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ylobat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7초

경계구조로 본 향단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yang-Dan focused on the boundary structure)

  • 방문정;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76-183
    • /
    • 2009
  •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fine the spatial concept of the boundary structure of the architectural space as well as evaluate the Hyangdan which well represents the features of Korean traditional building in such a way of reviewing the building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The boundary is categorized into visible boundary and invisible boundary which was also functionally classified into the features of isolating, passing, mediating and overlapping. The major elements comprising the boundary structure was analyzed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pattern so as to define them as the concept of surrounding, duality, hierarchism, continuity and overlapping. Based on such concepts, a boundary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yangdan were reevaluated and outlined as follows. The surrounding feature was seen through the outer side of the structure surrounded, two courtyards and eaves, and a duality showing both the closure of main house and openness of detached house was see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continuous activities toward the inner room and the empty space to link them in a systematic way and repeatedly aligned rooms reveal the overlapping as continuous and transitional space. And finally, an elevated stylobate demonstrates the hierarchical features of the structure.

15~17세기 초, 난간석만 갖춘 조선왕릉의 등장과 구조적 특징 (The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the Royal Tomb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 Focusing on the Bongneung Equipped with only Rail Stones -)

  • 신지혜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5호
    • /
    • pp.31-42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tomb equipped with only rail ston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ongneung(封陵: the burial mound of royal tomb) equipped with only rail stones was constructed from 1468 to 1632. During this period, Hyeongung(玄宮: the underground chamber for the coffin of the king or queen) was constructed with lime. When the Hyeongung is completed, the soil is covered with a thickness of 1 foot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On top of that, as the base of the Bongneung, the rail ground stone is constructed with a height of about 1.5 to 2 feet. The inside of the rail ground stone is also firmly filled with soil. On top of this, semicircular lime is installed with a convex center. Lastly the soil is divided and compacted several times to form a hill, and then covered with grass to complete the Bongneung. The notable feature is that between the Hyeongung made of lime and the Bongneung made of soil, the rail ground stone serves as a stylobate with the inside compacted by the soil.

조선후기 궁실건축에 사용된 격식기법의 유형과 변천 (The Architectural Crafts as a Code of Manners and Their Historical Changes in Palatial Buildings and Royal Residenc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안소현;전봉희
    • 건축역사연구
    • /
    • 제28권6호
    • /
    • pp.43-54
    • /
    • 2019
  • The grade of East Asian architecture is generally classified by the size, the shape of the roof, and the type of bracket set. The craftsmanship of columns, beam, purlin, stylobate, column base stone and paintwork is also a contributing factor for such classifications. These classifications can be found not only in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Oksajo(屋舍條)」 of 『Samguksagi(三國史記)』 but also in 「house details regulations of residential architecture(家舍規制)」 of Joseon Dynasty.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ed designs among the same grade of architecture regardless of the classification. In this research, the Palace, the Royal Residence(宮家), and the Jaesil(齋室) are considered as the Palatial Buildings and Royal Residences. And the advanced architectural o details which appear only in the Royal Architectures are defined as the 'The Architectural Crafts as a Code of Manners'. The Architectural Crafts as a Code of Manners is detailed design, which can be seen as fabrication of materials and supplementary factors. The Architectural Crafts as a Code of Manners used in the Palatial Buildings and Royal Residences reveal the types and their historical changes. This research will present a basis for the repair and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s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and also prevent them from further damages, thus help to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s.

백제(百濟) 목탑지(木塔地) 편년(編年)과 축기부(軸基部) 축조기법(築造技法)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ronological Recordings and construction method of Wooden Pagoda Sites of Baekjae)

  • 조원창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4호
    • /
    • pp.65-82
    • /
    • 2008
  • The wooden pagoda sites which have been confirmed in Baekjae's former territory so far have flattened surface of the earth or foundation pert made by digging up the earth. In particular, the latter is found more often in the pagoda sites of Baekjae, which is essential and absolutely necessar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pagoda structure. The wooden pagoda sites with foundation part made by digging up the earth under the stylobate are found at Yongjeongli ruined temple site of Woongjin area, and at Neung-sa temple site, Wangheung-sa temple site, Geumgang-sa temple site, and Mireuk-sa temple site of Sabi period. They are also observed at Hwanglyong-sa nine-storied wooden pagoda of Shilla and at Biin five-storied stone pagoda of early Goryeo. They are important data improving that the construction technologies of Baekjae continued to be applied to build stone or wooden pagodas, transcending time and space. Recently, the site assumed as a wood pagoda site of Hanseong area was examined in Gyeongdang sect ion of Pungnap mud fortification. If this is proved to be a real wooden pagoda site, this digging-up construction technology of foundation part ann be concluded to be a traditional engineering technology of Baekjae which was frequently used from Hanseong period to Sabi period. On the other hand, this digging-up construction technology of foundation part has been found only at pagoda sites and main building sites of temple ruins, and it helps examine their symbolism.

  • PDF

돈황 막고굴에 나타난 다보탑의 변천 (A Study on the Change of Da-bo Stupa in Dunhuang Mogao Grottoes)

  • 조정식;김버들;조해현;김보람
    • 건축역사연구
    • /
    • 제22권5호
    • /
    • pp.23-35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a-bo stupa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among architectural languages and by studying the features of its architectural components and transitional changes shown in Da-bo stupa line drawings in Dunhuang Mogao Grot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st, the Da-bo stupa of Dunhuang faithfully follows the sutra of lotus, and although the form changes, the fundamental essence of Bo-tap-yong-chul and two seated Buddhas provided by the Gyun-bo-tap-pum in the sutra of lotus is consistent. 2nd, the pagoda body can be periodically divided into parasol, stupa, and royal palace types. The parasol type has an incomplete tower body, which makes distinguishing each of its architectural components difficult. The stupa type appeared between the early (AD 618-712) and middle (AD 766-835) Tang dynasty. It combines the form of Indian stupa type and East Asian wood structural architecture. The royal palace type, which appeared between the peak period of the Tang (713-765) and Sung Dynasties, shows the standardized pattern of the Da-bo stupa described as two seated Buddhas and Bo-tap-yong-chul. 3rd, the use of a stylobate does not appear in the early construction of Da-bo stupa, only in the later period, in the form of high pillars. Forms include many Su-mi-jwah and three-way stairways and Dab-do, but as time passes, the forms are simplified to the form of high pillars. 4th, the purpose of early Da-bo stupa was to provide space for Da-bo-yu-rae of Gyun-bo-tap-pum; hence, it did not have sangryoon(the top part). However, after it was influenced by general pagodas, sangryoon was established. Toward the Tang Dynasty, sangryoon has come to emphasize the forms of boryoon(nine wheels) or dome. However, this form is eventually simplified to only retain bo-joo(the orb).

신라 동궁과 월지의 경관변화 추정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of Landscape Change Estimation in Donggung-Palace and Wolji-pond of Shilla, Using Materials from Japanese Ruling Period)

  • 안계복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20
    • /
    • 2015
  • 문무대왕이 674년에 동궁과 월지를 조성한 후, 1922년에 측량이 이루어지기까지 1249년 동안 어떻게 변형되었는지 자료가 없어 원형경관을 추정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연구는 월지 경관변화를 좀 더 심도 있게 추정하기 위하여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Hara(1932)의 연구와 일제강점기의 사진 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22년 측량도면과 1975년 측량도면을 비교해 본 결과 53년 동안, 섬을 제외한 월지 전 지역에서 2~4m가 낮아졌으며, 심한 곳은 10m나 낮아진 조산(造山)지역도 있었다. 제1 건물지 남쪽 호안에는 산을 연상시킬 만큼 많은 경석이 놓여 있었으며 이곳에 입수로가 있었음이 1922년 측량도면과 1950년대 사진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유구는 발굴 직전까지 남아 있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건물지 3, 5는 건물지 1, 2, 4에 비해 봉우리 형상으로 더 높았다. 따라서 높은 기단 위에 건축물이 세워져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현재와 같이 제 3, 5 건물지가 여타 건물지와 함께 같은 높이로 정비된 것은 잘못된 것이며, '경주 임해전지 조경정비계획(2009)'과 '종합정비기본계획(2012)'은 잘못된 것이다. 월지 발굴 이전의 사진을 통해 경관변화를 추정해 본 결과, 도면상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던 조산 지역의 경관변화와 경석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지면 관계상 제한적이었지만 좀 더 많은 사진자료를 분석한다면 월지 원형경관 추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월정사팔각구층석탑의 손상현황과 표면오염물 제거연구 (Present Deterioration Situation and Study on the Cleaning of the Surface of the Octagonal nine storied pagoda of Woljeongsa Temple)

  • 황정은;김사덕;정희수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3호
    • /
    • pp.125-148
    • /
    • 2012
  • 월정사팔각구층석탑 부재인 화강암의 구성광물은 석영, 사장석, 미사장석, 흑운모이다. 이 석탑은 금속 장식물과 보조물에서 생성된 녹흔에 의한 황갈색 변색과 기단부와 옥개석 상부에 서식하는 침해생물로 인하여 표면이 훼손되어 있다. 세척 예비실험 결과 옥살산을 사용한 습포법은 제거횟수에 따라 철이온의 용출량이 증가하고 암석의 구성성분인 Mg, Al, Ca 이온의 용출량은 미약하므로 이 세척법은 제거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거효과가 높고 암석에 끼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판단된다. 침해생물 제거에 이용한 건식세척은 생물제거는 가능하나 미소토양 제거가 어렵고, 증류수를 사용한 습식세척은 미소토양 제거가 가능하였다. 이를 근거로 보존 처리에서 침해생물은 건식세척과 습식세척으로 제거하였고 녹흔은 옥살산을 사용한 습포법으로 제거하였다. 그리고 녹흔의 원인이 되는 금속물의 녹을 물리적으로 제거한 후 철제 금속물은 renaissance wax를 사용하고, 동제 금속물은 B.T.A법을 사용하여 방청처리 하였다.

  • PDF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복원부 모르타르 재료학적 특징 및 표면손상 기초 해석 (Analysis on Material Characteristics of Restored Areas with Mortar and Basis of Surface Deterioration on the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from Beopchensaji Temple Site in Wonju, Korea)

  • 채승아;조하진;이태종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11-425
    • /
    • 2021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은 조성시기와 대상이 명확하며, 뛰어난 장엄조각과 화려한 문양이 새겨진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승탑이다. 그러나 한국전쟁 당시 폭격으로 파손되어 1957년 시멘트와 철근 등으로 수리·복원하였으며, 오랫동안 복원부 모르타르의 영향으로 원형부재 표면에 손상이 진행되고 있었다. 이러한 손상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복원부 모르타르와 원형부재의 풍화산물인 표면오염물을 분석하였다. 복원부 모르타르에서는 수산화칼슘, 방해석, 에트링자이트, 이수석고를 확인하였으며, pH측정과 중성화 반응검사를 통해 모르타르는 열화가 진행 중임을 알 수 있었다. 표면오염물 분석에서도 난용성 물질인 방해석, 이수석고가 확인되었고, 현미경 관찰을 통해 조암광물 사이에서 부피 성장 중인 모습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표면손상 기초 해석을 위해 염 결정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칼슘과 황의 함량을 P-XRF를 이용하여 반정량 분석하였으며, 모르타르의 영향을 받은 탑신석과 영향을 받지 않은 상층기 단석을 비교하여 교차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해당 원소들이 탑신석의 표면손상에 직접적으로 관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시대 판장(板墻)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n-Jang in the Joseon Dynasty)

  • 오준영;김영모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1호
    • /
    • pp.68-83
    • /
    • 2016
  • 본 연구는 가변적, 재료적 특성으로 인해 원형의 실체가 분명하지 않았던 판장(板墻)을 대상으로, 판장의 사용양상과 용례, 구성요소와 구조에 대한 실증 및 고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나무널로 만든 담장을 가리키는 판장은 기능, 구조, 단청색 등에 따라 다양한 용례로 사용되었다. 유사한 용례인 판장문과 목판장은 전통적인 판장과 밀접한 관계가 없다. 또한 판장과 재료적으로 유사한 중국의 목영벽과 일본의 판병도 판장과는 분명한 구조적 차이가 있다. 둘째, 판장의 변용유형은 크게 이목기판장, 살판장, 흙판장 그리고 한자어가 다른 판장(板障)으로 구분된다. 이목기판장은 두 단의 방연이 사용된 판장을 가리키며, 살판장은 살대와 널로 만든 투시형 판장을 의미한다. 흙판장은 흙담과 판장의 절충적 형태이며, 판장(板障)은 벽체의 성격을 지닌 고정형 시설로 추정된다. 셋째, 판장의 목부재로는 신방, 기둥, 도리, 중방, 인방, 널, 띠목, 초엽, 방연, 개판, 평고대, 연함 등이 조영의도와 구조형식에 따라 선별적으로 사용되었다. 목부재 외에 못, 잠금장치, 구체적인 용처를 알 수 없는 부속요소도 함께 사용되었다. 넷째, 판장의 기단부는 목부재의 종류와 결구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며, 축부는 상인방의 사용유무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 지붕부 재료로는 개판과 기와가 사용되는데, 각각의 재료에 따라 명확한 구조적 차이가 나타난다.

창덕궁 승화루(承華樓) 일곽의 화계(花階) 조성과 변화 양상 (A Study on Creation of Terraced Flower Beds and Aspect of Change in the Seunghwaru Area, Changdeokgung Palace)

  • 오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5-25
    • /
    • 2022
  • 본 연구는 창덕궁 승화루(承華樓) 남측 공간에 위치한 화계(花階)의 조성 경위를 탐색하고, 화계 조성 전후의 실상을 파악하여 향후 내전(內殿) 지역의 복원정비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00년대 초반 승화루 남측 공간은 낙선재(樂善齋) 일곽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대(地帶)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북고남저지형을 따라 행각으로 위요된 마당, 낙선재 서행각(西行閣)과 연결되는 장방형 공지(空地)가 조성되어 있었다. 특히 장방형 공지는 일정 간격으로 장대석 석렬을 배치한 계단형 경사지였다. 둘째, 승화루 화계는 1920년대 후반에 시행된 낙선재 서행각의 신관(新館) 개축공사로부터 비롯되었다. 신관 건립 과정에서 건축 및 부대공간 조성에 필요한 가용지(可用地)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승화루 남측 공간의 원지형을 절토한 이후 절개지를 따라 지형처리 목적의 화계가 조성되었다. 셋째, 화계 조성 이후 승화루 남측 공간의 지형지물에 많은 변형이 발생하였다. 승화루의 앞마당은 낙선재 일곽보다 고지대에 자리하고 있었지만, 화계가 조성되는 과정에서 대부분 절토되어 사라졌다. 계단형 경사지 역시 신관 건축과 화계 조성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화계의 선형을 따라 승화루 기단과 담장이 새롭게 조성되었으며, 독특한 양식의 협문과 부속 계단도 신설 담장으로 이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