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oral health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28초

인터넷 구강건강정보 이용에 대한 환자와 치과위생사의 인식비교 (Perceptual differences in internet oral health information use between dental hygienists and patients)

  • 김선영;이보람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825-834
    • /
    • 2019
  • Objective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perceptual differences in internet oral health information use between ordinary people who underwent dental treatments and dental hygienists. Second, the study aimed to analyze related issues, and, third, to find a developmental direction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developing patient-customized websites to improve dental services to suit contemporary needs. Methods: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30, 2018,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67 participants (209 dental hygienists and 149 patients) in order to analyze their objective agreement, subjective congruence, and accuracy. As a study tool,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1 items about the perception of internet oral health information use and 11 on the estimated perceptions of both groups in order to compare their perceptions and estimates of each other. Results: Objective agreement was analyzed and, as a result, dental hygienists and patients were found to demonstrate similar result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of internet oral health information use. With regard to subjective agreement, the study subjects either underestimated or overestimated internet oral health information use more than they perceived. In terms of accuracy, dental hygienists and patients had different perceptions regarding internet oral health information use. Therefore, accuracy was somewhat low.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individuals' self-care ability and increase therapeutic instructional adherence for oral healthcare, it is necessary to apply internet oral health information properly to each patient's individual oral state.

비만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oral health)

  • 송애희;정은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49-157
    • /
    • 2018
  • 본 연구는 19세 이상 비만자를 대상으로 구강건강 상태와 행태를 분석하여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5,632명을 체질량지수에 따라 저체중, 정상, 과체중으로 분류하여 비만도에 따른 음주, 흡연, 구강건강상태와 행태에 대한 관련성을 복합표본 교차분석과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남자, 60대, 저소득층, 교육수준이 낮고, 기혼에서 비만도가 높았으며, 비만자일수록 치주질환 유병이 높았고, 주관적 구강건상 상태가 더 나쁘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고려한 연구는 비만성인의 구강건강 향상에 도움이 될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비만 성인에 맞는 맞춤형 구강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한 정기적인 교육으로 구강건강상태와 행태를 개선하기 위한 동기유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한 주관적 구강건강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Oral Health Cognition Using 6th Six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 송애희;김화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49-57
    • /
    • 2017
  •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경제적 요인, 치주질환 및 영구치 우식경험에 따른 구강건강의 격차를 확인하고,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분석하여 정책 계획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본인이 인지하는 구강상태에 응답한 7,639명으로 하였고, 분석방법은 복합 표본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시행하였다. 결과는 연령이 높고, 가구 소득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이 나쁘고, 구강검사를 한 대상자는 구강건강을 좋게, 치주질환이나 영구치우식경험자는 구강건강을 나쁘게 인식하였다.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치주질환 경험자, 영구치우식경험자 등이 구강건강에 부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구강건강의 불평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정책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지역 노인복지관 노인들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Efficacy of Senior Citizens in Welfare Centers in Some Areas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Oral Health and Thei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 박홍련;구인영;문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000-1009
    • /
    • 2014
  • 본 연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인식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과 삶의 질,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고자, 2013년 1월 9일부터 2013년 6월 5일까지 대구광역시 7개의 구에 있는 6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582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성별은 치통과 구강건조증, 연령층별은 구강건강상태, 음식저작 장애, 치주문제, 구강건조증, 최종학력에서는 구강건강상태, 음식저작 장애, 치통, 치주문제, 동거가족 수에서는 음식저작 장애, 치통, 치주문제, 구강건조증, 구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 항목에서 '나의 구강은 건강하지 않다'가 3.11점이었고, '나는 턱에서 소리가 나거나 아프다'가 1.99점이었다. 구강건강상태 인식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에서 건강은 2.05점, 삶의 질에서 건강은 3.41점이었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에서 건강의 경우 기능적 제한은 2.13점, 신체적 동통은 2.53점, 심리적 불편은 2.17점, 신체적 제한은 2.31점, 심리적 능력저하는 2.06점, 사회적 능력저하는 1.81점, 사회적 불리는 1.99점이었다. 노인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의 기회제공과 예방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하여 구강건강이 진행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방안모색이 충분히 고려될 때 노인의 구강건강 뿐만 아니라 삶의 질까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융복합시대 산업장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ustrial Workers' Job Stres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n Subjective Happiness in convergence era)

  • 지민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85-19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산업장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및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근로자 22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는 2016년 8월 8일부터 9월 2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t-test와 one way ANOVA, Scheffe'사후 검정 분석,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직무 스트레스와 구강건강영향지수, 직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구강건강영향지수와 주관적 행복감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은 성별, 주관적 경제 수준, 주관적 전신건강, 정기적 치과 검진, 직무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로자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을 위해 정기적인 산업 구강 중재 프로그램의 시행과 함께 긍정적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검진 및 구강보건교육요구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research on industrial workers' oral examination status and oral health educational request level)

  • 최미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5-195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pportunity of oral examination and positively utilizing the oral-health educational method of being preferred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promote workers' oral health. Methods : This study carried out questionnaire research by self-administrated method, which was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rom February 9th to March 6th, 2009 targeting 237 workers where are located in Gunsan city of Jeollabuk-do Province. Results : 1. Workers' interest and recognition of importance in oral health were high, and were low in subjective oral-health knowledge level, on the other hand. 2. Workers were indicated to be high in the response rate of work-site oral examination and, on the other hand, to be high in the dissatisfied rate at work-site oral examination. 3. As for work-site oral examination, the workers were indicated to positively recognize participation in work-site oral-health education along with high necessity. 4. Workers were indicated to prefer the most a method of lecture such as dentist along with contents in prevention and curing method of periodontal disease. Conclusions : An efficient result is thought to be probably obtained given offering an opportunity of oral examination and positively utilizing the oral-health educational method of being preferred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with the highest preference, in order to promote workers' oral health.

전남 일부지역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요인분석 (Quality-of-life factors related to the oral health of the elderly in Jeollanam-do)

  • 윤소라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5-52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ed at obtaining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alternatives to improv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y investigating dry mouth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visiting the N Dental Clinic in Jeollanam-do. Methods: From November 2021 to September 2022,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survey of adults aged 50 years or older. Of the 300 questionnaires collected, 280 had insufficient data because of missing entries. Results: Analyz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medical use and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what do you think your oral health is lik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 0.001). Dry mouth and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β=0.42, p= 0.00).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were "total score of oral dryness" (β= 0.395) and "what do you think your oral health is like" (β=0.224).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ystematic intervention, such as oral health programs, suitable for age may improv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들의 구강보건 지식정도와 노인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인지정도 연구 (Elderly Convalescence Facility Workers' Knowledge About Oral Health and Subjective Oral Health Care is the Degree of the Elderly)

  • 이연경;박정란;권선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25-430
    • /
    • 2010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구강보건지식 및 인지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지역 노인시설 종사자 23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구강보건지식의 문항별 응답은 '칫솔질할 때 혀도 닦아야 한다'가 97%로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2.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정도에서는 정기적 치과방문이 6개월마다 방문한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일일 칫솔질 횟수에서는 4회 이상 칫솔질을 한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구강보건지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3. 구강보건 지식정도는 전체 평균은 13점 만점에 9.84점으로 전체적으로 구강보건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는 일반적인 구강보건지식이 4점 만점 중 3.69점, 노인성 구강보건지식인 6점 만점에 4.28점, 의치구강보건지식이 3점 만점에 1.86점으로서 일반적인 구강보건 지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노인구강보건관심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정도는 관심이 많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구강보건지식정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5. 조사대상자의 노인구강보건관리 및 교육요구도 에서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83.7%, 불필요하다는 응답이 16.3%로 나타났다. 6. 노인구강보건관리 및 교육은 치과위생사가 하는 것이 적합하다라는 응답이 57.9%로 가장 많았고 구강보건지식정도도 치과위생사가 되어야 한다고 인지한 대상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Table 7). 이상의 결론을 정리해 보면 시설종사자들에게 노인구강 보건관리에 대한 일반적인 구강보건지식을 교육시킬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노인구강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치과위생사를 노인시설에 적극적으로 배치시키는 일들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흡연 유무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련요인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ccording to smoking)

  • 전기하;이주열;이지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89-898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ccording to smoking in the male workers in Gunsan.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60 male workers in Gunsan from April 13 to 30, 2015. Among 460 workers, smokers were 205 and nonsmokers were 255.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ree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ur questions of subjective oral health, fourteen questions of OHIP, ten questions of sobriety test (AUDIT), and eight questions of smoking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FTN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s 20.0 program. Results: In the nonsmoker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lcohol consumption, dental health condition, tooth pain, gum bleeding, and halitosis. The higher OHIP in the smokers ha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nicotine dependence, alcohol consumption, tooth pain, gum bleeding, and halitosis. In order to improve OHIP, smokers are encouraged to manage gum bleeding, and non-smokers to halitosi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OHIP, cessation of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is very important and it can lea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workers.

성인의 구강건강인식과 구강보건지수와 관계 (Relationship of Oral Health Awareness to Oral Health Indexes among Adults)

  • 신명숙;황미영;김수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07-616
    • /
    • 2012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2008)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성인 6,094명을 대상으로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식과 관련된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염려정도를 파악하고, 기존의 역학지수인 DMFT 지수, CPI뿐만 아니라 FS-T 지수, T-Health 지수를 포함한 다양한 구강보건지수를 이용하여,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식과 객관적인 구강보건지수와의 차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식 관련하여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는 49.4%로가 '나쁘다'라고 응답하였으며, 구강건강염려정도는 62.6%가 '신경 쓰이는 편이다'라고 응답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지수에서는 현재 흡연여부를 제외한, 성별, 연령, 교육수준, 월평균가구소득, 간식횟수, 칫솔질횟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월평균가구소득, 현재흡연여부(p<0.000), 간식횟수(p<0.018), 칫솔질횟수(p<0.00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염려정도는 성별과 현재흡연여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연령(p<0.003), 교육수준, 월평균가구소득, 간식횟수, 칫솔질 횟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5.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 구강보건지수에서는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에서는 모든 지수에서 유의하지 않았으며, 구강건강염려수준에서 FS-T지수(p<0.003), T-Health 지수(p<0.011), CPI (p<0.01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구강건강인식과 관련하여 구강건강상태를 파악하고자 할 때에는 본인인지구강건강상태보다는 구강건강염려정도에 대해 질문할 때 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단문항에 의한 주관적 구강강건인식에 의한 자기평가보다는 구강건강관련 심리요인, 자신의 구강에 대한 심미적인 요인 등 다양한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는 다문항적인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척도가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