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ur extract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2초

오미자 추출물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구취억제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oral Malodor Efficacy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against Oral Pathogens)

  • 허남숙;최혜정;황수미;최영환;이영근;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43-447
    • /
    • 2013
  • 본 연구는 오미자 추출물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구취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오미자 MeOH 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eOH 추출물의 EA 분획물은 Streptococcus mutans, S. sanguinis, S. salivaris subsp. thermophols 그리고 Porphyromons gingivalis에 대한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미자 2% MeOH 추출물의 항구취 효과를 oral chroma를 이용한 실제실험에서 측정한 결과,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그리고 황화디메틸을 각각 91.15, 78.72 그리고 71.58% 감소시키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오미자 추출물은 몇몇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휘발성 화합물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오미자의 추출물은 항균용 합성약품과 구강위생용품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판단된다.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자몽종자추출물과 법제유황수의 항균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 and Processed Sulfur Solution against Human Skin Pathogens)

  • 하유미;이보배;배희정;제경모;김순래;최재석;최인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4-100
    • /
    • 2009
  • GSE와 PSS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를 개발하기 위해, 평판 배지확산법 및 액체배지감수성실험을 이용하여 GSE와 PSS의 비듬균(Malassezia furjur, M. restricta),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 및 무좀균(Trichophyton mentagrophytes, T. rubrum)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평판 배지확산법의 경우 GSE가 $10{\mu}l/disk$일 때 M. furfur, M. restricta. P. acnes, T. mentagrophytes 및 T. rubrum은 각각 1.0, 1.0, 12.0, 15.0, 15.0 mm 였으며, PSS가 $10{\mu}l/disk$일 때에는 각각 7.3, 5.7, 2.0, 0 mm 이었다. 또한 액체배지감수성실험에서 GSE에 대한 MIC 값은 각각 3.91, 3.91, 0.004, 0.024, $0.012{\mu}l/ml$ 이었으며 PSS에 대한 MIC 값은 각각 0.03, 0.03, 0.156, 0.003, $0.012{\mu}l/ml$이었다. 또한 GSE 와 PSS가 함유된 에멀전 시제품을 제조하여 농도별 평판배지확산법을 수행한 결과 그 결과 값은 0.5% 농도에서 각각 5.2, 4.3, 8.0, 9.5, 12.8 mm의 값을 나타내었다. GSE 와 PSS가 실험 대상 균주에 대하여 모두 항균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비듬균인 M. furfur와 M. restricta는 GSE 보다는 PSS에서 더 강한 항균력을 보였으며 여드름균인 P. acnes와 무좀균인 T. mentagrophytese 및 T. rubrum은 PSS 보다는 GSE에서 더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GSE와 PSS의 각각에 효과적인 균주별 피부질환 외용제 뿐만 아니라 GSE와 PSS를 함께 적용한 광범위한 피부질환 외용제의 응용개발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에멀전 로션 시제품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pH, 점도, 굴절 및 색도 변화에 있어서 모두 안정성을 보였고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화장품과 같은 피부 외용제 제품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구강질환 원인균에 대한 자몽종자추출물과 법제유황수 함유 치약시제품의 향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Test Dentifrice Product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Processed Sulfur Solution against Oral Pathogens)

  • 이보배;하유미;신수화;제경모;김순래;최재석;최인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956-962
    • /
    • 2009
  • 구강질환 원인균에 대한 자몽종자추출물(GSE)과 법제유황수(PSS)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평판배지확산법 및 액체감수성실험법으로 Streptococcus mutans, Prevotella intermedia, Porphyromonas gingivalis 및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평판배지확산법의 경우, GSS의 농도가 40 ${\mu}l$/disk일 때, S. mutans, P. intermedia, P. gingivalis 및 C. 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은 각각 11.0, 9.5, 8.0, 9.0 mm로 나타났으며, PSS의 농도가 40 ${\mu}l$/disk일 때에는 각각 2.0, 3.5, 0.0, 1.5 mm로 나타났다. 또한 액체배지감수성실험에서 GSE에 대한 MIC 값은 0.24, 0.06, 0.10, 15.63 ${\mu}l$/ml 이었으며, PSS 에 대한 MIC 값은 각각 0.12, 3.91, >125, 7.81 ${\mu}l$/ml이었다. 치약 시제품의 항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GSE와 PSS가 농도별로 함유된 치약시제품 원액과 2배 및 4배 희석액을 제조하여 평판배지확산법을 수행한 결과, 0.5% 치약 시제품의 2배 희석액에서 각각 7.3, 4.3, 2.2 그리고 1.5 mm로 나타났다. 치약 시제품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pH, 점도, 굴절 및 색도 변화에 있어서 모두 안정성을 보였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치약과 같은 구강질환 예방 및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천연 조미향상물질의 첨가에 의한 Maillard 반응에서 Meat-like Flavor의 개발 (Development of Meat-like Flavor by Maillard Reaction with Addition of Natural Flavoring Materials)

  • 고순남;남희섭;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39-846
    • /
    • 1997
  • Meat-like flavor를 생성하고자 당과 아미노산 혼합액인 0.2 M cystine-0.1 M lactose-0.1 M maltose를 대조구로 하여 천연 조미향상물질(HVP, HAP, YE)을 첨가하였다. 천연 조미향상물질의 첨가는 대조구에 농도별로 단독 첨가하였으며 단독 첨가시 선정된 농도의 HVP, HAP나 YE를 혼합하여 그 영향을 비교하였다. Meat-like flavor 생성에 유사한 조건인 $100^{\circ}C$에서 8시간 동안 마이야르 반응시킨 반응액은 흡광도, 색, 관능적 성질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HVP, HAP, YE를 첨가 농도별로 첨가하였을 때 반응 시간과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420 nm와 278 nm에서의 흡광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첨가 농도별 색의 변화는 HVP, HAP와 YE 모두 b값은 증가 경향을 나타낸 반면 L값은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 검사에서 meat flavor에 근접한 각 조미향상물질의 첨가 농도는 1.16% HVP, 0.94% HAP, 1.48% YE이었고 가장 meat flavor에 근접한 반응액은 대조구에 HVP 1.16%와 HAP 0.94%를 혼합 첨가한 반응액이었다. 대조구와 HVP 단독 첨가구 및 HVP와 HAP 혼합 첨가구에 대한 향기 성분을 비교하고자 GC/MS로 분석한 결과 hydrocarbon류 1종, aldehyde류 9종, ketone류 5종, ester류 1종, alcohol류 5종, aromatics(benzene)류 2종, furan류 2종, sulfur compound류 1종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Browning Reaction을 이용한 Meat Flavor Extract의 개발 (Manufacturing of Meat Flavor Extract used for Browning Reaction)

  • 김덕숙;김종승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3-321
    • /
    • 2004
  • Maillard reaction을 이용하여 제조한 여러 종류의 reaction meat flavor로부터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을 분리, 농축한 다음 GC와 GC-MSD를 이용하연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의 profile을 얻어 성분의 확인 및 정량분석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Reaction meat flavor의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의 profile을 조사한 결과 7종의 thiozole과 11종의 thiophene을 동정 할 수 있었으며, thiophene, thinzolidine, 4-methyl-5-thiazole ethanol이 주요 생성 화합물이었다. 2.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의 경우 반응조건(온도, 시간)의 변화에 따라 생성성분의 종류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지만 그 양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고, 반응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시간이 길수록 구조가 복잡한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과 caramellike note를 갖는 함산소 이원자고리 화합물이 보다 많이 생성되었으며, 반대로 반응온도가 낮고 반응시간이 짧을수록 함유황이 원자고리 화합물의 생성이 비교적 적었다. 3. 수분함량 50%, 반응온도 10$0^{\circ}C$, 반응시간 2시간의 반응조건에서 thiophene과 thiazole 같은 비교적 구조가 단순한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의 생성율이 가장 높았으며, reaction meat flavor의 발현을 위하여는 10$0^{\circ}C$ 이내의 온도에서 2시간을 넘기지 않고 반응시키는 것이 좋았다. 4. 수분함량이 낮으면 반응온도 및 시간을 낮고 짧게, 수분함량이 높을수록반응온도 및 시간은 높고 길게 반응시키는 등 수분함량은 반응온도 및 시간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므로 수분함량에 따라 반응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일정한 flavor profile을 계속하여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원료를 단순화하여 reaction meat flavor를 제조한 다음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을 추출, 분리, 농축하여 분석함으로써 향료산업 및 조미식품산업에서 reaction meat flavor의 생산에 필요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석유 탈황용 미생물 분리 및 디젤유에 대한 탈황능 평가 (Isolation of Microorganisms for Petroleum Desulfurization and Evaluation of Its Desulfurization Activity for Diesel Oil)

  • 손호용;장제환;장용근;장호남;류희욱;조경숙
    • 청정기술
    • /
    • 제2권1호
    • /
    • pp.53-59
    • /
    • 1996
  • 석유 탈황을 위한 생물 촉매 개발 및 이를 사용하는 생물학적 공정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DBT(Dibenzothiophene)를 모델 화합물로 선정하여, 국내 정유회사 주변의 원유 누출 오염토양으로부터 3 개월간의 연속배양 및 집식배양을 통해 DBT를 효율적으로 탈황, 제거할 수 있는 60 여종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선별된 균들 중 A23-3은 DBT를 유일황원으로 성장 가능하면서, 탄소원으로 hexadecane은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DBT와 포도당을 포함한 기본염 최소 배지에서 만족할만한 속도로 DBT를 탈황하였다. 또 yeast extract나 trace metal solution을 첨가한 경우 DBT 제거속도는 약 4.5~6.5 배 정도 증가하였다. 실제의 디젤유를 직접 처리한 경우, DBT 제거속도는 $0.045g\;DBT/g-cell{\cdot}hr$이었다. 특히 이 경우, DBT 이외의 $C_{14}$이상의 heavy aromatic 화합물의 제거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23-3 균주는 저유황, 저방향족 청정 디젤유 생산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리라 사료된다.

  • PDF

Antihepatotoxic effect of Heat-treated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CCl_4-induced$ Rats and th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Volatile Sulfur Substances

  • Park, Hee-Juhn;Jung, Hyun-Ju;Lim, Sang-Cheol;Jung, Won-Tae;Kim, Won-Bae;Park, Kwang-Kyun;Lee, Jin-Ha;Choi, Jong-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67-74
    • /
    • 2005
  • The ethanolic extracts of the leaves and bulb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liaceae) collected from Daegwallyoung (D) and Ullung Island (U) in Korea were obtained using three different extracting methods. The first extracts, DL-1 DB-1, UL-1 and UB-1, were obtained from leaves (L) and bulbs (B) dried at $90^{\circ}C$, respectively, and the second extracts, DL-2, DB-2, UL-2 and UB-2, were obtained by extracting the leaves and bulbs of fresh plant parts. The third extracts DL-3, DB-3, UL-3 and UB-3 were obtained by incubating leaves and bulbs at $36^{\circ}C$. The six extracts obtained from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at Daegwanllyoung (cultivated site) were orally administered to examine for a possible antihepatotoxic effect in $CCl_4-induced$ rats. DL-1 exhibited the most pronounced effect. The extracts inhibited serum ALT, AST, SDH, ${\gamma}-GT$, ALP and LDH activities elevated by $CCl_4$ injection and attenuated decreased glutathione S-transferase, glutatione reductase and ${\gamma}-glutamylcysteine$ synthetase activities and a decreased hepatic glutathione. However, the extracts obtained from Ullung Is. (native site) were less active than the extracts from Daegwallyoung, suggesting that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from the cultivated site is more useful for functional food than of native site.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antihepatotoxic effect is due to a higher content of hepatic glutathione. Gas chromatography of the twelve extrac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sulfides, disulfides or trisulfides contents belonging to volatile sulfur substances (VSS). Nine component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mass spectra, namely, dimeth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dipropyl disulfide, allyl methyl sulfide, allyl methyl trisulfide, 2-vinyl-4H-1,3-dithiin, 3,4-dihydro-3-vinyl-1,2-dithiin, and allithiamine. Extract DL-1 had the highest VSS content. Dried plant materials contained larger amounts of the VSSs than other extracts, and the leaves contained larger amount than the bulb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at treatment increases the antiheaptotoxic ability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VSSs.

시판 흑양파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Black Onion Extracts)

  • 전선영;정은정;백정화;차용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740-1745
    • /
    • 2011
  •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흑양파추출액 3종류(창녕, 무안, 증평 지역산 제품)를 구입하여 관능적 요소 중 가장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시판 흑양파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51종으로 카르보닐화합물류 15종, 함황화합물류 8종, 방향족화합물류 6종, 퓨란류 6종, 질소화합물류 3종, 알콜류 2종, 산류 2종 및 기타 10종이 검출되었다. 카르보닐화합물 중 2-methylbutanal, 3-methylbutanal, nonanal 및 benzaldehyde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함황화합물류에서는 dimethyl disulfide와 dimethyl trisulfide가 가장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으며 흑양파추출액의 주요 향기성분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항산화성을 가지는 thiophene 유도체와 항암효과를 지닌 methylpropyl disulfide, methyl-(Z)-propenyl disulfide 및 methyl-(E)-propenyl disulfide 등은 2 제품(A, B)에서만 검출되었다. 비효소적갈변유도물질인 furfural이 모든 시료에서 높은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pyrazine류 및 acetic acid 도 많은 함량으로 검출되어 이들 향기성분들이 시판 흑양파추출액의 휘발성 성분에 특징적인 냄새성분으로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마늘의 가공 조리방법에 따른 Lipoxygenase활성도 저해효과 -마늘 추출액이 Lipoxygenase 활성도 저해에 미치는 영향- (Inhibition of Lipoxygenase Activity by the Extract of Various Processed Garlic - Inhibitory Effect of Garlic Extracts on Soybean Lipoxygenase Activity -)

  • Kim, Mee-Ree;Mo, Eun-Kyung;Kim, Seong-Hee;Sok, Dai-Eun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0-285
    • /
    • 1993
  • 동물체내에서 천식, 염증, 혈소판 응고 등에 관련된 매개체를 생성시키는 효소인 lipoxygenase작용기 전과 유사한 대두 lipoxygenase (Type IV)를 사용하여 생마늘의 수용액, 에탄올, 클로로포름 추출분획에 의한 lipoxygenase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효소를 클로로포름 추출 분획과 10분 preincuba-tion시킨 후의 효소 저해 양상은 비가역적 저해(1$_{50}$값, 55mg/$m\ell$)이었으며, 수용액 추출 분획의 경우는 주로 가역적 저해 양상(1$_{50}$값, 65mg/$m\ell$)을 나타내었다. 한편, diallyldisulfide와 dimethyldisulfide의 1$_{50}$값은 각각 1.3mM, 18mM 이었으며 이들은 가역적, 비가역적 저해 현상을 모두 나타내었다. 합성품 alliin은 비교적 높은 농도(10mM농도에서 22%저해)에서 저해하였으며, alliin의 분해산물은 비가역적 저해 양상을 나타낸 반면에, S-ethylcysteine sulfoxide는 효소를 거의 저해하지 않았다. 따라서 다진 마늘 속에는 가역적 저해제가 주로 함유되어 있고, 소량(25~30%)의 비가역적 저해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사료되었다.

  • PDF

Thermococcus onnurineus sp. nov., a Hyperthermophilic Archaeon Isolated from a Deep-Sea Hydrothermal Vent Area at the PACMANUS Field

  • Bae, Seung-Seob;Kim, Yun-Jae;Yang, Sung-Hyun;Lim, Jae-Kyu;Jeon, Jeong-Ho;Lee, Hyn-Sook;Kang, Sung-Gyun;Kim, Sang-Jin;Lee, Ju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1호
    • /
    • pp.1826-1831
    • /
    • 2006
  • A novel hyperthermophilic, anaerobic, heterotrophic archaeon, designated strain $NA1^T$, was isolated from a deep-sea hydrothermal vent area (depth, 1,650 m) within the Papua New Guinea-Australia-Canada-Manus (PACMANUS) field. Cells of this strain were motile by means of polar flagella, coccoid-shaped with a diameter of approximately $0.5-1.0{\mu}m$, and occurred as single cells. Optimal temperature, pH, and NaCl concentration for growth were $80^{\circ}C$, 8.5, and 3.5%, respectively. The new isolate was an obligate heterotroph that utilized yeast extract, beef extract, tryptone, peptone, casein, and starch as carbon and energy sources. Elemental sulfur was required for growth and was reduced to hydrogen sulfide. The G+C content of the genomic DNA was 52.0 mol%.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16S rRNA gene indicated that strain $NA1^T$ belongs to the genus Thermococcus, and the organism is most closely related to T. gorgonarius, T. peptonophilus, and T. celer; however, no significant homology was observed among species by DNA-DNA hybridization. Strain $NA1^T$ therefore represents a novel species for which the name Thermococcus onnurineus sp. novo is proposed. The type strain is $NA1^T$ (=KCTC 10859, =JCM 13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