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grade stiffnes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9초

노상 성토조건에 의한 다짐영향 (The Effects of Embankment Condition of Subgrade on Compaction.)

  • 노한성;김태수;최영철;백종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57-364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the feasibility of compacting subgrade layer in thicker lifts than currently permitted as 20 cm. This project involved constructing and testing a full scale test section in highway. Soil stiffness in field was evaluated by a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 called Geogage. Quality control tests and FE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Typical dynamic compaction roller of 11ton weight is applied for full scale test and a Mohr-Coulomb model and Plane strain condition are used for F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ction-induced stress and dissipated energy are mainly depend on depth of soil and it could be possible to increase thickness of a lift.

  • PDF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확장시 포장하부지반의 강성과 변위발생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Foundation Stiffness and Deformation below Widening Portland Cement Concrete Pavement Sections)

  • 양성철;임유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41-49
    • /
    • 2009
  • 콘크리트 포장 확장공사시 하부지반의 다짐도 부족과 이로 인한 강성 및 지내력 발생차이는 접속부에서의 벌어짐, 단차, 밀림 등을 발생시키지만 이들 상호간의 연관성에 대한 국내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판재하시험(PBT)과 공내재하시험(PMT)을 이용하여 확장부 및 기존포장부에서 하부기초 강성측정을 각각 시도하고 그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확장부 및 기존도로부의 강성차이의 크기발생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확장구간과 기존구간의 지내력과 강성 차이 및 접속부의 처리방안의 차이에 의한 포장슬래브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변위계를 현장에 설치하여 벌어짐, 단차, 밀림의 발생현상을 관찰하고 이들 사이의 상호연관성과 발생 원인을 분석하여 그 원인을 규명하였다.

경험식을 통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수평지반반력계수와 수평거동 영향범위의 평가 (Evaluation of Lateral Subgrade Reaction Coefficient Considering Empirical Equation and Horizontal Behavior Range of Large Diameter Drilled Shaft)

  • 양우열;황태현;김범주;박성백;이강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11
    • /
    • 2020
  •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수평지지 특성은 말뚝의 강성, 인접지반의 수평지반반력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특히 말뚝설계 시 많이 활용되는 경험적인 수평지반반력계수는 그 결과의 값에 따라서 지지력의 차이가 크므로 수평지지력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지반반력계수의 평가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말뚝의 취약부인 수평하중에 대한 영향범위와 최대 모멘트의 발생위치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고, 수평하중에 대한 말뚝의 보강영역을 판단하는데 주요 고려사항임에도 기존 연구에서는 이 관계에 대해 평가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수평지반반력계수를 평가하고, 말뚝의 영향범위(1/β)와 최대 모멘트의 발생위치(zm)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현장시험과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수평지지력은 경험식을 통한 산정결과에 따라 최대 190%정도 차이를 보였다. 또한, 말뚝의 수평거동에 대한 영향범위와 최대 모멘트의 발생위치의 관계는 지반조건에 따라 선형적 관계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평판재하시험을 이용한 지반반력계수와 변형률계수의 상관관계 평가 (Evaluation of Correlation between Subgrade Reaction Modulus and Strain Modulus Using Plate Loading Test)

  • 김대상;박성용;김수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57-67
    • /
    • 2008
  • 철도노반의 다짐 후 품질을 관리하기 위하여 비반복 평판재하시험(nonrepetitive plate loading test)으로부터 얻어지는 지반반력계수(subgrade reaction modulus, $k_{30}$)와 반복평판재하시험(repetitive plate loading test)으로부터 획득하는 변형률계수(strain modulus, $E_v$)의 두 계수를 혼용하고 있다. 평판을 이용한 재하시험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두 시험법은 동일하나, 설계정수 획득방법, 반복재하 횟수, 각 하중 단계에서의 시험 종료방법 등 시험방법에는 큰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시험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두 계수에 대한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부고속철도 2단계 공사구간의 원지반 6개소와 쌓기지반 5개소에 대한 총 22회의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장 시험 시의 응력조건, 변형률 조건 및 포아송비 조건을 고려한 보정을 수행하여 두 계수의 상관성을 높였으며, 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지반종류에 따른 상관계수를 제시하였다.

철도 교량접속부의 토압과 노반강도와의 상관관계 (A Correlation Analysis on Earth Pressure and Subgrade Stiffness in Bridge Abutment Transition Zone)

  • 김진환;조국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647-655
    • /
    • 2016
  • 고속철도 건설의 증가와 기존선 개량사업 등은 철도의 직선화를 필요로 하며, 이는 터널과 교량 건설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철도에서 접속부는 궤도지지강성이 변화하는 구간으로 열차운행의 안정 및 잦은 궤도틀림 발생 등으로 특별히 주의를 요하는 구간이 된다. 가장 대표적인 접속부 구간은 터널과 토공의 접속부와 교량과 토공의 접속부를 들 수 있다. 그 중 교량과 토공의 접속부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에서 교량과 토공의 접속부가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철도 교량과 토공의 접속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이 구간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진하중을 받는 말뚝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 예측 (Prediction of the Natural Frequency of a Soil-Pile-Structure System during an earthquake)

  • 양의규;권선용;최정인;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976-984
    • /
    • 2009
  • This study proposes a simple method that uses a simple mass-spring model to predict the natural frequency of a soil-pile-structure system in sandy soil. This model includes a pair of matrixes, i.e., a mass matrix and a stiffness matrix. The mass matrix is comprised of the masses of the pile and superstructure, and the stiffness matrix is comprised of the stiffness of the pile and the spring coefficients between the pile and soil. The key issue in the evaluation of the natural frequency of a soil-pile system is the determination of the spring coefficient between the pile and soil. To determine the reasonable spring coefficient, subgrade reaction modulus, nonlinear p-y curves and elastic modulus of the soil were utilized. The location of the spring was also varied with consideration of the infinite depth of the pile. The natural frequencies calculated by using the mass-spring model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1-g shaking table model pile tests. The comparison showed that the calculated natural frequencies match well with the results of the 1-g shaking table tests within the range of computational error when the three springs, whose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using Reese's(1974) subgrade reaction modulus and Yang's (2009) dynamic p-y backbone curves, were located above the infinite depth of the pile.

  • PDF

수치해석을 통한 암성토 부분보강의 침하억제 효과 평가 (Numerical Evaluation of Settlement Reducing Effect by Partial Reinforcement of Rock Fill)

  • 이수형;최영태;한진규;구교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9권11호
    • /
    • pp.23-31
    • /
    • 2023
  • 콘크리트 궤도의 침하는 고속열차의 안전한 운행을 크게 저해할 수 있으며 복구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침하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터널공사의 부산물로 발생하는 암석재료를 적정한 입도분를 가진 토사 혼합 없이 하부노반 성토에 사용하기 때문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암석재료로 성토된 하부노반의 부분 보강으로 인한 침하억제 효과를 수치해석으로 평가하였다. 하부노반에 일정하게 배치된 기둥 형태의 보강 영역은 상부노반에 지반아칭을 유발하게 되며 성토하중이 보강된 영역에 집중하게 되어 침하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보강된 영역의 크기, 강성, 간격이 하부노반의 침하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해석 결과를 토대로 침하를 허용치 이내로 억제하기 위한 최소 보강 간격을 결정하는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계류식 돌핀구조물에 대한 지반-말뚝계의 비선형 지반반력 해석 (Nonlinear Subgrade Reaction Analysis of the Soil-Pile System for Mooring Dolphin Structures)

  • 오세붕;이진학;이상순;김동수;정태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3-16
    • /
    • 1999
  • 현재 국내에서는 부유식 구조물을 이용하여 소각로 및 담수화 공장을 해상에 축조하는 BMP(Barge Mounted Plant)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수행중에 있다(한국기계연구원 1997).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BMP의 계류 돌핀(mooring dolphin) 구조물하부의 말뚝기초의 거동을 모델하는 기법에 관하여 다루었다. 지반-말뚝계의 축하중 및 횡하중에 대한 거동은 지반을 비선형 스프링으로 모델하고 말뚝을 일축부재 및 보로 모델하여 유한차분적으로 해를 구하는 비선형 지반반력해석을 수행한다. 이러한 말뚝두부에서의 하중-변위관계로부터 지반-말뚝계의 등가강성을 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제도 주변 해역을 대상으로 지반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지반의 깊이에 따른 축방향 및 횡방향 하중전이 관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돌핀하부의 말뚝에 대하여 축하중 및 횡하중에 대한 지반반력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해석과정을 통하여 대상지역에 적합한 말뚝의 관입깊이 및 단면을 합리적으로 산정할 수 있었다. 결국 말뚝두부에서의 하중-변위관계로부터 지반-말뚝계의 강성을 모델함으로써, 지반조건을 고려하여 돌핀구조물의 동적해석을 합리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해석결과 지반-말뚝계의 강성을 고려할 경우에는 강체로 고려한 경우에 비하여 변위 진폭이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돌핀의 케이싱 상부의 모멘트가 더 크게 나타나고 해저지표 말뚝두부에 전달되는 모멘트는 더 작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콘크리트 포장구조의 평면응력 해석을 위한 컴퓨터모델 (A Computer Model for the Planar Effects of Concrete Pavements with Skewed Joints.)

  • 조병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8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18
    • /
    • 1989
  • The planar effects on the concrete pavements Is mainly due to the concrete shrinkage, subgrade friction, and thermal expansion or contraction. A complete understanding of analytical behavior of concrete pavement requires the development of computer model, stiffness matrix and equivalent nodal load matrices due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 computer program, INPLANE II, has been written to evaluate the planar effects on concrete pavements. The planar effects determine to what degree the joint open and also help In determining factors which affect the joint stiffnesses and structural behavior of concrete Pavements.

  • PDF

콘크리트 포장구조에서 조인트 강성의 영향 (The effects of Joint Stiffness On Concrete Pavements)

  • 조병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0-52
    • /
    • 1990
  • Although concrete pavements were successfully widespread throughout the nation due to the desirable surface characteristics, durability, and economy, it still causes several transverse cracking and joint failure problems in some areas. In this paper, the major emphasis was given to provide a rational analytical approach on joint failure mechanisms, considering several sets of joint stiffnesses on different subgrade moduli. Besides , load transfer mechanisms on concrete pavement joints were highlighted with finite element method and computer model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