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2초

휴먼서비스 전공분야 대학생의 죽음태도 유형 -Q 방법론적 접근- (Types of Students' Death Attitudes Majoring in Human Service Area : Q-Methodological Approach)

  • 조계화;이현지;이윤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29-841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ath attitudes of students majoring In the human service area, such as nursing science,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Method: The Q-methodology which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The 38 selected Q-statements from each of 42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shape of normal distribution using a 9 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QUANL PC program. Result: Four types of death attitudes for research subjects in nursing,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areas were identified. Type I is fatalistic admission, Type II is pursuit of existential life, Type III is uncertainty of life after death, and Type IV is separation-connection between life and deat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different approaches of death educational programs are recommended based on the four types of death attitudes.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관계 :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The Relation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Social Welfare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 최희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10-217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해 회복탄력성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취업스트레스를 낮추고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예방적 차원의 개입방안 모색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K대학 4학년 전공 재학생 118명을 최종 대상으로 하여 유의표집을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취업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에 회복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내적 대처자원으로서 회복탄력성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과 취업스트레스를 낮추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예방차원의 적극적인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휴먼서비스 전공분야 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piritual Well-Being,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Human Service Area)

  • 전혜원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7-216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majoring in human service area. Methods: The subjects were 212 college students.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5 to October 26, 2009 using questionnaires. Means with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iritual well-being for religion and religious influence, in depress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health status, and in life satisfac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onthly pocket money, health status, current survival parents status, current problem.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see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r=-.386, p =.000), life satisfaction (r=.536, p =.000). Conclusion: Spiritu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effects on depress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to improve spiritual well-being for college students.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의 정보보안 태도와 정보보안 행위와의 관계에서 개인의 낙관적 편견과 정보보안 의도의 이중 매개효과 (A Study on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Optimistic Bias and Information Security Int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 and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of Social Welfare College Students)

  • 윤일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45-153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의 정보보안 태도와 정보보안 행위와의 관계에서 개인의 낙관적 편견과 정보보안 의도의 이중 매개효과가 있는지 실증 검증하는 데 있다. 사회복지 전공대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부트스트랩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변인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정보보안 태도와 정보보안 행위의 관계에서 개인의 낙관적 편견과 정보보안 의도는 각각 단순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정보보안 태도와 정보보안 행위의 관계에서 개인의 낙관적 편견과 정보보안 의도를 동시 투입하였을 때 각각 단순 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개인의 낙관적 편견과 정보보안 의도는 이중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공대학생들의 정보보안에 대한 정보보안 태도, 개인의 낙관적 편견, 정보보안 의도, 정보보안 행위를 활용한 모델의 확장성과 사회복지 정보보안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The Effects of Social welfare Student's Major Choice Motive on the Job Choice in the Local University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volunteering activities -

  • Kang, Gil-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33-140
    • /
    • 2015
  • In this paper, I propose some policy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by analyzing moderating effects of volunteering activity i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welfare major choice and their job choice. For the purpose of the goal of this study, I surveyed 242 university students in 2~4 grades majoring social welfare in Gwangju and South and North Jeolla Provinc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personal motive on choosing a major affects the occupational aptitude & interests and economic feasibility of career when they choose their jobs. However, the social motive didn't affect the occupational aptitude & interests and economic feasibility of career. It means that they didn't choose their majors considering their aptitude & interests, but chose them by following the advice of the surrounding people. Also, moderating effects of volunteering activity was not significant, which means that volunteering period and schedules are too short and tend to be operated as a mere formality. This study suggests the policy implications so that they have the correct major selection and career op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건강과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유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Stres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Health Allied Undergraduate Students)

  • 김은혜;석민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63-47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ress, interpersonal competenc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factors influencing health-promoting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on a health-related degree program in Korea. Method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utilized. The subjects were 269 college students in Gyeon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4. Stres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measur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SAS 9.3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low, while interpersonal competence levels of students were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r=-.16, p=.002)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r=.46, p<.00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found to be stress(2.4%), interpersonal competence(21.7%), religion(1.7%) and academic achievement(1.5%).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the most influencing predictor for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health related programs. Conclusion: We suggest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enhancemen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for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heir health-promoting behaviors.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인식유형 (Analysis of Cognition Pattern of a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View on Social Welfare Position)

  • 오윤수;정현태;이성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285-297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과 4학년생이 인식하는 사회복지사직에 관한 인식유형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직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Q방법을 적용하여,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4년제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주관적인 반응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학과 4학년 학생들의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직업관 인식유형은 세 가지로 유형화될 수 있었다. 제 1 유형은 '직무비관적 현실회피형'으로 사회복지사직을 직무소진이 많고 업무량이 높다고 인식하며, 사회복지사직의 의미나 소명에 대해 비관적이다. 제 2유형은 '실천중심적 전문직추구형'으로 사회복지사직의 실천적인 측면을 중요시 여기며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사직을 추구하는 동시에 이를 위한 정책이나 제도에 의존하는 입장이다. 제 3 유형은 '가치지향적 자아실현형'으로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가치나 윤리의 필요성을 중시하며, 사회복지사직을 통한 자아실현을 중요하게 인식한다. 전체적으로 보아 사회복지학과 4학년 학생들의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지 못하며, 자아실현이나 전문직으로서의 자부심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사회복지사직의 가치에 대한 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초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구조모형 검증 (A Study on the Structure Model of Social Welfar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Social-cognitive Career Theory)

  • 유영주;박지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85-92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전공 특성에 부합한 적절한 진로지원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Lent 등(1994)의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초하여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조사대상은 사회복지 현장실습을 경험한 3개 대학의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132명으로, 인지적 요인(결과기대), 흥미요인(전공선택만족), 목표요인(진로결정수준), 수행요인(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SPSS 24.0과 AMOS 24.0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CFI=.904, TLI=.887, RMSEA=.068로 통계학적으로 적합한 수준을 보였다. 둘째, 주요변수 간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결과기대가 높을수록 전공선택만족이 높아지고, 이는 진로결정수준을 증가시켜 진로준비행동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해서 학생 개인의 인지적 요인 및 흥미요인 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지원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건의료 전공 한국 대학생과 베트남 대학생의 진로 의식 연구 (A Study on the Career Awarenes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Vietnames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ealth Care)

  • 이예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03-113
    • /
    • 2022
  • 본 연구는 보건의료를 전공하는 한국 대학생과 베트남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 의식을 조사하여 진로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건의료를 전공하는 한국 대학생과 베트남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2월1일부터 20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고, 유효한 설문지 200부를 SPSS 20.0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국가 간 진로 의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적 내 진로 의식 차이 검증에서도 한국 대학생들은 본인이 희망하는 '진로 방향이 명확'하고 '진로에 대한 본인 의지가 확고'한 반면, 베트남 대학생들은 '진로에 대한 고민을 미루어두거나 방관' 및 '주위 조언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이 효과적인 진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문화 다양성을 반영한 융복합 진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국제교류프로그램에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동복지전공 예비보육교사들이 보육실습에서 경험하는 딜레마에 대한 탐색 (A Study on Dilemma Experienced by Nursery School Teacher Students Majoring Children's Welfare during Nursery Practice)

  • 임경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07-116
    • /
    • 2016
  • 본 연구는 아동복지전공 예비보육교사들이 실습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딜레마와 딜레마를 해소시켜주는 요인을 탐색하여, 보육실습을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S여대 사회복지과에서 아동복지를 전공하고 있는 예비보육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저널 및 관찰일지와 면담을 통해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반복읽기를 통해 연구문제에 관련된 의미를 도출한 후, 범주화 과정을 거쳐 핵심어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핵심어들을 모아 유사한 개념들을 재분류 한 후 하위주제(sub-theme) 및 대표주제(theme)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실습에서 경험하는 딜레마는 지도교사, 영유아, 수업, 과중한 업무, 자신과 관련하여 도출되었으며, 보육과 사회복지라는 선택적 대안이 가능하므로 인해 두 갈래의 길에서 갈등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딜레마를 해소 시켜주는 요인으로는 영유아들의 변화, 보육실습 동료들의 응원, 실천적 지식의 획득이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아동복지전공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