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ker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5초

Three new species of Myzomolgus(Copepoda, Cyclopoida, Catiniidae) associated with sipunculan worms from a tidal flat in Phuket, Thailand

  • Hong, Jae-Sang;Kim, Il-Hoi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0권3호
    • /
    • pp.287-300
    • /
    • 2021
  • Three new species of Myzomolgus are described as associates of sipunculans from a tidal flat in Phuket, Thailand. As diagnostic features, Myzomolgus leptocercosus n. sp. has elongate caudal rami which are 10.7 times longer than wide, 5 setae and a conical process on the first antennular segment, an armature formula 1, 0, 1+sucker, and 6 of antenna, and an inner coxal seta on all swimming legs. Myzomolgus spatulatus n. sp. lacks a rostrum, but bears 4 setae and a spatulate process on the first antennular segment, an armature formula 0, 0, 2+sucker, and 6 of the antenna, the inner coxal seta on legs 1-3, and 5 armture elements on the third endopodal segment of legs 1-3. Myzomolgus cucullatus n. sp. has short caudal rami which are 1.60 times longer than wide, a broad, hood-like tergite of fouth pedigerous somite, 4 setae only on the first antennular segment, the armature formula 0. 0. 2+sucker, and 6 of the antenna, and no iiner coxal seta on the swimming legs.

거머리, Limnotrachelobdella sinensis의 기생으로 인한 붕어, Carassius auratus 아가미의 조직병리학적 관찰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of the gill of the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by the leech, Limnotrachelobdella sinensis)

  • 박명애;김석렬;김명석;김정호;박정준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99-407
    • /
    • 2010
  • 10 개체의 붕어, Carassius auratus 아가미뚜껑의 한쪽면에 1-4개체의 거머리, Limnotrachelobdella sinensis들이 기생하고 있었다. 거머리들의 평균 길이는 약 41.0 mm 정도였고, 폭은 11 mm였다. 이들의몸체는 anterior sucker, neck, trunk, posterior sucker로 구성되어 있었고 각각의 평균 길이는 2.3 mm, 7.2 mm, 23.3 mm, 8.7 mm였다. 몸통의 양 옆에는 11쌍의 lateral vesicle이 존재하였다. Anterior sucker를 SEM으로 관찰한 결과 이들은 반구모양으로 중앙에는 proboscis가 나오는 입이 존재하고 있었다. Proboscis는 식도와 바로 연결되어 있었다. 거머리에 의해서 흡혈되어진 붕어의 아가미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새판융합, 새엽 및 새판 상피세포 과증식, 점액세포 증가 및 울혈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몇몇 개체들에서 나타나는 새엽 상피세포의 괴사 및 수종변성과 식세포의 침투 등은 거머리의 흡혈 활동 이후 세균 혹은 바이러스에 의한 2차 감염이 원인인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모시풀 조직배양에서 소독방법 및 생장조절제의 Multiple Shoot 유기 효과 (Effect of Growth Regulator and Sterilization Method on Multiple Shoot Induction through Sucker and Stem Node Culture in Ramie(Boehmeria nivea Hoooker et Arnot))

  • 박홍재;문윤호;오용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04-709
    • /
    • 1996
  • 모시풀의 경편과 흡지의 배양을 통하여 완전한 식물체를 대량증식하기 위하여 소독방법과 생장조절제 처리 효과에 대한 기내배양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시풀 경편 배양시 소독은 초음파세체기를 이용한 2% NaClO를 20분 동안 하였을때 오염률이 3.3%로 가장 낮았으며, 식물체도 79%가 생존하였고, 건실한 묘를 생산할 수 있었다. 2. 생장조절제 처리효과에서는 NAA(0.02mg/$\ell$)+ BA(1.5mg/$\ell$) + GA3(0.1mg/$\ell$) 혼합처리가 캘러스 형성이 안되고, 식물체 형성률이 96%였으며, 건실한 묘를 생산할 수 있었다. 3. 치상부위별로는 흡지보다 경편배양이, 품종별로는 개량종인 서방종보다 재래종인 보성종이 증식효률이 높았다. 4. 순화 효율은 상토 배합과 호르몬 처리에 있어서 버미큐라이트 : 모래 :황토 =1 : 1 : 1의 배합과 NAA 1000ppm을 30분간 담근 후 이식한 순화율이 99%로서 건실하였으며, 식물체는 대부분 정상이었다.

  • PDF

Urogonimus turdi (Digenea: Leucochloridiidae) from the White's Thrush, Zoothera aurea, in the Republic of Korea

  • Kim, Hyeon Cheol;Hong, Eui Ju;Ryu, Si Yun;Park, Jinho;Yu, Do Hyeon;Chae, Joon Seok;Choi, Kyoung Seong;Sim, Cheolho;Park, Bae Ke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5호
    • /
    • pp.461-467
    • /
    • 2019
  • Avian trematodes, Urogonimus turdi (Digenea: Leucochloridiidae), were collected from the intestine of wild birds, Zoothera aurea, 2013-2017 i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The body was ellipsoidal, attenuated and/or round ends, 1,987-2,120 long and $819-831{\mu}m$ wide. The oral sucker was subterminal, rounded anteriorly, and $308-425{\times}351-432{\mu}m$ in size; the prepharynx and esophagus were almost lacking; pharynx was well-developed, $142-179{\times}78-170{\mu}m$ in size; intestine narrow, bifurcating just after pharynx, ascending to the oral sucker before looping posteriorly and terminating near the posterior end; ventral sucker larger, in almost median, $536-673{\times}447-605{\mu}m$ and approximately 1.5 times larger than oral sucker. A phylogenetic tree constructed with 18S ribosomal RNA showed inter- and intraspecific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findings, we report here a U. turdi from White's thrushes in Korea.

Parvatrema timondavidi (Digenea: Gymnophallidae) 피낭유충, 유약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 (Surface ultrastructure of Parvatrema timondavidi (Digenea: Gymnophallidae) according to its developmental stages)

  • 유재란;박진영;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2호
    • /
    • pp.65-74
    • /
    • 1994
  • 반지락큰입흡충 Pmpemn timondavidi(Digenea: Gynulophallidae)의 발육단계별 표피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피낭유충은 반지락(TqvesphiEippinam)으로부터 분리하였고 유약충 및 성충은 피낭유충을 마우스에 경구 감염시킨 다음 1일. 2일 3일 및 7일째에 소장으로부터 회수하였다. 피낭유충은 큰 구흡반과 측면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구흡반의 구순에는 제1형 및 제2형 감각유두가 밀집하여 있었으며. 측면돌기 내측에 제3형 감각유두가 관찰되었다 생식공은 복흡반 전방으로 멀리 떨어져 위치하였으며, 생식공 주위에 제1형 감각유두가 밀집되어 있었다 피극은 흡반의 구순과 생식공 주변을 제외한 전 충체 표피에 모두 분포하였다. 감염 1일의 유약충에서는 복흡반이 발달되어 있었고, 구순의 내연과 외연에 제1형 및 제2형 감각유두가 6개씩 관찰되었다. 복흡반 바로 전방에는 제1형 감각유두 2개가 분포하고 있었다. 생식공은 매우 작으며 주위에 제1형 감각유두 15개가 분포하였다 감염 2-7일의 충체들은 성장이 계속될수록 피극의 분 자수가 많아졌고, 생식공 위로 생식강(genital atrium)이 생겨 생식공을 덮고 있었으며, 원형질 이 분화하여 돌기와 함몰부가 많이 생겼다. 감염 2일 및 3일 된 유약충들의 구흡반 구순에는 제2형 감각유두 4개가 분포하는 것이 특이하였다. P. timondavidi는 구흡반의 감각유두 배열, 생식공 주위 의 제1형 감각유두 분포와 모양 및 복흡반 전방에 제1형 감각유두 2개의 존재 등으로 다른 Gymnophallidae과의 충체들과 구별할 수 있었다.

  • PDF

First record of Prosthogonimus cuneatus (Prosthogonimidae) from the Little Grebe, Tachybaptus ruficollis, in Korea

  • Cheong, Ki-Soo;Kim, Jong-Taek;Ahn, Dong-Choon;Jung, Bae Dong;Park, Bae-Keun;Kim, Hyeon-Cheol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1-74
    • /
    • 2010
  • A trematode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Prosthogonimus (family: Prosthogonimidae) was collected in August, 2004 from the bursa of Fabricius of a single Little Grebe, Tachybaptus ruficollis, caught in Chuncheon, Korea. Five specimens were collected in total and fluke morphology was examined under using a light microscope. The average parasite size was 5.6 ${\times}$ 3.2 mm (length ${\times}$ width; based on 4 specimens). The genital pore was located on the anterior right margin of the oral sucker. The cirrus sac was strongly sinuous and extended beyond the intestinal bifurcation to the ventral sucker. The prepharynx was extremely short and the pharynx was small. The vitellaria consisted of 6 follicle bunches and extended from the ventral sucker to the posterior of the testes. Finally, the uterus filled the body cavity posterior to the testes. In addition, there were no heavy slings occurred anterior to the testes. Based on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arasites were identified as P. cuneatus. The discovery of P. cuneatus within a Little Grebe constitutes a new host identification and a new geographical record. This is the first reported case of Prosthogonimus infection within wild birds in Korea.

천연 식물추출물 복합제를 이용한 오디균핵병 및 뽕나무이에 대한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Study on Eco-friendly Control Effect of Natural Plant Extract Mixtures on Mulberry Popcorn Disease and Mulberry Sucker)

  • 안인;맹운영;이인애;김삼현;유지원;장기운;김배용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8-342
    • /
    • 2013
  • 오디균핵병에 대한 친환경농자재 방제효과시험에서 2012년 3월 초 석회유황합제 살포, 4월초 석회보르도액을 살포한 포장에서 미생물 2종과 천연물 4종 혼합제를 교호적으로 처리한 결과 7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나, 2013년도에는 약제 살포간격을 줄이는 등 더욱 철저히 방제 하였음에도 발병이 극심하여 미생물제 및 천연물합제 모두 17~64% 범위로 전년보다 효과가 저조하였다. 부안의 동일한 시험포장의 동일 조건하에서 지오파네이트메칠 농약을 3회 처리한 대조구에서도 약효가 저조하게 나타났다. 한편 뽕나무이에 대한 천연식물추출물 친환경농자재의 방제효과는 고삼추출물, 데리스추출물, 고삼+데리스+님오일 3개 처리구 모두 방제효과가 88~95% 정도로 우수하게 나타나 천연식물추출물 복합제를 이용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방제효과가 확인되어 뽕나무이를 친환경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우수한 시험결과라고 판단되므로 오디 친환경 재배농가에 조속한 기술보급이 요망된다.

한국산 낙지(Octopus minor) 흡반(Sucker)내 분비 및 감각수용세포 II (Secretory and Sensory Receptor Cells in the Sucker of Korean Octopus minor II)

  • 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3호
    • /
    • pp.295-301
    • /
    • 2000
  • 두족강 낙지류(Octopus minor)의 흡반 누두부 상피조직에서 관찰된 감각세포들은 A1, A2, B, C그리고 D형세포 등 5종류가 관찰되었다. A형세포는 A1과 A2형 등 두 종류가 확인되었다. A1형은 주로 흡반의 누두부 상피조직에서 B형세포와 나란히 연접되어 있었으며 핵은 불규칙한 형태였고 핵질은 전자밀도가 높아서 어둡게 관찰되었다. 세포질 속에는 대, 소형의 많은 공포들(직경 $0.4\sim0.04{\mu}m$)로 가득차 있었으며 이들은 세포의 상단쪽으로 이동하면서 당피막을 통해 분비되었다. A2형은 주로 상피조직의 하단부에 존재하였으며, 핵의 형태는 A1형과 같았다. 세포질은 사상형 또는 망상형으로 전자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B형세포는 난원형의 핵을 소지하고 있었으며, 세포질속에는 소포체 모양의 많은 공포들과 전자밀도가 높은 다양한 크기$(0.6\sim0.25{\mu}m)$의 둥근 과립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당피막을 통해 세포의 자유면으로 분비되었다. C형세포와 D형세포는 주로 흡반상피의 주름진 부위에서 단층 또는 다층 구조 형태로 관찰되었다. C형세포는 전자밀도가 낮은 긴 타원형의 핵을 소지한데 비해, D형은 이질염색질이 발달된 불규칙한 핵을 소지하고 있었다.

  • PDF

Heterophues nocens (Trematoda: Heterophyidae)의 표피 미세구조 (Surface Ultrastructure of Heterophyes nocens (Trematoda: Heterophyidae))

  • 채종일;정혜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2호
    • /
    • pp.75-82
    • /
    • 1992
  • Heterophyes necens의 표피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충체는 실험 감염시킨 고양이에서 얻은 성충과 인체 자연감염자에서 회수한 성충을 재료로 하였다. 충체는 나뭇잎 모양이며 복측으로 약간 굽어 있었고, 유원형 또는 서양배 모양이며 전반부는 등글고 후반부로 갈수록 충체의 폭이 차츰 감소하였다. 구흡반 주위에는 짧은 섬모가 있는 제 I형 감각유두가 4∼5개씩 모인 군집 감각유두가 관찰되었으며 그 사이 사이에 단일 감각유두가 분포하였다. 구흡반 외연 및 직후방에는 5∼9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에는 12∼17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분포하였다 복흡반의 구순에는 표피가 둥글게 융기한 제 II형 감각유두가 7∼8 개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였다.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에는 우측과 좌측에 각각 5개 및 6개의 감각유두로 구성된 군집 감각유두가 3개군씩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었고 그 사이에 단일 감각유두가 분포하였다. 고양이에서 회수한 성충의 생식반은 흔히 함몰되거나 약간만 돌출되어 있어 gonotyl spine을 관찰하기 어려웠으나, 환자에서 얻은 성충은 대부분의 경우 생식반이 충체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었고, gonotyl spine의 수는50∼60개이었다. 복흡반 외측 및 후방에는 8∼12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각각 관찰되었으며, 충체의 후반부로 갈수록 피극의 분지 수가 점차 감소하여 후단에서는 1∼3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관찰되었고 피극의 밀도도 점차 낮아지는 양상을 띠었다. 충체 배측에는 4∼5개의 감각유두가 모인 군집 감각유두 4쌍이 좌우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 배측의 점반부에는 15∼20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분포하였고 후반부로 갈수록 분지 양상이 감소하여 배측 후 단에서는 8~12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관찰되었다. 또, 후반부로 갈수록 피극의 밀도가 점차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 nocens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다른 이형흡충류의 경우와 비슷하나 생식반 외연에 분포하는 gonotyl Spine의 수가 50∼60개인 점, 전 표피에서 관찰되는 피극 및 감각유두의 특이한 분포 등은 H. nocens의 특징적 소견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

교잡종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L. ${\times}$ R. parvifolius L.)의 근맹아 절편체로부터 다경유도를 통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via Multiple Shoot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 of Hybrid Blackberry (Rubus fruticosus L. ${\times}$ R. parvifolius L.))

  • 신정순;이종천;심옥경;윤태영;조한직;김이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1-116
    • /
    • 2008
  • 노지에 있는 교잡종 블랙베리의 근맹아를 채취하여 1.2%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침지하여 표면 살균한 후 BA를 첨가한 변형된 ${\times}$ 1, ${\times}$ 1/2 MS 고체배지에서 다경유도를 시도하였다. 4주간 배양하였을 때 BA $1mg{\cdot}L^{-1}$가 첨가된 기본 MS배지에서 고빈도(83.3%)의 다경유도가 이루어 졌으며, 절편체당 신초수는 $0.5mg{\cdot}L^{-1}$ BA를 첨가한 MS 기본배지에서 3.7개로 가장 높게 형성되었다. 또한 12주간 배양하였을 때 4주간 한 경우에 비하여 신초형성율이 4.1배 많은 15.4개가 형성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형성된 신초로부터 뿌리발생은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MS배지를 1/1, 1/2, 1/4배로 희석하여 신초를 배양하였을 때 특히 1/2 MS 배지에서 95%로 가장 양호하였다. 재생된 식물체는 모래 : 원예용상토 : 버미큘라이트(1:1:1, vol.)혼합토양에서 순화하였을 경우 95%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