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mmer type

검색결과 704건 처리시간 0.028초

영남지방(嶺南地方) 축우(畜牛) 간질충(肝蛭蟲)의 감염율(感染率) 및 간질충(肝蛭蟲)의 형태(形態)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infectious. rate and morphology of Fasciola species of Korean native cattle in Young Nam district)

  • 김화식;박준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2-45
    • /
    • 1967
  • From April to May 1967 3,275 Korean native cattle slaughtered at Taegu public slaughter house were investigated for infection rate of faciola and 222 adult fasciola species taken from the bile duct, of the patients were examined for morphological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3,275 Cattle 1,099 Cattle (32.5%) were infected with fasciola species. 2. Seasonal changes of infection rate were 34.7%(Winter). 33.2%(Spring), 30.9%(fall) and 29.1%(Summer). 3. Three different species(large, small and intermediate type) of fasciola were detected from the patients. These large, small and intermediate types were identified morphologically with fasciola gigantica, fasciola hepatica and fasciold indica respectivelly. Distribution of these three kind, were 52.4%(intermediate type), 28.4%(Small type) and 19.0%(large type).

  • PDF

여름철 기후변화에 따른 태양광 모듈별 특성에 관한 연구 (Summer, A Study on Characteristic by Photovoltaic Module by Climate Fluctuation)

  • 최홍규;최신권;최대원;이근무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75-8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동일한 환경에 설치되어 있는 247.5[kW] bulk형 모듈과 a-Si형 모듈의 6월 발전량을 조사 분석하여 기상조건(일조량, 평균기온, 강수량, 운량, 풍속 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최근 지구온난화 등으로 인한 기후변화에 따라 보다 고효율적인 모듈 산정방안을 제시하였다.

어리장 형태와 계절이 육계 출하환경 및 폐사에 미치는 영향 (A Survey on the Effect of Crate Type and Harvest Season on Preslaughter Condition and Mortality of Broiler)

  • 김동훈;박범영;황인호;조수현;김진형;이종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7-42
    • /
    • 2006
  • 이 연구는 어리장 형태와 계절이 출하환경 및 폐사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출하 중 폐사에 의한 경제적 손실을 예방하고 관련 시설 개선을 위한 정책적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관리실태는 출하관리환경이 다른 2계열 업체의 관리대장을 입수하여 1, 4, 8, 10월 첫째주 1주일분에 대해 적재중량, 수송밀도, 수송 및 계류시간, 폐사율 등을 분석하였다. 두 업체의 평균 적재중량, 수송시간, 계류시간 및 폐사율은 각각 3.9 톤, 96 분, 478 분 및 0.6%이었다. 상자형과 컨테이너형 어리장의 수송중 폐사율은 각각 0.5와 0.6%로 컨테이너형이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적재중량 및 수송밀도($cm^2/kg$)또한 컨테이너형이 상자형에 비해 많고 높았다. 출하계절별 폐사율은 봄, 겨울이 각각 0.7, 0.8%로 여름, 가을의 0.5%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어리장 형태와 출하계절에 따른 폐사율은 상자형의 경우 봄, 겨울이 각각 0.8, 0.7%로 여름, 가을의 0.3, 0.4%에 비해 높았다. 컨테이너형은 봄, 가을, 겨울의 폐사율이 각각 0.7, 0.5, 0.8%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봄과 여름, 여름과 가을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출하 후 육계의 폐사율은 컨테이너형, 상자형이 비슷하였으며 계절은 봄, 겨울이 여름, 가을에 비해 높았다. 이는 다른 계절에 비해 계류장에서의 대기시간이 길고 가온시설이 없어 동사한 닭이 많기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코이어 배지 수경재배에서 정식방법이 파프리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planting Methods on Growth and Yield of Paprika in Coir Culture)

  • 김초희;이창희;권오열;안철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1-287
    • /
    • 2014
  • 파프리카 정식방법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늦은 겨울에 파종하여 여름에 수확하는 여름재배와 여름에 파종하여 초겨울부터 수확하는 겨울재배의 두 재배작형을 시험하였다. 대조구는 10cm 암면블록에서 본엽이 8매정도 전개되었을 때 정식하였고, 어린묘 정식은 7cm 블록에서 본엽 2-3매에 정식하였다. 가정식 후 정식 처리는 10cm 암면블록에 이식한 묘를 재배용 배지 위의 받침대 위에 올려 본엽이 8매가 전개되도록 2-3주 동안 육묘한 뒤 정식하였고,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는 본엽 2-3매 묘를 재배용 배지에 구멍을 내고 U자로 구부려 정식하였다. 초장은 대조구와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에서 길었고 가정식 후 정식처리가 짧았다. 잎 크기는 여름과 겨울재배 모두에서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과 어린묘 정식 처리에서 컸고, 가정식 후 정식처리가 작았다. 엽수는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가 많았고, 가정식 후 정식 처리가 적었다. 과실크기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지만, 평균 과중은 겨울재배에서는 가정식 후 정식처리가 낮았고, 여름재배에서는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과 가정식 후 정식처리에서 낮았다. 상품과수는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가 가장 많았고 가정식 후 정식처리에서 적었다. 상품률은 겨울재배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여름재배에서는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대조구에서 낮은 경향이었다. 수량은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과 어린묘 정식 처리가 높았고, 가정식 후 정식처리가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무블록 배지 직접 처리가 대조구에 비해 초기 활착이 빨라 생육이 왕성하였고, 이로 인해 1그룹 수량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암면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배지에 직접 정식함으로써 암면 블록 비용 절감과 육묘에 드는 노력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토마토 여름 육묘시 어린묘 정식과 육묘방법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ling Type and Early Transplanting of Summer Grown Seedl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Tomato)

  • 이희경;이문행;박권서;이은모;전낙범;서상덕;조평화;김영식;김성은;조숙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9-66
    • /
    • 2015
  • 고온기 토마토 육묘 시 발생하는 묘의 도장 및 연약화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어린 묘 정식과 육묘방법에 따른 토마토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고온기인 7월 20일부터 9월 7일까지 실생묘, 삽목묘, 접목묘로 육묘하였고 어린 묘는 다른 묘보다 20일 정식하였다. 어린묘의 묘소질은 다른 묘에 비해 연약했으며 생체중은 실생묘보다 1/10 정도로 적어 큰 차이를 나타냈다. 정식 20일 후의 어린 묘의 생육은 다른 육묘방법에 비해 양호하였고 생체중은 36.1 g으로 실생묘에 비해 약 3배 정도 증가되었다. 정식 2개월 후의 어린 묘에서 이상줄기는 발생하지 않았고 화방출현도 빨랐다. 어린 묘에서 총 수량과 상품수량이 각각 8,535 kg/10a, 7,575 kg/10a로 가장 많았다. 과실품질은 어린 묘와 육묘방법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상의 결과로 판단해 볼 때 토마토 고온기 육묘 시 어린 묘를 정식함으로써 생육을 촉진하고 과실 수확량을 높여 토마토를 안정적으로 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강 수계 주요 인공댐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of Major Dam Reservoirs in Han River System)

  • 윤석제;박혜경;신경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17-325
    • /
    • 2010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hydrological and physical-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in major five dam reservoirs in the Han River water system. Annual average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Lake Paldang, Lake Cheongpyeong and Lake Doam was higher than that of Lake Chungju and Lake Hoengseong. The opposite seasonal variation patterns of phytoplankton growth were observed in dam reservoirs; the highest biomass in spring of dry season in Lake Paldang, Lake Cheongpyeong which are the river-type reservoirs and Lake Doam where turbidity was high throughout the year, and in summer and autumn of rainy season in Lake Chungju and Lake Hoengseong which are the lake-type reservoirs, indicating that the seasonal pattern for growth of phytoplankton in on-river reservoirs is mainly determined by hydrologic characteristics. The dominant species of phytoplankton in Lake Paldang, Lake Cheongpyeong and Lake Doam, where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was relatively high, were Bacillariophyceae such as Stephanodiscus hantzschii,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in Lake Paldang and Lake Cyeongpyeong and Nitzschia spp. in Lake Doam throughout all season. The dominant species of phytoplankton in Lake Chungju and Lake Hoengseong which showed the oligo-mesotrophic state, were Bacillariophyceae such as Stephanodiscus hantzschii, Cyclotella pseudostelligera in spring and winter, but Cyanophyceae such as Microcystis spp. in summer.

팔당호와 청평호 퇴적물에서 영양염류 용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Release Rate of Nutrients from Sediment in Lake Paldang and Lake Cheongpyeong)

  • 이규;최명재;박혜경;이장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42-749
    • /
    • 2009
  •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utrient release from the sediments in two reservoirs, Lake Paldang and Lake Cheungpyeung, we analyze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ediments and calculated the nutrient release rates from the sediments. The particle properties of sediments in Lake Paldang changed from silt to sand after summer rainy season, especially in the water area of the Kyeungan River where the water depth was shallow and the width of river was narrow. The sediments in Lake Cheungpyeung had higher contents of silt and clay than in Lake Paldang, and the particle size was not much different before and after rainfall. The release rates of nutrients in two lakes varied with the kind of nutrients and the season. The release rates of DTN and ${NH_4}^+-N$ in Lake Paldang were faster in spring than autumn. But the Lake Cheungpyeung showed similar values of release rates before and after summer rainy season. ${NO_3}^--N$ and phosphorous were not released from sediments or were absorbed into sediments all the time in two lakes. Compared with other lakes, the sediments of two lakes consisted of bigger particles and had a lower organic matters content than other lake-type reservoirs. Due to the short hydraulic retention time and no stratification throughout the year in Lake Paldang and Lake Cheungpyeung, the release rates of nutrients from sediment in these reservoirs were lower than other lakes and this seems to be a typical characteristic of river-type reservoirs.

다양한 사무실 실내환경에서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분포 특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Indoor Air of Various Office Environments)

  • 백성옥;전찬곤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77-491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oncentration vari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the office environments located in a large urban area with respect to seasonality, smoking status, types of ventilation and heating. Indoor air sampling was undertaken in 37 and 30 offices in Daegu city during summer and winter, respectively. The VOC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dsorbent tubes, and were determined by thermal desorption coupled with GC/MS analysis. The analytical method was validated for repeatability, method detection limits (MDL), and duplication precision. A total of 34 VOCs of environmental concern were determined, including 15 aromatics and 19 halogenated hydrocarbons. Average concentrations of BTEX appeared to 1.91 ppb, 22.98 ppb, 3.44 ppb, and 3.70 ppb,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relatively higher levels than those measured at homes and outdoor roadsides reported by other researches. In general, the concentrations of VOCs were higher in winter than summer, in smoking offices than non-smoking offices, in forced ventilation type than natural ventilation type, and in combustion heating than non-combustion heating offices. However, such differences were not always significant at a level of 0.05 by statistical tests (t-test and/or Mann-Whitney test) with some exceptions for BTEX and styren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moking status, ventilation type and presence of combustion sources indoors could be important factors on the elevated concentrations of some VOCs in the office environment.

Descriptive Study of Occupational Accidents and their Causes among Electricity Distribution Company Workers at an Eight-year Period in Iran

  • Rahmani, Abdolrasoul;Khadem, Monireh;Madreseh, Elham;Aghaei, Habib-Allah;Raei, Mehdi;Karchani, Mohse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4권3호
    • /
    • pp.160-165
    • /
    • 2013
  • Background: Occupational accidents are unplanned events that cause damage. The socio-economic impacts and human costs of accidents are tremendous around the world. Many fatalities happen every year in workplaces such as electricity distribution companies. Some electrical injuries are electrocution, electric shock, and burn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electricity distribution company (with rotational 12-hour shift work) in Iran during an 8-year period to survey descriptive factors of injuries. Methods: Variables collected included accident time, age of injured worker, employment type, work experience, injury cause, educational background, and other information about accidents.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most of the accidents occurred in summer, and 51.3% were during shift work. Worker negligence (malpractice) was the cause of 75% of deaths. Type of employment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ype of injuries (p < 0.05). Most injuries were electrical burns. Conclusion: High rate of accidents in summer may be due to the warm weather or insufficient professional skills in seasonal workers. Shift workers are at risk of sleep complaints leading to a high rate of work injuries. Acquiring knowledge about safety was related to job experiences. Temporary workers have no chance to work all year like permanent workers, therefore impressive experiences may be less in them. Because the lack of protective equipment and negligence are main causes of accidents, periodical inspections in workshops are necessary.

Palmes tube를 이용한 도시 주택의 옥내외 $NO_2$ 농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Level of $NO_2$ Inside and Outside Urban Homes by Palmes Tube)

  • 김용완;배기택;김성천;문덕환;이종태;김준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9권1호
    • /
    • pp.31-44
    • /
    • 1986
  • 연자들은 동하계의 실내의 공기오염의 주인자 가운데 하나인 $NO_2$에 대하여 주택의 종류(아파트, 독립주택)와 취사용 주연료의 종류(연탄, 가스)별로 부산지역의 110개 주택을 대상으로 주택 옥내 (부엌, 거실, 침실)와 옥외의 농도를 각각 산정하여 현재의 $NO_2$ 오염정도를 파악함은 물론 실내 $NO_2$농도와 부엌환기, 가족수, 흡연등과의 관련성 및 $NO_2$의 영향(천식)에 관한 기본적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NO_2$에 의한 인체장해 예방을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1984년 10월부터 1985년 9월까지 1년간이었으며, $NO_2$측정은 Palmes method에 의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계 도시 주택의 옥내외 $NO_2$의 평균농도는 부엌 0.029($0.010{\sim}0.085$)ppm, 거실 0.022$(0.005{\sim}0.056)$ppm, 침실 0.017$(0.005{\sim}0.055)$ppm 및 옥외0.021$(0.007{\sim}0.055)$ppm등이었고, 하계에는 부엌 0.022$(0.005{\sim}0.063)$ppm, 거실 0.018$(0.005{\sim}0.056)$ppm, 침실 0.016$(0.004{\sim}0.057)ppm$ 및 옥외 0.016$(0.004{\sim}0.038)$ppm등으로 동하계 공히 부엌내 농도가 최고이었으며 하계보다 동계에 비교적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2) 주택과 취사용 주연료의 종류별 도시 주택 옥내외 $NO_2$ 평균농도는 동계의 경우 연탄을 주로 사용하는 아파트군에서 그리고 하계에는 가스를 사용하는 아파트군에서 각각 최고이었다. 3) 주택의 종류별 도시 주택의 옥내외 $NO_2$의 평균 농도는 동하계 공히 독립주택군에 비하여 아파트군에서 비교적 높았다. 4) 취사용 주연료의 종류별 도시 주택 옥내외 $NO_2$의 평균농도는 동계에는 연탄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 그리고 하계에는 가스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에서 각각 비교적 높았다. 5) 부엌 환기 여부, 가족수, 부모의 흡연여부 및 소아 천식병력 유무에 따른 도시 주택 실내 $NO_2$의 평균 농도는 각 속성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보였으나 대부분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