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ur compound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2초

지역별 생산 양파종의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분석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Onions Harvested in Various Regions)

  • 이희영;정은정;전선영;조민숙;조우진;김희대;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609-1614
    • /
    • 2008
  • 국내 주요 생산지인 전남 무안, 전북 부안, 경북 안동 및 경남 창녕의 3개 지역(유어, 장마, 성산)에서 수거된 양파 6종의 휘발성향기성분을 SPME법으로 추출하여 GC/MSD 로 분석하였다. 총 51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이는 함황화합물류(20종), 알데히드류(4종), 케톤류(5종), 에스테르류(11종), 방향족화합물류(4종), 함질소화합물류(2종) 및 기타화합물류(5종)로 구성되었다. 함황화합물류가 총 휘발성 향기성분 함량의 $62.6{\sim}80.3%$를 차지하였으며, 함량 면에서는 안동(4,828 ng/g), 부안(4,627 ng/g), 유어(4,149 ng/g), 장마(2,979 ng/g), 성산(2,758 ng/g) 및 무안(2,171 ng/g) 순으로 많았다(p<0.05). 항산화효과가 있는 5종의 함황화합물류 (2,4-, 2,5-dimetylthiophene, 2-vinyl-1,3-dithiane, 5-methoxy thiazole, 3,5-diethyl-1,2,4-trithiolane)는 안동, 유어, 장마, 부안, 성산 및 무안 순이었고, 항암효과가 있는 함황화합물류 5종((Z)-, (E)-methyl propenyl disulfide, (Z)-, (E)- propenyl propyl disulfide, di-2-propenyl disulfide)은 부안, 유어, 안동, 장마, 성산 및 무안 순으로 많았다.

황처리가 금속/InP Schootky 접촉과 $Si_3$$N_4$/InP 계면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lfur treatments on metal/InP schottky contact and $Si_3$$N_4$/InP interfaces)

  • 허준;임한조;김충환;한일기;이정일;강광남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1A권12호
    • /
    • pp.56-63
    • /
    • 1994
  • The effects of sulfur treatments on the barrier heithts of Schottky contacts and the interface-state density of metal-insulator-semiconductor (MIS) capacitors on InP have been investigated. Schottky contacts were formed by the evaporation of Al, Au, and Pt on n-InP substrate before and after (NH$_{4}$)$_{2}$S$_{x}$ treatments, respectively. The barrier height of InP Schottky contacts was measured by their current-voltage (I-V) and capacitance-voltage (C_V) characteristics. We observed that the barrier heights of Schottky contacks on bare InP were 0.35~0.45 eV nearly independent of the metal work function, which is known to be due to the surface Fermi level pinning. In the case of sulfur-treated Au/InP ar Pt/InP Schottky diodes, However, the barrier heights were not only increased above 0.7 eV but also highly dependent on the metal work function. We have also investigated effects of (NH$_{4}$)$_{2}$S$_{x}$ treatments on the distribution of interface states in Si$_{3}$N$_{4}$InP MIS diodes where Si$_{3}$N$_{4}$ was provided by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The typical value of interface-state density extracted feom 1 MHz C-V curve of sulfur-treated SiN$_{x}$/InP MIS diodes was found to be the order of 5${\times}10^{10}cm^{2}eV^{1}$. This value is much lower than that of MiS diodes made on bare InP surface. It is certain, therefore, that the (NH$_{4}$)$_{2}$S$_{x}$ treatment is a very powerful tool to enhance the barrier heights of Au/n-InP and Pt/n-InP Schottky contacts and to reduce the density of interface states in SiN$_{x}$/InP MIS diode.

  • PDF

국내산 양파의 저장 중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Onions (Allium cepa) during Storage)

  • 이희영;정은정;전선영;차용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712-1717
    • /
    • 2008
  • 국내 주요 양파 생산지인 전남 무안, 전북 부안, 경북 안동 및 경남 창녕의 3개 지역(유어, 장마, 성산)에서 수거된 양파 6종을 $0.5^{\circ}C$에 저장하면서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동정된 총 45종의 화합물에서 함황화합물류(21종)이 가장 많았고, 양적으로도 $66.9{\sim}86.9%$를 차지하였다(저장 0일경). 함량면에서는 유어(7,582.4 ng/g)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성산(5,933.3 ng/g), 무안(4,043.5 ng/g), 장마(2,374.7 ng/g), 부안(2,233.3 ng/g) 및 안동( 1,516.7 ng/g) 순이었다. 저장 60일경에는 지역에 관계없이 상당량 감소하였으며, 무안(2,445.0 ng/g), 유어(2,401.7 ng/g), 성산(1,536.4 ng/g), 안동(1,306.5 ng/g), 장마(1,188.2 ng/g) 및 부안(1,183.5 ng/g) 순이었다 항산화효과가 있는 6종의 함황화합물류(2,4-,2,5-dimetylthiophene, 2-vinyl-1,3,-dithiane, 5-methoxy thiazole, 3,5-diethyl-1,2,4-trithiolane 및 isomer)는 저장 0일경에는 유어, 성산, 무안순으로 많았으나, 저장 60일경에는 유어, 무안, 성산, 안동, 장마, 부안의 순이었다. 항암효과가 있는 함황화합물류 5종((Z)-, (E)-methyl propenyl disulfide, (Z)-, (E)-propenyl propyl disulfide, di-2-propenyl disulfide)은 저장0일에는 유어, 성산 및 무안이 가장 높았으나, 저장 60일 경에는 무안, 유어, 성산, 부안 및 장마 순이었다.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의 저장 중 휘발성 향기성분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unds in Concentrated Onion Extracts (ONIWELLTM) during Storage)

  • 정연정;정은정;전선영;차용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3-118
    • /
    • 2010
  •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의 저장 유통과정 중 품질유지를 위한 척도로서 관능적요소 중 가장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을 저장기간($30^{\circ}C$, 150일) 동안 분석하였다. 총 23종의 휘발성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이는 함황 화합물류 9종, 카르보닐 화합물류 5종, 퓨란류 4종, 방향족 화합물류 2종 및 기타 화합물류 3종이었다. 함황 화합물류는 전체함량의 80.3~62.6%로 중요한 향기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dimethyl trisulfide가 50.1~42.1% 범위로 함황 화합물류 중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총 함황 화합물류의 함량은 저장기간과 함께 증가하였는데, 특히 신선한 양파향의 dimethyl disulfide와 마늘향의 methyl propyl disulfide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가열반응에 의해 생성된 4종의 퓨란류(furfural, 2-acetylfuran, 5-methyl-2-furfural, furfurylalcohol)가 동정되었는데, 함량면에서 함황 화합물 다음으로 많았다(14.2~12.9%). 이 중 furfural이 전체 퓨란류의 61.9~49.4%를 차지하였고, 저장기간과 함께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카르보닐 화합물에서는 알데히드류가 4종, 케톤 1종으로 총 5종이 검출되었다. 함량면에서는 6.2~4.8% 범위로 퓨란류 다음으로 많았으며, 가열에 의한 지방산화 분해에 의해 생성된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이들 가열반응에 의해 유도된 퓨란류나 알데히드류가 양파 특유의 함황 화합물과 함께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의 풍미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갯벌천일염과 구운 소금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Properties of Mudflat Solar Salt and Roasted Salt)

  • 이정희;김학렬;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048-1054
    • /
    • 2014
  • 소금의 이산화황 발생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갯벌천일염 (MSS)과 구운 소금(RS)의 시간 경과(RS1, RS2, RS3 및 RS4)에 따른 일반성분, 중금속,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고 이산화황 발생 및 각 소금의 환원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산화황과 아황산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으며, 황산이온은 MSS 및 RS에서 각각 35,601.65 ppm과 29,878.15~36,097.45 ppm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ORP는 MSS(181.15 mV)에서 가장 낮았고 RS1(58.55 mV)에서 가장 높았다. 수분은 MSS가 9.34%였으나 RS에서 크게 감소되었으며, RS의 NaCl은 94.77~95.77%로 증가되었다. RS 시간 경과에 따라 수분과 염도에 차이는 없었다. 불용분과 사분은 MSS에 비해 RS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Ca, K, Mg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MSS에 비해 RS의 Cl(556,487.5~612,305.0 ppm) 함량이 높았으며, Br은 MSS(628.1 ppm)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NO_3$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SS에 비해 RS에서 Pb, As, Hg가 높게 나타났으나 Pb, As, Cd, Hg에서 기준치 이상의 검출은 없었다. MSS와 RS의 Co, Cu, Se, U는 차이가 없었으나 Li, Al, Mn, Fe, Sr은 RS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Mn은 굽는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MSS와 RS에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황 발생은 없었으며, RS 시간 경과에 따른 이산화황 발생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의 위해성은 안전 수준이며, 이외 발생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해성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7.6 µm 파장 영역의 다중 광 흡수 신호 파장 변조 분광법을 이용한 이산화황 농도 측정 (Measurement of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Using Wavelength Modulation Spectroscopy With Optical Multi-Absorption Signals at 7.6 µm Wavelength Region)

  • 송아란;정낙원;배성우;황정호;이창엽;김대해
    • 청정기술
    • /
    • 제26권4호
    • /
    • pp.293-303
    • /
    • 2020
  •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대기오염은 건강에 대한 주요 위험원으로 대기오염으로 인해 매년 약 700만 명의 조기 사망이 발생하고 있다. 이산화황(SO2)은 대표적인 대기오염물질로 황 성분이 포함된 연료의 연소에서 다량 발생한다. SO2 발생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대형 연소 환경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측정하고 측정 값을 바탕으로 저감 설비를 최적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미세먼지 전구물질인 SO2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파장 가변형 다이오드 레이저 흡수 분광법 중 파장 변조 분광법을 이용하였다. 광원으로는 7.6 ㎛ 양자 폭포 레이저를 사용하였고 7623.7 ~ 7626.0 nm 사이의 64개 다중 광흡수선으로 SO2 농도 측정이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실험은 1 atm, 296 K에서 28, 76 m multi-pass cell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SO2 농도는 고농도(1000 ~ 5000 ppm)와 저농도(10 ppm 이하)로 두 종류로 실험 하였다. 추가적으로 가스 셀 외에 레이저가 지나가는 경로에 질소를 채워 대기 중의 H2O가 SO2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SO2는 3 ppm까지 측정하였고 측정된 SO2 농도는 전기 화학식 센서와 NDIR 센서 측정 결과와 비교되었다.

이온교환된 NaY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TBM와 THT의 흡착제거 (Adsorptive Removal of TBM and THT Using Ion-exchanged NaY Zeolites)

  • 정갑순;이석희;천재기;최재욱;우희철
    • 청정기술
    • /
    • 제15권1호
    • /
    • pp.60-66
    • /
    • 2009
  • 천연가스로부터 유기 황 화합물인 THT와 TBM의 흡착 제거를 위해 NaY 제올라이트계를 이용하여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NaY에 대한 표면의 산-염기적 특성을 변화시키고 흡착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Li, K, Fe, Co, Ni, Cu, Ag 등의 금속이온으로 이온교환하였으며, 이를 부취제 THT와 TBM의 흡착 제거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Cu-NaY, Ag-NaY, NaY에서 다른 물질들에 비해 THT, TBM의 파과흡착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Cu, Ag가 이온교환된 제올라이트의 증가된 산성적 특성 때문에 다른 이온들에 비해 높은 파과흡착량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산량이 Ag-NaY보다 높게 측정된 Cu-NaY의 경우, Cu의 담지량을 조절하였다. 이들 가운데 0.5 M의 질산구리 용액으로 이온교환된 Cu-NaY-0.5가 가장 높은 파과흡착량을 보였으며, THT에 대해 1.85 mmol-S/g, TBM에 대해 0.78 mmol-S/g을 각각 나타내었다. 그리고 THT의 탈착 활성화에너지는 NaY, Cu-NaY-0.5 두 물질에 대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며, TBM의 탈착 활성화에너지의 경우 Cu-NaY-0.5 흡착제에서 NaY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식용 돼지췌장 리파제가 체다치즈의 중성 휘발성 성분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d Grade Porcine Pancreatic Lipase on Neutral Volatile Compound Profiles in Cheddar Cheese)

  • 곽해수;전익준;정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6-214
    • /
    • 1990
  • 식용 돼지췌장 리파제가 체다치즈에서 중성 휘발성 성분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치즈 제조시 이 효소를 두 가지 함량으로 혼합하여 여러 온도에서 숙성시켰다. 2-butanone의 생산은 효소의 양과 숙성온도를 높였을 때 증가했으나, 2-pentanone의 생산은 숙성기간 중에 일관성이 없었다. Acetaldehyde는 aldehyde 중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일관성 있게 증가하였다. Alcohol 생산에서는 ethanol이 가장 높았지만 숙성 6주 후에는 일관성 있는 증가가 없었다. Ethylbutyrate는 ester중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리파제의 활성도와 숙성온도에 연관이 있었다. Dimethyl sulfide는 유일한 유황 성분이었지만 리파제의 첨가와 숙성온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분석결과 치즈 숙성 중에 ethyl butyrate와 체다풍미가 유의성 있는 상호관계가 있었다.

  • PDF

음식물쓰레기 소멸제의 쓰레기 소멸특성에 관한 연구( I ) (A Study on the garbage decomposing Characteristics of the garbage-decomposing accelerant( I ))

  • 홍정희;안용근;정진도
    • 환경위생공학
    • /
    • 제18권1호
    • /
    • pp.58-67
    • /
    • 2003
  •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garbage-decomposing accelerant, Raw Material of Pomia(RMP), Pomia and Vitabio. were analyzed. In HPLC pattern, Pomia and Vitabio showed main peak of about 30kDa in 280nm wave length. RMP, Pomia and Vitabio showed three, two and two peaks in 210nm. K and Na ion content of RMP were 2,620 and 1,590ppm, respectively, and their content were the largest one among others. Ca, Mg and Mn ion content of RMP were also the largest one, but Zn ion content was the least one. $Cl^{-}$, $F^{-}$ and $NO_3^{-}$ ion content of RMP were the largest one, especially $Cl^{-}$ content was 3,553ppm. pH values of RMP and Pomia were in neutral region, but Vitabio was 9.03. Dried residue content of RMP, Pomia and Vitabio were 1.4%, 0.55% and 0.4%, respectively. The number of general bacteria on PCA plate from RMP, Pomia and Vitabio were 2.2{\times}10^{6}cfu/ml,{\;}6.5{\times}10^{3}cfu/ml{\;}and{\;}1.1{\times}10^{3}cfu/ml$, respectively. The number of facultative anaerobes of RMP was $4.4{\;}{\times}{\;}10^{4}cfu/ml$, and it was biggest one. Lactobacilli and yeasts were found less than 10cfu/ml at best. The bacterium exists in RMP in high frequency was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Volatile sulfur compound amount of garbage samples treated with Pomia and Vitabio in concentration of 1/500 at $33^{\circ}C$ for 8 days were 1,273ppb and 1,902ppb, respectively, and control showed 3,015ppb. Volatile organic compound amount of the garbage samples treated were 68,312ppb, 124,317ppb and 263,954ppm, respectively. Diethylamine that known as malodor compound were 5,107ppb, 261ppb and 11,124ppb, respectively.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Capsella bursa-pastoris and Their Anti-inflammatory Activity

  • Cha, Joon Min;Kim, Dong Hyun;Lee, Tae Hyun;Subedi, Lalita;Kim, Sun Yeou;Lee, Kang R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4권2호
    • /
    • pp.132-138
    • /
    • 2018
  •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80% MeOH extract of the aerial parts of Capsella bursa-pastoris yielded fourteen compounds (1 - 14). The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elucidated by spectroscopic methods to be methyl-1-thio-${\beta}$-D-glucopyranosyl disulfide (1), 10-methylsulphinyl-decanenitrile (2), 11-methyl-sulphinyl-undecanenitrile (3), 1-O-(lauroyl)glycerol (4), phytene-1, 2-diol (5), (3S,5R,6S,7E)-5,6-epoxy-3-hydroxy-7-megastigmen-9-one (6), loliolide (7), ${\beta}$-sitosterol (8), 3-hydroxy-1-(4-hydroxy-3-methoxyphenyl)-1-propanone (9), 1-feruloyl-${\beta}$-D-glucopyranoside (10), pinoresinol-4'-O-${\beta}$-D-glucopyranoside (11), luteolin (12),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 (13), and luteolin 6-C-${\beta}$-glucopyranoside (14). Although compound 1 was reported as synthetic compound, 1 was first isolated from natural source. NMR spectral data assignments of 1, 2 and 3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and compounds 1 - 14 were for the first time reported from this plant sourc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1 - 14 were evaluated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urine microglia BV-2 cells. Compounds 12 exhibited strong inhibitory effects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LPS-activated BV-2 cells with $IC_{50}$ values of $9.70{\m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