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aeda maritima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4초

엽록체 DNA 및 핵 DNA 염기서열에 근거한 한국산 나문재속(명아주과)의 분류학적 연구 (Phylogenetic study of the Genus Suaeda(Chenopodiaceae) based on chloroplast and nuclear DNA sequences from Korea)

  • 김석규;정상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66-574
    • /
    • 2018
  • 한국산 나문재속 식물에 대한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밝히고,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나문재속 종간 유연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분자마커를 찾아내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핵 리보솜 DNA ITS와 엽록체 DNA matK, psbA-trnH 그리고 trnL-trnF를 분자마커로 사용하였다. ITS 영역은 칠면초와 해홍나물 그리고 해홍나물과 방석나물을 구분하지 못하였다. psbA-trnH와 trnL-trnF 영역의 염기서열은 칠면초와 방석나물을 구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4종의 분자마커 영역을 조합하여 분석한 결과 나문재속 식물 5종이 각각 독립적인 계통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나문재속 계통관계 분석을 위해서 여러 개의 분자마커 조합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나문재속 내 분류군 간의 계통관계를 명확히 밝히기 위해 차후에 좀 더 많은 생태학적, 형태학적 자료를 조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새만금 간척지구 내 안서 포구 일대의 식생 분포에 대한 연구 (Vegetation Distribution of Intertidal Zone and Estuary Area on Anseo Port in Saemangeum Reclamation Zone)

  • 김은규;정영상;정형근;주영규;천소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94-505
    • /
    • 2007
  • 간척이 식생 분포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새만금 간척지구 내 안서 포구 앞 조간대와 기수 지역에서 2003년부터 2004년에 걸쳐 식생과 토양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지역의 조간대와 기수 지역에 출현한 식생은 모두 염생식물로, 조간대는 3종의 염생식물이 출현하여 단순하였고, 만조대와 기수 지역은 각각 9종과 8종이 출현하여 조간대에 비하여 다양하였다. 식물종은 조간대에서 해홍나물(Suaeda maritima), 갯질경(Limonium tetragonum) 및 칠면초(Suaeda japonica)가, 기수 지역의 비침수 지역에서는 해홍나물, 갯질경 및 갯개미취(Aster tripolium)가, 기수 지역의 침수 지역에서는 갯댑싸리 (Kochia scoparia var. littorea)가 우점하였다. 토양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조간대 내에서 식물종의 출현은 토양의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 $Na^+$$Cl^-$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식물종 간의 EC 농도는 동일지역 내에서는 유사하였으나, 서로 다른 지역에서는 동일종 간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여, 식물종의 출현 유무는 토양환경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었다. 조간대 및 기수 지역에서 식물종의 출현은 토성과 토양화학성에 따라 다름으로써, 식생의 분포는 토양환경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부안갯벌 생태계 복원을 위한 칠면초와 해홍나물의 내생진균류에 대한 유전학적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Genomic Diversity of Endophytic Fungal Strains Isolated from the Roots of Suaeda japonica and S. maritima for the Restoration of Ecosystems in Buan Salt Marsh)

  • 유영현;윤혁준;서영교;김미애;신재호;이인중;추연식;김종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7-295
    • /
    • 2012
  • 부안갯벌에서 채집된 염생식물 칠면초와 해홍나물의 뿌리로부터 84종의 내생진균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 염생식물 샘플은 칠면초와 해홍나물이 부안갯벌로부터 분리되었다. 모든 내생진균류들은 ITS1, 5.8s와 ITS2를 포함하는 ITS영역의 서열에 의해 분석되었다. 내생진균류들은 Pleosporales (45%), Eurotiales (27%), Incertae sedis (11%), Dothideales (6%), Capnodiales (5%), Hypocreales (5%), 및 Agaricales (1%)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생진균류는 자낭균문과 담자균문의 Alternaria속, Ascomycota속, Aspergillus속, Aureobasidium속, Cladosporium속, Eupenicillium속, Fusarium속, Gibberella속, Hocrea속, Lewia속, Macrophoma속, Penicillium속, Peyronellaea속, Phoma속, Pleospora속, Pleosporales속, Pseudeurotium속, Schizophyllum속, 그리고 Talaromyces속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alternaria (21%)와 Penicillium (13%)이 우점종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칠면초와 해홍나물로부터 내생진균을 분리한 결과 Pleosporales 목과 Eurotiales 목의 Alternaria (21%)와 Penicillium (13%)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 만경강 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Salt Marshes of Mankyeong River Estuary in Jeonbuk)

  • 김창환;이경보;조두성;명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9-298
    • /
    • 2006
  • 만경강 하구역 염습지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10과 25속 29종 3변종으로 총32종류(taxa)가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5과 6속 6종 1변종 총7종류(taxa)이 조사되었다. 식물의 생활형에서 휴면형은 반지중식물(H)이 10종, 31.3%로서 1년생식물의 10종과 동일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번식형에서는 중력산포형이 23종으로 71.9%로 나타났다. 생육형을 보면 직립형이 9종, 총생형이 9종, 후직립형이 5종으로 조사되었다. 식생의 특징은 조간대가 넓게 펼쳐져 있어서 조수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 식생의 구성종으로는 칠면초가 가장 높은 우점도를 보이고 있으며, 갯개미취, 모새달, 갈대, 비쑥, 천일사초 등이 주로 나타난다. 표조작법에 따라 식물군락을 분류한 결과 칠면초 군락, 갯개미취-비쑥 군락, 해홍나물 군락, 해홍나물-칠면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 갈대 군락, 털물참새피 군락, 갯개미취 군락, 칠면초-갯개미취 군락, 갯개미취-칠면초 군락, 모새달 군락의 11개 군락으로 구분되어졌으며, 염습지내 식생의 분포는 저위염습지와 고위염습지의 지형적 차이에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칠면초 군락은 우리나라 서남해안 갯벌 염습지의 우점종으로서 본 조사지역내 저위염습지에서는 순군락을 이루고 있다. 염습지의 수로, 습지, 해안하구 주변에서는 주로 갈대가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기수지 역, 염습지내 토사가 퇴적된 곳 등에서는 천일사초가 집중반상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 해안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Coastal Vegetation in Korea)

  • 이용호;오영주;이욱재;나채선;김건옥;홍선희
    • 환경생물
    • /
    • 제34권1호
    • /
    • pp.41-47
    • /
    • 2016
  •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해안 식생의 식생 구조에 대하여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102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M 학파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국내 해안에 발생하는 식물 군집 구분은 총 11개의 군락으로 순비기나무-돌가시나무 군락, 갯메꽃 군락, 통보리사초-갯그령 군락, 갯잔디 군락, 해홍나물 군락, 방석나물 군락, 나문재-가는갯는쟁이군락, 칠면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 갈대 군락, 산조풀 군락이 구분되었다. 각 군락 들은 발생지역과 환경에서 다양성을 보였다. 식생 자료에 대한 주성분분석 (PCA) 결과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 결과를 지지하였다.

퉁퉁마디뿔나방 월동 서식처와 발생동태 (Overwintering Site and Occurrence Dynamics of Scrobipalpa salinella (Zeller) (Lepidoptera: Gelechiidae))

  • 백채훈;이건휘;최만영;노태환;심형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71-74
    • /
    • 2013
  • 퉁퉁마디 재배지에서 퉁퉁마디뿔나방 월동유충의 이동시기 및 서식처를 전북 김제와 전남 신안에서 조사하였다. 퉁퉁마디뿔나방 유충은 9월 중순부터 퉁퉁마디 보다 주변에 있는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과 같은 염생식물에서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들 염생식물 내부에서 노령유충으로 월동하였다. 퉁퉁마디뿔나방 월동충의 밀도비율은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 각각 20.5, 28.4 및 51.1%로 해홍나물에서 월동하는 개체수가 가장 많았다. 월동 후 성충 첫발생시기는 전북 김제지역과 전남 신안지역 모두 4월 19일부터 20일 사이였다.

Diversity and Plant Growth-Promoting Effects of Fungal Endophytes Isolated from Salt-Tolerant Plants

  • Khalmuratova, Irina;Choi, Doo-Ho;Woo, Ju-Ri;Jeong, Min-Ji;Oh, Yoosun;Kim, Young-Guk;Lee, In-Jung;Choo, Yeon-Sik;Kim, Jong-G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1호
    • /
    • pp.1680-1687
    • /
    • 2020
  • Fungal endophytes are symbiotic microorganisms that are often found in asymptomatic plants. This study describes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fungal endophytes isolated from the roots of plants sampled from the west coast of Korea. Five halophytic plant species, Limonium tetragonum, Suaeda australis, Suaeda maritima, Suaeda glauca Bunge, and Phragmites australis, were collected from a salt marsh in Gochang and used to isolate and identify culturable, root-associated endophytic fungi. The fung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ITS1-5.8S-ITS2 was used as the DNA barcode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se specimens. In total, 156 isolates of the fungal strains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into 23 genera and two phyla (Ascomycota and Basidiomycota), with Dothideomycetes and Sordariomycetes as the predominant classes. The genus Alternaria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of strains, followed by Cladosporium and Fusarium. The highest diversity index was obtained from the endophytic fungal group associated with the plant P. australis. Waito-C rice seedlings were treated with the fungal culture filtrates to analyze their plant growth-promoting capacity. A bioassay of the Sm-3-7-5 fungal strain isolated from S. maritima confirmed that it had the highest plant growth-promoting capacity.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he Sm-3-7-5 strain revealed that it belongs to Alternaria alternata and is a producer of gibberellins. These findings provided a fundament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 symbiotic interactions between plants and fungi.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경기만 간척지에서 식생변화 (Changes in Flora Dynamics on th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 김은규;정영상;천소을;주영규;정형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9-300
    • /
    • 2009
  • 간척후 식생변화를 알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간척지에서 식생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지는 2002년 간척된 경기만 행담간석지, 체절후 각각 7년, 9년, 18년 된 충남 석문과 대호, 경기만 행담 간척지이다. 신간척지에서 주 식생은 Suaeda japonica이었으며 다른 식생은 드물었다. 기존 간척지에서는 다양한 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간척지에서는 Salicornia europaea, Suaeda glauca, Suaeda japonica, 그리고 Suaeda maritime 등 4종의 염생선구종식생이 분포하고 있었다. 간척연대가 진전되면서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차례로 출현하고 있었다. 기존 간척지에서 다양한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복합하여 나타났고, 이들이 선구종 염생식물보다 우점하였으며, Suaeda japonica는 출현하지 않았다.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의 다양성이 높아질수록 선구종염생식물이 감소되는 현상은 식생이 간척후 숙성에 따라 식생이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의 혼합으로 천이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간척초기에 신간척지에서는 외부식물의 침입에 따라 식생종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은 간척초기에 증가하였으나 선구종염생식물의 상대적 밀도와 빈도는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보다 높았다. 간척후 3년 이후 연구에 의하면 외부식물이 선구종 염생식물이 우점하였다. 이러한 식생의 변화에도 선구종염생식물로 Salicornia europaea, Suaeda maritima, 그리고 Suaeda glauca, 통성염생식물로 Aster tripolium, Sonchus brachvotus, 그리고 Phragmites communis 등이 간척지에서는 공통적인 주 염생식물으로서의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해변염생식물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IV) - 입지조건이 다른 염생식물군집 (Ecological Studies on the Halophyto Communities at Western and Southern Coasts in Korea(IV)-The Halophyte Communities at the Different Salt Marsh Habitats)

  • Kim, Cheol Soo;Tae Gon S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3호
    • /
    • pp.167-176
    • /
    • 1983
  • Species composition, life form, biomass and soil properties of the halophyte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from July to September, 1982. At the reclaimed land of Sanho-ri, sand dune of Jido, salt marsh of Suncheon Bay, and Somjin River estuary of Baealdo, species numbers were 26, 14, 13 and 7, dominant species were Salicornia herbaceae, Carex pumila and Suaeda japonica, respectively. Species composition of the 4 investigated areas was 13 families, 25 genera and 39 species, and of them, 10 families, 21 genera and 24 species were attributed to halophytes. Out of 22 life forms, the representative for Jido was $ G-D_4-R_1-3-e.t$and those for the other sites were Th-G4-R5-e. Above ground biomass of all species for Sanho-ri, Jido, Suncheon Bay and Baealdo were 441.3, 202.0, 150.7 and 353.3 g.dw/m2 and the ratios of above ground biomass halophytes to all species were 93.5, 92.7, 90.8 and 100%, respectively. The leading dominant species formed a continuum according to the salt gradiant. The similarity between Baealo and Suncheon Bay was relatively high, and Jido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others in species composition. Aster tripolium was stenohaline and appeared at the low salt concentration, but Suaeda maritima and Suaeda asparagoides were duryhaline and occured at the relatively high salt concentration.

  • PDF

Diversity and Plant Growth Promotion of Fungal Endophytes in Five Halophytes from the Buan Salt Marsh

  • Khalmuratova, Irina;Choi, Doo-Ho;Yoon, Hyeok-Jun;Yoon, Tae-Myung;Kim, Jong-G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408-418
    • /
    • 2021
  • The diversity and plant growth-promoting ability of fungal endophytes that are associated with five halophytic plant species (Phragmites australis, Suaeda australis, Limonium tetragonum, Suaeda glauca Bunge, and Suaeda maritima) growing in the Buan salt marsh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have been explored. About 188 fung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se plant samples' roots and were then studied with the use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ITS1-5.8S-ITS2). The endophytic fungal strains belonged to 33 genera. Alternaria (18%) and Fusarium (12.8%), of the classes Dothideomycetes and Sordariomycetes, were most rampant in the coastal salt marsh plants. There was a higher diversity in fungal endophytes that are isolated from S. glauca Bunge than in isolates from other coastal salt marsh plants. Plant growth-promoting experiments with the use of Waito-C rice seedlings show that some of the fungal strains could encourage a more efficient growth than others. Furthermore, gibberellins (GAs) GA1, GA3, and GA9 were seen in the Sa-1-4-3 isolate (Acrostalagmus luteoalbus) culture filtrate with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