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Catalog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6초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Usability Test of Meta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 구중억;이응봉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5-214
    • /
    • 2009
  • 본 연구는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일반 검색시스템과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 두 실험시스템의 사용성을 비교 평가하여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사용성은 전체적으로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일반 검색시스템 보다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이 더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도서관들이 인터넷서점, 검색엔진, 웹포털 등에서 공개한 도서검색용 Open API를 통해 제공되는 풍부한 콘텐트를 온라인목록에서 공유하고 활용하면 서지데이터의 확충, 주제접근과 주제검색 능력의 확대, 메타 검색서비스의 확장, 소장도서의 이용가능성 증대, 목록비용의 절감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 미국 대학의 가정교육과 교과목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ollege Courses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U.S.A.)

  • 임일영;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7-12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subject matters opened o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and U.S.A. For this study, 17 undergraduate catalog and college course guidelines of Korea and the 15 undergraduate catalog and course guidelines of U.S.A. were collected. Collected materia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is comparision and analysis, classified the subject matters as three steps based on these dat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rithmetic mean, percentage, frequenc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s ; 1. The number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relative subject matters opened in Korea is 10% below, and U.S.A.'s is 20~30%. The ratio of U.S.A. is higher than that of Korea. 2. The domain of clothes & textiles and foods and nutrition is 50% in Korea, So, There is unbalance in Korea. 3. U.S.A. oftened various names of subject matters by characteristics more than in Korea.

  • PDF

대학도서관의 온라인목록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Online Catalog Use Study in a University Library)

  • 유재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89-318
    • /
    • 1997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은 1996년 5월 온라인목록시스템인 DISCOVER(Duksung Information System COVering Education & Research)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DISCOVER가 제공된 지 약 5개월 후에 이용자의 온라인목록 이용특성을 파악하고자 질문지를 사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996년 10월 4일부터 8일까지 5일 동안 도서관 이용자 278명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온라인목록 이용실태, 탐색특성 및 온라인목록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카드목록보다 온라인목록을 선호하며 $(87.4\%)$, 온라인목록을 사용하기 쉬운 것으로 간주했다. $(89.6\%)$ 2. 과반수 이상의 이용자 $(65.8\%)$는 온라인목록을 한 학기에 10회 이상 빈번하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적극적인 이용자의 비율은 전 학년에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1학년들의 적극적인 온라인 목록 사용$(66.7\%)$은 온라인목록의 사용 편이성과 용이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3. 한편 온라인목록이 어렵다고 응답한 이용자 $(10.4\%)$들은 온라인목록 사용법에 관한 지식부족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확인되었다. 4. 이용자들은 메뉴검색을 가장 선호하며 알고있는 자료를 검색할 때에는 서명을, 주제탐색을 해야 할 경우에는 주제 명을 탐색의 접근 점으로 사용하였다. 5. 온라인목록에 대해서는 호의적이나$(83.5\%)$ 탐색성공률은 $(77.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급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완료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추측된다. 6. 이용자들이 편리하다고 간주하는 접근 점은 서명과 저자 명이며 분류번호나 청구번호를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 사용법 미숙과 탐색기법에 관한 지식부족이 탐색실패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어 이용자에 대한 온라인목록 사용법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8. 목록형태가 카드에서 온라인으로 전환되면서 나타난 가장 특기할 만한 이용행태 특성은 사용하는 탐색의 접근 점이 달라졌다는 점이다. 카드록을 사용할 때는 알고 있는 자료탐색이거나 주제탐색이거나 서명이 가장 많이 사용된 접근 점이었다. 반면에 온라인목록에서는 알고 있는 자료일 때에는 서명이, 주제탐색일 경우에는 주제 명을 접근 점으로 차이를 보였다. 즉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에서의 주제검색기능이 향상된 것으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이용자 중심적인 온라인목록에 되기 위해서는 현행시스템의 개선이 요구되는데 이용자들의 주제검색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주제 명 접근을 허용하는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PDF

E-catalog를 활용한 학습효과 제고를 위한 시스템 구현 (The System Implementation for a Learning Effect Improvement using an E-catalog)

  • 함호종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33-241
    • /
    • 2008
  • 학습자의 수준을 적은 시간에 크게 높일 수 있는 방법은 강의 내용을 학습자 수준에 맞도록 스스로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전문대학과 같은 수업 환경은 한 과에 수 개의 반과 각 반에 해당하는 교수와 많은 학생들이 수업을 수강하게 되며 학생들의 수준과 욕구도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른 각 교수들의 강의 내용을 해당 반 학생들 이외의 같은 과목을 수강하는 다른 반 학생들에게 다른 반 교수들의 강의한 학생들의 첨삭지도내용을 볼 수 있다면 학생들이 타 학습자의 내용과 수준을 활용한다면 학업 성취도는 향상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시스템을 만들었다. 또한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 무선에서 첨삭지도 내용과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했으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는 방법의 하나로 e-catalog 개념을 활용하였다.

  • PDF

어린이청소년자료 온라인종합목록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Union Catalog of Children's Material in Korea)

  • 유재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5
    • /
    • 2009
  • 본 논문은 어린이청소년자료를 검색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반영한 검색의 접근점이 온라인목록 구축에 반영되어야 할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예를 들면 이용자 연령, 자료유형, 주제/테마, 소재지, 권장도서, 서평, 수상작 정보 등의 검색접근점은 어린이청소년자료를 위한 온라인목록시스템에 반드시 포함시켜야 할 접근점으로 파악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KOLIS-NET이 소장하고 있는 어린이청소년자료를 기반으로, 어린이청소년자료 온라인 종합목록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온라인목록 주제접근점 확장을 위한 분류표 지식베이스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DDC Knowledgebase Design for Subject Access in Online Catalog)

  • 이용민;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7-103
    • /
    • 1989
  • 온라인목록은 최소한 카드목록이 제공해주는 접근방식을 지원해 주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목록 검색환경에서 주제접근의 유용성을 논하고, 기존 이용자들에게 익숙한 접근방식인 분류표 접근을 구현하기 위하여 분류표를 프레임구조의 지식베이스로 설계하였다. 지식베이스는 DDC20 판의 새로 추가된 전산과학 분야에 해당되는 004-006 번의 주제영역과 상관색인 부분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이 시스템은 이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주제영역의 분류표에 접근하게 함으로써 그 분야의 체계적인 기념배열을 살펴 볼 수 있게 하고 관련분야의 문헌을 검색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모두 이용자의 검색능력을 확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류표를 출력하여 봄으로써 이용자는 해당 주제의 분류영역에 대한 보다 확실한 개념 및 범위 파악이 가능하였다.

  • PDF

신편제종교장총록의 저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try of [Sinpyon-jejong-kyojang-chonglok])

  • 김성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6권
    • /
    • pp.1-22
    • /
    • 1997
  • [Sinpyon-jejong-kyojang-chonglok] is a bibliography and subject catalog, called [Sokjangkyoung-catalog], which was introduced in Coryo dynasty. It was developed by [Degakguksa Yuichun] in 11th century(1090) and holds an important feature in Korean cataloging history as well as in the world cataloging history as the first [Sokjangkyoung-catalo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ntry description of [Kyojang-chonglok] and analyzes it in the contemporary perspective of Cataloging Rules.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Kyojang-chonglok] Follows the 'title main entry method'. Since the modern a n.0, pproach a n.0, pplies direct method which utilizes title, rather than indirect method which utilizes author name, we could safely assume that [Kyojang-chonglok] follows the modern principles such as standardization of cataloging and unification of bibliographical description. We could also extend our findings to conclude that [Sinpyon-jejong-kyojang-chonglok] created a foundation for modern 'title main entry system' such as ISBD and KCR3. Also, the bibliographical description of [Kyojang-chonglok] meets the conditions of B. S. Wyner, shown in the below. 1) logicality 2) flexibility 3) quickness 4) compactness 5) economic

  • PDF

외국학술잡지종합목록데이터베이스 현황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Union Catalog of Foreign Journals)

  • 산업기술정보원 정보자료실
    • 정보관리연구
    • /
    • 제26권3호
    • /
    • pp.54-62
    • /
    • 1995
  • 본고는 1995년 개정 보완된 $\ulcorner$외국학술잡지종합목록:과학기술편$\lrcorner$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것이다. 본 데이터베이스는 국내 253개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외국과학기술잡지 13,449종의 서지정보와 소장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수록자료의 발행국, 발행언어, 발행빈도, 주제분야별 분포 현황, 그리고 중복소장 현황등이 분석되었다.

  • PDF

학위논문의 정리와 이용 (Organization and use of theses collections in university libraries)

  • 최달현;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2권
    • /
    • pp.161-198
    • /
    • 1985
  •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organization and use of theses collections in university libraries of Korea.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31 questions on 6 items was sent to 44 university libraries of which 40 libraries responded.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igures concerning registration of theses can be tabulated as follows. 2. In differentiation of oriental and occidental theses, 20 libraries (50%) depend on the basis of the text language. 3. Thirty-four libraries (85%) classify the theses and 27 (80%) of them use the same tables with book classification schedules. For classification level, 17 libraries (48.6%) classify them in section numbers whereas 13 (37.1%) in sub-sections. 4. Catalog or index cards of theses are made in 35 libraries (87.5%) of which 20 libraries are using the second level of bibliographic description. 5. Roman alphabets in a title are described a such 27 libraries (67.5%). 6. Most of respondents are preparing author, title and classified catalog cards for users. The research reveals that only 8 libraries are giving subject headings to the theses. 7. Twenty-three libraries (63.9%) have theses catalogs in separation from their book catalogs. 8. Most helpful bibliographic elements in an entry for users are reported to be author, title, date and notes. In general, theses collections have many different features in various aspects compared with book material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ocess the former differently with the latter. Firstly, it would be more convenient to register theses on the different register from the book register. Secondly, minute classification of theses would be necessary for their users. thirdly, text language is the common basis of discriminating oriental materials and occidental ones. Fourthly, a simple catalog would be quite good enough to use theses collection, for most helpful elements in an entry are limited to author, title, date and notes. Fifthly, it is strongly recommendable to transcribe all the roman alphabets on the titles into Korean alphabets. Sixthly, the research revealed that our library would needs to develop subject heading work which is for behind other library works.

  • PDF

색인사 연구

  • 박준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권
    • /
    • pp.23-59
    • /
    • 1975
  • Indexes has not devcloped as an independent branch in library science from the beginning, but it has gradually evolved in a clo~eas sociation with catalog and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publishing pro cesses and of the rapid social changes. Historically, index in the West can be traced back to eariler concordance. On the other hand, index in the Bast does not show a continuous development. It started with book catnlog, but other types of indexing were later 'adopted from the West. Indexing in the West and in the Eas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West, Taylor considers Gesner's Pandectae was the first index but the Concordance of the Bible in 1247 was the first true index. Indexing method was first established later in 1545 in Gesner's Partitiones which appeared in three volumes. Classified index appeared after Partitions, but alphabetically ordered index was not developed until th eseventeenth century. The pxiodical index of La France S~auante in 1683 proved -its value, and Poole's An Alphabetical Index in the nineteenth century became the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indexing. After Poole's Index appeared periodical index and book catalog gradually began to be treated separately, and subject index and cross reference were incorporated into indexing. Also dictionary arrangement of the indexed items was adopted in the second half of the nincteenth, century after Charles A. Cutter developed his theory of rules for dictionary catalog and systematic studies of indexing were carried out by many scholars. In the twentieth century, index was mainly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specially by Wilson publishing Company. The general trend is to move away from the gcncral index to subject index. Also the ncwspapcr indcx such as The Times I~zdcx is 21 landmark in the history cf indcxing. 2) In China, thcs arc somc cvidcnccs that $Bizgluh(&), $ was the first indcx, but unforlunatcly the book itsclf has not been found as ye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