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검색결과 18,529건 처리시간 0.043초

대학도서관 온라인 주제 가이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nline Subject Guides in Academic Libraries)

  • 곽철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381-40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학도서관 주제 가이드를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재적학생 1,000명 이상의 국내 4년제 대학 및 2개 과학기술원 대학도서관 151개관 중 온라인 주제 가이드를 운영하는 22개관을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12가지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주요 내용은 첫째, 주제 가이드가 어떤 서비스 도구인지 명확하게 제시 못하고 있었다. 둘째, 동일 대학도서관에서도 주제 가이드 형식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많은 종류의 정보원을 제공하여 학생들은 필요한 정보원을 선택해야 했다. 개선 방안으로 첫째, 교과목 주제 가이드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표준화된 형식을 통하여 내용 중심의 가이드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정보원의 메뉴 범주의 명칭 통일이 필요하다. 넷째, 주제 가이드에 포함되는 정보원 수를 최소화해야 한다. 다섯째, 주제 가이드 개발을 위한 대학도서관 간의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구술 기록의 활용을 위한 패싯 기반 주제명표목 개발에 관한 연구: 해방촌 니트 사업 구술 기록을 대상으로 (A Study on Developing Facet-based Subject Headings of Oral History Records Use: Using Oral History Records of Knit Business in Haebangchon)

  • 김해인;정연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7-85
    • /
    • 2022
  • 본 연구는 해방촌 니트 사업을 주제로 수집된 구술 기록의 주제 접근을 위해 패싯을 기반으로 한 주제명표목의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문헌 연구에서 구술 기록과 그 내용의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고 구술 내용에 대한 패싯과 주제명표목의 적용 의미를 살펴보았다. 둘째, 구술의 서사적 측면을 반영한 육하원칙을 토대로 구술 기록에 대한 기본 패싯을 설정하였다. 셋째, 해방촌 니트 사업의 종사자와 관계자 7인과 면담자 1인의 구술 면담을 통해 수집된 녹취록을 대상으로 용어 분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540개의 주제어를 선정하고 패싯에 따라 범주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패싯으로 구분한 주제어를 주제 명표목의 표목으로 활용하여 관계어와 함께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구술 기록의 내용에 대한 주제적 접근과 활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온라인열람목록의 주제접근 방법 (Subject Access to OPACs in Korea)

  • 장혜란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7년도 제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112
    • /
    • 1997
  •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variety of the subject access methods of OPACs, telephone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to the computerized libraries in Seoul. Data was collected during 4 days in Feb. 1997, and 155 libraries were responded. It was found that 105 libraries are operating OPACs. Among the 105 libraries, almost of all provide classification number and title keyword access, however, only half of them provide subject name access. 18 libraries allow linking/browsing facility between classification number and subject name/keyword. The language of the subject name to oriental books is mainly Korean and that to the Western books is mainly English. LCSH is the major authority list used. 36 libraries, 2/3 of them are special libraries, subject name is assigned by librarian without control. Based on the results, problems and suggestions to enhance subject access capability are presented.

  • PDF

Scaling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MFM

  • Park, So-Yeon;Yi, Chung-Hwi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0-25
    • /
    • 2005
  •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 is an internationally widely used outcome meas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GMFM using the Rasch Model, with regard to scoring within rehabilitation centers in Korea. GMFM data for 206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collected from 11 outpatient rehabilitation facilities by 29 pediatric therapists. The Winsteps software was used to refine the rating scal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coring categor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MFM should be collapsed from 0 (subject does not initiate task), 1 (subject initiates task), 2 (subject partially completes task), 3 (subject completes task) to 0 (subject does not initiate task), 1 (subject initiates or partially completes task), 2 (subject completes task) for better accuracy in estimating the gros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PDF

색인언어의 어의적 관계 및 구문적 관계 (Semantic and syntactic relationships of indexing languages)

  • 윤구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1-26
    • /
    • 1995
  • Indexes, especially subject indexes, are major tools for information retrieval. To enhance the retrieval effectiveness of subject indexes, the semantic and syntactic relationships of indexing languages are very important elements. This paper examines the afore-mentioned relationships, based on purely the syntax and semantics of Korean language. The outlin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and usages of controlled vocabularies, particularly subject headings lists and thesaury, are reviewed. 2. The semantic relationships, such as equivalence, hierarchical and associative relationships, are defined, and their categories are investigated in detail. Accordingly, the usages of 'See' and 'See also' references are suggested circumstantially. 3. The syntactic relationships are also examined. Particularly, for the syntactic relationships of multiword indexing terms, two kinds of subject entry formats are compared. Since it is more rational for subject headings organized by the principle of context-dependency, the two-fine entry format is recommended for subject indexes. 4. Computerized production techniques of 'See' and 'See also' reference for the semantic relationships of indexing terms are presented. 5. Computerized production techniques of subject indexes representing the syntactic relationships of indexing terms are also presented.

  • PDF

2008학년도 이후 대학입학제도 개선안에 따른 학교생활기록부 교과성적 기록방식의 비판적 검토 (A Critic Analysis on the Plan to Recor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hool Life Document)

  • 김재춘;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8권2호
    • /
    • pp.194-20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udent assessment plan of subject domain and to propose ways to improve it.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of our student assessment plan of subject domain and overviewed the student assessment cases of several countries. And then researchers discussed the improvement plans of student assessment of subject dom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enlarge the use of detailed subject-ability record space or to assess student's subject-related ability according to subordinate perspectives of subject. Second, we need to establish the desirable evaluation-perspective and to develop absolute evaluation criteria of each subject and unit. Third, we need to diffentiate the scores of differentiated test items or equate the scores of differentiated groups.

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 안전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on Safet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 김종복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7-11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elementary school on safet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of an elementary school have positive attitude about safety education and must prevent an accident to be able to happen during a class of a practical course previously. Safety education has further an interest on subject of practical arts of practice and must induce an aggressive interest of teachers in order to be able to prevent an accident previously. As the above results, to rais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afet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ways to induce teachers' active interest in safety education and help them experience safet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at teacher training centers.

Piaget의 인지발달론에 기초한 국민학교 실과교과 내용분석(I) -만들기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of Practical Course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 정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3-145
    • /
    • 199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and the practical course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killful subject and living subject, and to discriminate the suitability of contents of the practical course subject for the childrens’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This work could serve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the practical course subject presents practical experiences which lead the development of logico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shows that create activities develop the logico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such as projective geometry, topology geometry, area conservation, length & distance conservation, and volume & mass conservation. And the most contents of the practical course subject are suitable for the childrens’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 PDF

한·중 피동 표현 대조 연구 - 한국어 행위주 표지와 중국어 피동 표지 대비 중심으로 - (A Contras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Passive Expression: Centered on Korean Act Subject Marks and Chinese Passive Marks)

  • 우동동;김인균
    • 비교문화연구
    • /
    • 제47권
    • /
    • pp.217-240
    • /
    • 2017
  • 본고는 피동 표현에서의 한국어 행위주 표지 '-에게(한테)', '-에, -로'와 중국어 피동 표지 '피(被)[$b{\grave{e}}i$]/양(?)[$r{\grave{a}}ng$]/규(叫)[$ji{\grave{a}}o$]/급(?)[$g{\check{e}}i$]'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분포양상 및 특징을 살피고 이들 형태를 비교 대조를 통하여 그 대응 관계를 면밀히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대조 분석 시 두 언어의 유형적 특징, 피동 표현에서의 행위주, 피동주에 대한 선택 제약, 그리고 '받다'류 피동 표현에서 행위주(피동) 표지의 사용 제약과 같은 3가지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 본 대조 분석을 통해 확인한바, 한 중 피동 표현에서 한국어 행위주 표지 '-에게(한테)', '-에, -로'와 중국어 피동 표지 '피(被)/양(?)/규(叫)/급(?)'는 각각 행위주와 결합하여 부사어 역할을 하고 있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용법에 있어 차이점을 보였다. 먼저 두 언어 유형적 특징에 따라 피동 표현에서 행위주와의 결합 방식이 각각 달리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행위주 표지는 오로지 조사 역할을 하여 '행위주 유정성 유무'에 대한 제약만 받는 반면, 중국어 피동 표지 '피(被)/양(?)/규(叫)/급(?)'는 각각 문법화 정도에 따라 행위주 유무뿐만 아니라 피동주 유정성 유무 그리고 문장에 나타나는 어휘의 의미에 따른 제약 등을 보인다. 특히 한국어 '받다'류 피동 표현에서 한국어의 행위주 표지 '에게(한테), -에, -로'는 그대로 사용되지만 대응하는 중국어에서는 피동 표지 사용에 여러 제약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도서관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Online Subject Guides in Academic Libraries)

  • 김수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65-189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를 조사하여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조사된 100개 대학 중 14개 대학만이 온라인 주제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구축은 초기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주제가이드들은 내용 구성면에서 볼 때 접근성, 포맷의 일관성, 자원통합성 영역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주제 다양화, 이용자 교육, 검색 영역에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온라인 주제가이드가 지향해야 할 방향은 신속한 정보자원으로의 접근, 주제 특화된 이용자 교육, 사서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원스탑(one-stop) 서비스가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