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specialized librarian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9초

주제전문인력 확보 및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Subject Specialized Manpower and Institutionalization)

  • 노영희;신영지;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사서자격 발급현황이나 국내외 주제전문사서 운영현황, 그리고 유사 문화시설의 전문인력 현황 및 채용방식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주제전문사서 양성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주제전문사서 양성 방안으로는 정규교육과정과 재교육과정을 통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학부부터 주제전문사서로 양성하는 방안과 기존사서를 주제전문사서로 양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주제전문사서의 기본적인 자격은 석사이상의 학력으로 3년 이상의 주제분야서비스 경력을 갖추어야 하며, 주제분야 배경을 갖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주제분야에서 학사학위나 석사학위를 갖추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셋째, 이러한 주제전문사서의 처우 개선을 위해 행정직군 내의 주제사서직렬을 연구직 아래의 학예직군으로 하위 직렬에 연구사서(또는 문헌정보) 직렬 및 직류를 편성하는 것이다. 즉 현재의 사서직렬은 그대로 두고 주제전문사서의 직렬 및 직류를 편성함으로써 사서와 주제전문사서의 차별화를 도모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제 운영방안 연구 - 3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Operational Plan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at Academic Libraries : Focus on Case Analysis of Three Academic Librarie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19-136
    • /
    • 2009
  • 대학이 학문적 주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대학도서관의 서비스도 주제를 기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최근 몇몇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주제전문사서제가 도입되고 적용 사례가 소개되고 있지만, 제공서비스에 대한 충분한 장 단점 분석과 도입에 따른 방향성이 점검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제를 도입한 3개 대학도서관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적용을 위한 선결과제와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주제전문사서제를 도입한 3개 대학도서관은 역할, 인사, 평가 등에서 도입초기에 따른 다양한 문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주제전문사서제의 도입을 위해서는 도서관내부의 합의과정과 교내 구성원에 대한 홍보가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주제전문사서 충원 및 평가, 보상체계의 마련과 함께, 장기적으로는 서비스의 지속성과 효과를 담보할 수 있는 주제전문사서 및 서비스 제공대학 간 협력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주제별 특성화서비스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현장사서의 의견 조사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Opinion of the Librarian concerning the Subject-Specialized Service and Librarianship)

  • 노영희;오의경;심효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21-35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도서관특성화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도서관특성화 서비스를 담당해야 할 사서들의 업무 현황과 환경을 이해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전국의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전문도서관 사서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392명의 사서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특성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특성화서비스 수행 시 가장 어려운 점은 주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이며, 특성화 서비스를 위한 도서관의 환경도 충분하지 않다고 보았다. 특성화서비스는 주제전문사서가 주도해야 하며,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자격기준은 필요하며 자격제도는 국가가 관리해야 한다고 하였다.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과 사서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and Perception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Korean Special Libraries)

  • 황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37-158
    • /
    • 2011
  • 최근 몇 년 동안 국내 도서관 현장에서는 도서관이 처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수시로 변하는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제전문서비스가 거론된 바 있다. 전문도서관 역시 주제전문서비스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운영 방안이 요구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사례는 없는듯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문도서관에서 주제전문서비스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주제전문사서들은 주제전문서비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하는 전문도서관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일반, 주제전문사서 채용과 교육 훈련,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애로사항 등에 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법률전문사서의 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of Specialized Law Librarian)

  • 홍명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9-27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법률도서관에서 전문적 봉사를 담당하는 법률전문사서의 의의와 필요성, 역할 및 법률전문사서로서 갖추어야 할 자격에 대해 개관하고, 이러한 자격을 갖추도록 실시하는 교육에 있어서 가장 발달된 미국의 교육제도와 교육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우리 나라의 현실에서 법률전문 사서의 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으로 문헌정보학과 (도서관학과) 대학원에 '법률도서관학전공'과정을 설치하도록 제안하였다.

  • PDF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al of Curriculum for Training Professional Librarians Specializing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59-282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구조의 변화 및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의 출현에 대한 대응기제로서 정신보건사서라는 전문 인력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를 통해 독서치료의 특징, 정신보건사서의 역할, 자격요건과 양성제도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계속 교육의 필요성과 실제 교육과정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일련의 단계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정신보건사서 양성을 위하여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에 독서치료 영역에 해당하는 교과목을 개설하고, 향후 교과과정 편성에 있어서 주제전문화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 그리고 우리나라 현실에서 정신보건사서의 양성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으로 문헌정보학과 대학원에 '정신보건사서' 과정을 설치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제전문사서의 자질 개발과 확충을 위한 지침으로서,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확립과 우리나라 도서관 현장과 학계의 당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특화도서관 사서의 인식조사 기반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Plan of the Perception Survey Foundation for Specialized Library Librarian)

  • 노영희;신영지;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91-11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특화서비스 현황, 특화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 등을 조사하고, ISA 기법을 기반으로 특화 주제 자료, 특화서비스 장소, 특화프로그램, 특화 주제 분야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하여, 특화도서관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화도서관 주제 선정은 해당 도서관 지역의 특징, 역사, 자원 등을 반영하여 주제를 선정해야 하며, 뿐 만 아니라 지역 주민 및 이용자의 수요조사를 통해 선정해야 한다. 둘째, 특화도서관은 특화 주제 분야에 적합한 프로그램 유형과 이용자의 수요조사를 기반으로 체험형, 강의형, 관람형 등의 유형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특화도서관 공간은 일체형, 일체 속 분리형, 분리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분리형으로 독립적인 특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각 도서관의 상황 및 특화 주제의 특징을 고려하여 공간을 구성해야 한다. 넷째, 특화도서관은 해당 주제 분야의 전문가를 최소한 1명 정도는 특화 전담인력으로 배치해야 한다. 전담 인력은 특화공간에서 해당 주제와 관련된 수서, 정리, 열람과 관련된 업무, 특화관련 프로그램 운영, 특화 관련 대출 및 참고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특화주제분야의 전문가이면서도 도서관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사서여야 한다.

주제전문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Korea)

  • 노영희;노동조;안인자;김성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97-123
    • /
    • 2008
  • 주제전문서비스는 도서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전문화 특성화 개인화 등의 이용자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는 서비스 개념이라 할 수 있으며, 국내의 경우 1960년대부터 논문을 통해 주제전문사서의 개념이 논의되기 시작했고, 현장의 많은 도서관들에서 실제로 주제전문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들을 대상으로 이들 도서관들의 주제전문사서체제 도입배경, 주제전문서비스 내용 및 효과, 운영상의 애로사항 및 운영방법, 주제전문사서 채용방법 및 교육훈련방법, 주제전문사서의 직무에 대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주제전문화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국내외 주제전문사서 구인구직 수요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도서관학 교육과정 구성의 원칙 (The Principles of the Composition of Library Science Curriculum)

  • 구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5권
    • /
    • pp.45-72
    • /
    • 1988
  • A study has been made prior to the emphatic research to see how the curriculum of the Library Science Departments, in general, has developed to date. In the principles of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of library scienc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termine what decisions will be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changing trend of the society, regarding the matters of general specialization versus subject specialization education, the definition, change and operation of the core subject, the expansion of the elective specialized subjects and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by types of the library, and the curriculum composition in terms of subject specilization. The curriculum should consist of a unified series of courses and other educational experiences, designed to meet specific program objectives. Principles and concepts should be emphasized, over routines and techniques. All students should study certain fundamental 'core' subjects, as well as more specialized electives. General education (studies outside of librarianship) should be a major component of the total education of the librarian. Fundamental core subjects should be treated as introductory courses covering deep studies that can provide the most inclus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brary science field. They should be offered as pre-requisites required of all the students entering the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Specialized subjects and interdisciplinary courses comprising subject concentration should be offered as electives at the advanced level.

  • PDF

청소년들을 위한 도서관봉사의 일고찰 (A study of reference services for young adult)

  • 손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0권
    • /
    • pp.59-94
    • /
    • 1983
  • Through the close exam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social institutions and its programs, and newly added and expanded library reference services. it is founded that new role and qualifications of young adult reference librarians are prerequisite subject.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new role and qualifications of specialized young adult reference librarianship. 1. Adequate training and education for the YA librarians is needed in order to have understanding of their characteristics (physiology, psychology, personality etc.). 2. Because of librarian's unique exposure to human relations and their personal awareness of other people's need, YA librarian should bring a person-centered managerial technique. 3. Librarianship may not have a clinical counseling function but to provide right answer or information, the librarian become counselor inescapably. 4. Librarians are not professionally trained to be experts on counseling in sex education. However, librarian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ducating YA by committing book selection, reader's advisory, referral services, library programming and staff development plan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