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ur concret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2초

코팅된 제올라이트 비드를 이용한 콘크리트 투수블록의 대기전구물질 제거율 평가 (Air Pollutant Removal Rates of Concrete Permeable Blocks Produced with Coated Zeolite Beads)

  • 박준서;양근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3-164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황산화물(SOx) 및 질소산화물(NOx)을 제거할 수 있는 소재를 코팅한 제올라이트 비드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투수블록의 대기전구물질의 제거율을 평가하는데에 있다. 대기전구물질인 SOx와 NOx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된 소재는 이산화티타늄(TiO2) 분말과 야자각 분말이며, 이 두 소재를 제올라이트 비드에 코팅하였다. 시편은 실제 공장생산라인을 이용하여 제올라이트 비드가 임베디드된 콘크리트 투수블록을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표층에서 야자각 분말로 코팅된 제올라이트 비드가 첨가된 콘크리트 투수블록의 SOx와 NOx 제거율은 각각 12.5% 및 99%로서 다른 블록보다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였다. 또한, 휨 강도 및 미끄럼저항성은 각각 5.3MPa 및 65BPN 이상으로 KS F 4419 및 KS F 4561에서 제시된 값을 만족하였다. 반면, 투수계수는 서울특별시의 투수블록 포장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기준으로 협잡물 오염 전후에 각각 3 및 4등급으로 낮은 투수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표층에서 야자각 분말로 코팅된 제올라이트 비드의 첨가는 충분한 휨강도 및 미끄럼저항성을 확보하면서 자외선에 관계없이 SOx와 NOx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지만, 투수성이 낮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박용 디젤기관의 배기규제 및 배기 배출물 저감 대책 (Emissions Limits and Measures for Reducing Exhaust Emissions in Marine Diesel Engines)

  • 배명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5권3호
    • /
    • pp.471-486
    • /
    • 2001
  • The principal trends in the course of emission control legislation are reviewed in this paper. In order to keep such a regulation, moreover, an inquiry ito the concrete technical possibility is conducted through review articles, Also, the composition of exhaust gases emitted from a marine diesel engine are investigated as several samples and the measures that can satisfy the value of regulation are handled with laying stress on the control methods discussed to date. It was concluded that various combined systems can be made to reduce NOx emissions without deteriorating substantially navigation costs since many technologies for reducing NOx emissions are being developed. All heat engines suffer from SOx emissions. There are two methods for reducing SOx emissions: desulfurization from exhaust gas and removal of sulfur composition from fuel oil. However it is necessary to watch the development of these technologies to evaluate which method is more favorable. Heat engines have a big problem in the regul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exhaust emissions. In the near future, however, diesel engines may be superior to other heat engines, owing to the high thermal efficiency, although the sales of individual models in dises engines may be prosperous and declining.

  • PDF

시멘트 생산 시 발생하는 Chlorine Bypass System-dust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hlorine Bypass System-Dust from Cement Manufacturing)

  • 한민철;이동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310-315
    • /
    • 2019
  • 본 연구는 시멘트 제조 시 발생하는 CBS-dust의 새로운 활용방법을 모색하고자 일련의 연구를 진행하는데, CBS-dust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물리적 성질로 밀도는 2.40g/㎤으로 시멘트보다 가볍고, pH는 12.50으로 강알칼리성이며, 입도의 경우는 시멘트보다 미세한 11.70㎛로 나타났다. 화학적 특성으로는 산화칼슘(CaO) 성분이 35.10%로 가장 많은 량을 나타내고, 산화칼륨(K2O)이 32.43%, 염화칼륨(KCl)이 19.46% 삼산화황(SO3)이 6.81%이며, 그 이외의 화학성분으로 SiO2, Fe2O3, Al2O3, MgO, 기타 등이었다. 따라서, CBS-dust를 철근이 없는 혼화재를 다량 사용하는 콘크리트 2차 제품에 알칼리 활성화재로 사용한다면, 알칼리 자극제로 콘크리트의 강도증진 및 한중시공 시 초기동해 방지 등에 효과적인 활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준실시간 소형 풍동 시스템을 이용한 화학작용제(HD) 증발특성 연구 (A Near Real-Time Wind Tunnel System for Studying Evaporation of Chemical Agents(HD))

  • 가동하;정현숙;서지윤;이준오;이해완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5-140
    • /
    • 2019
  • Upon chemical agent release, it is of importance to study the characteristic persistence and evaporation of chemical agents from surfaces for the prediction of dispersion hazard. We have recently developed a fast and near real-time wind tunnel system proving the controlled environment(air flow,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inuously collects agent vapor and analyzes it. A thermal sorber/desorber is unnecessary to collect the vapor in the system we have developed. Instead, a tandem thermal sorber collects the vapor, which is then directly transferred to a fast gas chromatography(GC) for analysis. As a proof of concept, the evaporation of sulfur mustard agent(HD) was studied from glass, sand and concrete. The results were in an excellent agreement with those obtained from the conventional wind tunnel system.

OMI 위성 자료와 국가 배출량 자료를 활용한 동아시아의 NOx, SOx 변화 장기 분석(2005-2015) (Long-term Trend Analysis of NOx and SOx over in East Asia Using OMI Satellite Data and National Emission Inventories (2005-2015))

  • 서정현;윤종민;추교황;김덕래;이동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2_1호
    • /
    • pp.121-137
    • /
    • 2020
  • 동아시아 지역은 최근 인구급증과 경제성장으로 인해 화석연료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증가하여 대기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MI (Ozone Monitoring Instrument) 위성 자료와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자료(National Emission Inventory)를 활용하여 동아시아의 대기현황 및 우리나라의 대기질에 국내외 배출량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 동아시아의 NO2, SO2 농도를 분석한 결과, 두 물질 모두 NEC (North East China), SEC(South East China), SMA (Seoul Metropolitan Area) 순으로 높았다. SO2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NEC 지역은 SMA보다 1.63배 높았다. 농도비와 배출비 분석을 통해 국외 배출원이 우리나라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는데, NO2/SO2 농도비는 우리나라와 중국 모두 2013년에 가장 높았고, SMA의 NOx/SOx 배출비는 2013년 이후 22% 이상 증가했다. 국내 배출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나 농도-배출량 비율(NO2/NOx, SO2/SOx)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곧 국내 배출량 외에 다른 요인(국외 배출원, 체류시간 변화 등)이 우리나라 수도권의 대기질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SMA의 미래 배출량은 2025년에 NOx, SOx가 각각 296.2, 39.0 kton, 2035년에는 284.4, 33.8 kton 만큼 배출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위성자료의 장점을 이용하여 농도와 배출량 사이의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위성관측 농도와 배출량 간의 상호비교 분석방법론과 GEMS(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위성 산출물을 활용하여, 향후 국내 대기질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국외 발 대기오염물질 기여도 분석과 배출 인벤토리 보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