도인 $b^*$값은 동결 건조 분말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EMC는 $a_w$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0.75 $a_w$ 이상에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동일한 $a_w$에서 분말의 EMC는 동결건조품이 천일과 적외선 건조품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복분자 분말의 흡습곡선은 전형적인 sigmoid 형태를 보였고, 천일건조 분말은 Halsey model, 적외선 건조 분말은 Kuhn model, 그리고 동결 건조 분말은 Oswin model이 적합도가 가장 높았다.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GAB 방정식으로 설명 할 수 있었으며, 적외선 건조 분말에서 0.005 g $H_2O/g$ dry solid, 천일 및 동결 건조 분말에서 0.019 g $H_2O/g$ dry solid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로써 건조방법은 복분자 분말의 갈변과 흡습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공조건과 천연항균제의 처리가 황태양념구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and Natural Antimicrobial Materials on Quality of Freeze-dried, Seasoned and Roasted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 조순영;심재만;최용석;김옥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37-441
    • /
    • 2003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and natural antimicrobial materials on quality of freeze-dried, seasoned and roasted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The optimum dipping time and moisture contents of freeze-dried Alaska pollack were 1 sec in $1\%$ salt solution, $48.6\%$ respectively. The freeze-dried, seasoned and roasted Alaska pollack product showed high sensory value. As sterilization time increased over 30 mins in water bath at $100^{\circ}C$ the browning degree of the freeze-dried, seasoned and roasted Alaska pollack product increased. Among various antibrowning agents, $3\%$ corn starch was better in preventing browning than sporix treatment. The freeze-dried, seasoned and roasted Alaska pollack product added with lactate Ca and catechin had the antimicrobial, and the VBN contents of the product showed low level.

Apparent Digestibility, Nitrogen Balance, Ruminal Microbial Nitrogen Production and Blood Metabolites in Thai Brahman Cattle Fed a Basal Diet of Rice Straw and Supplemented with Some Tropical Protein-rich Trees

  • Jetana, Thongsuk;Vongpipatana, Cheerapath;Thongruay, Sirima;Usawang, Sungworn;Sophon, Sunpet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465-474
    • /
    • 2010
  • The effects of four types of tropical protein-rich trees on nutrient digestibility, nitrogen (N) balance, urinary purine derivative (PD) excretion and blood metabolites in four Thai Brahman cattle (290${\pm}$2.5 kg) were studied. The animals were fed twice daily, with each feeding consisting of 1 kg (fresh weight) rice straw and one of the four dietary supplements: i) 1.98 kg oven-dried rain tree pods (RTP) and 20 g premix (RTPP), ii) 980 g RTP and 1 kg sun-dried leucaena leaves and 20 g premix (LLRT), iii) 980 g RTP and 1 kg sun-dried cassia leaves and 20 g premix (CLRT) and iv) 980 g RTP and 1 kg sun-dried mulberry leaves and 20 g premix (MLRT). The apparent dry matter (DM) and organic matter (OM) digestibilities were higher (p<0.05) in cattle fed the CLRT supplement than in those fed the other supplements, whilst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neutral detergent fibre (NDF) was higher (p<0.05) in cattle fed the CLRT and MLRT supplements than in those fed the other supplements. The N-balance of cattle fed LLRT and CLRT supplements was higher (p<0.05) than in cattle fed RTPP and MLRT supplements, whilst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N was highest (p<0.05) in cattle fed RTPP supplement, compared to the other supplements. Allantoin and PD excretion in the urine, and the ratios of allantoin/DOMI and PD/DOMI were higher (p<0.05) in cattle fed RTPP and MLRT than for those fed LLRT and CLRT supplements. Plasma ${\beta}$-hydroxy butyrate (${\beta}$-HBA) and insulin concentrations were higher (p<0.05) in cattle fed RTPP supplement than in those fed the other supplements. The study demonstrated the value of using local multipurpose trees (MPTs) to improve Brahman cattle feeding systems in the trop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