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numbers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4초

Mathematics classrooms that students love, grade 1: Numbers and operations by Jinho Kim (2023)

  • Sheunghyun Ye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51-156
    • /
    • 2024
  • Mathematics Classrooms that Students Love, Grade 1: Numbers and Operations is a book that reviews student-centered educational strategies in mathematics, contrasting the teacher-centered approach. The book included lesson plans, transcriptions, and annotated comments for imperative instructional practices. Drawing from a range of effective instructional practices, it explores how student engagement and enjoyment in mathematics can be fostered through innovative lesson structures, activities, and discussions.

대학생의 학사경고 예측요인 탐색: 학교참여도 변인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Predictors of Academic Probation in College : Focusing on Variables of Student Engagement)

  • 서은희;김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69-47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사경고를 예측하는 변인들을 밝혀 학사경고 위험이 높은 학생들을 사전에 파악하고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사경고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대학 내 정보시스템에 축적되어 있는 학생들의 학교 참여도 변인들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A대학 학생 17,261명이다. 분석에 사용한 학교 참여 변인들은 개강 후 4주 동안의 수업 결석 시간 수, 학습관리시스템(LMS)과 비교과 시스템 접속 횟수, 교수 상담 건수이며, 종속변인은 본 학기 학년평량평균(GPA)이었다. 통제변인으로 이전 학기 성적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성적에 대한 학교 참여도 변인들의 예측력을 확인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학사경고 여부에 대한 학교 참여도 변인들의 예측력을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생들의 성적을 예측하는 변인은 학교 참여도 변인 중 수업 결석 시간, 비교과 시스템 접속 횟수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학사경고를 예측하는 변인은 학교 참여도 변인 중 수업 결석 시간, LMS 접속 횟수, 비교과 시스템 접속 횟수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학사경고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사경고를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지원하는 교육적 개입을 논의하였다.

홀트-윈터스 가법모형에 의한 전국 학생수 예측 (Forecasting number of student by Holt-Winters additive model)

  • 김종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4호
    • /
    • pp.685-694
    • /
    • 2009
  • 본 연구는 전국 초 중 고등학교 학생수 데이터를 계절성과 추세성을 가지는 시계열 데이터로 전환하는데 있다. 시계열 데이터로의 전환방법은 학년의 진급에 따라서, 초등1학년에서 고3학년까지 12년 한 주기로 하는 모형 A의 시계열 데이터 전환과, 각 학년을 한 주기로 하는 모형 B의 시계열 데이터 전환방법을 사용하였다. 전환된 시계열 데이터, 모형 A와 모형 B를 가지고, 홀트-윈터스의 가법모형을 이용하여 학생수를 예측하였다. 2019년까지의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학생수를 예측하고,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인적자원 통계서비스의 2007년에 예측한 2019년까지의 학생수 예측과 비교분석 하였다.

  • PDF

수도권지역의 고3학생 수 예측과 대학입학정원수와의 분석 (Projection number of the graduate student in high school around the capital area and an entrance quota)

  • 윤용화;김종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3호
    • /
    • pp.523-53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중 이동평균법에 의한 초, 중, 고등학교 학생 수 예측 기법을 이용하여 2027년까지의 수도권의 고3학생 수를 예측하고, 수도권 전문대학, 대학교 입학정원과 대학과 전문대학, 교육대학을 합한 총 입학정원과의 관계를 향후 2027년까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 분석 결과 수도권의 집중화 현상으로 심각한 저 출산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의 대학들의 신입생 유치에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향후 대학들의 입학정책에 영향을 끼칠 것이다.

큰 수의 법칙 시뮬레이션에서 중학생의 안구 운동 분석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Eye Movements in the Law of Large Numbers Simulation Activity)

  • 최인용;조한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3호
    • /
    • pp.281-300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icul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omputer simulation of the law of large numbers through eye movement analysis. Some students did not attend to the simulation results and could not make meaningful inferences. It is observed that students keep the existing concept even though they observe the simulation results which are inconsistent with the misconceptions they have. Since probabilistic intuition influence student's thinking very strongly, it is necessary to design a task that allows students to clearly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erroneous intuitions and simulation results. In addition, we could confirm through eye movements analysis that students could not make meaningful observations and inferences if too much reasoning was needed even though the simulation included a rich context. It is necessary to use visual representations such as graphs to provide immediate feedback to students, to encourage students to attend to the results in a certain intentional way to discover the underlying mathematical structure rather than simply presenting experimental data. Some students focused their attention on the visually salient feature of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have made incorrect conclusion. The simulation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 pattern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student must discover are not visually distorted and allow the students to perform a sufficient number of simul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at cumulative relative frequency graph showing multiple results at the same time, and the term 'generally tends to get closer' should be used in learning of the law of large numbe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ye-tracking method is a useful tool for analyzing interaction in technology-based probabilistic learning.

An Integer Programming Model for a Complex University Timetabling Problem: A Case Study

  • Prabodanie, R.A. Ranga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6권1호
    • /
    • pp.141-153
    • /
    • 2017
  • A binary integer programming model is proposed for a complex timetabling problem in a university faculty which conducts various degree programs. The decision variables are defined with fewer dimensions to economize the model size of large scale problems and to improve modeling efficiency. Binary matrices are used to incorpo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urses and students, and the courses and teachers. The model includes generally applicable constraints such as completeness, uniqueness, and consecutiveness; and case specific constraints. The model was coded and solved using Open Solver which is an open-source optimizer available as an Excel add-in.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plicated timetabling problems with large numbers of courses and student groups can be formulated more efficiently with fewer numbers of variables and constraints using the proposed modeling framework. The model could effectively generate timetables with a significantly lower number of work hours per week compared to currently used timetables. The model results indicate that the particular timetabling problem is bounded by the student overlaps, and both human and physical resource constraints are insignificant.

비선형 회귀모형을 이용한 학년별 학생수 추계 (Estimations of the student numbers by nonlinear regression model)

  • 윤용화;김종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1호
    • /
    • pp.71-77
    • /
    • 2012
  • 본 연구는 코호트 조성법에 의해 구성된 진학률들을 사용한 비선형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장래 초등과 중등, 고등학교의 학년별 학생수를 추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진학률들의 모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향-외삽법 중 하나인 비선형 회귀모형의 로그모형과 거듭제곱 모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로그모형에 의한 예측이 거듭제곱모형에 의한 예측보다 조금 더 신뢰할 수 있고, 학생수도 적게 예측됨을 알 수 있었다.

Analysis of Mathematical Structure to Identify Students' Understanding of a Scientific Concept: pH Value and scale

  • Park, Eun-Jung;Choi, Kyung-He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920-932
    • /
    • 2010
  • Many topics in science, especially, abstract concepts, relationships, properties, entities in invisible ranges, are described in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such as formula, numbers, symbols, and graphs. Although the mathematical representation is an essential tool to better understand scientific phenomena, the mathematical element is pointed out as a reason for learning difficulty and losing interests in science. In order to further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knowledge and science understanding, the current study examined 793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pH value. As a measure of the molar concentration of hydrogen ions in the solution, the pH value is an appropriate example to explore what a student mathematical structure of logarithm is and how they interpret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of numbers for scientific explanation. To the end,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their responses on a questionnaire that is composed of nine content domain questions and four affective domain questions. Data analysis of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pH value and related mathematics knowledge.

덧셈 계산 원리의 연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nections about Addition Principle)

  • 노은환;김선유;김정훈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1-368
    • /
    • 2018
  • 연구자는 원리를 모른 채 덧셈 계산을 수행하는 한 학생을 관찰하며 연구동기를 얻었다. 이 학생의 반응이 어디에 기인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자연수, 소수, 분수의 덧셈 계산 원리에 관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동기의 객관화와 연구자가 제안할 지도방안에 반영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서로 다른 두 개의 초등학교 6학년 46명을 연구대상으로 검사지를 투입하였다. 그 결과 덧셈 계산 원리와 그 연결이 다수의 문제임을 확인함과 동시에 지도방안 제안의 여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세 가지 수의 덧셈 계산 원리와 그 연결을 강화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지도방안의 결론은 자연수와 소수 그리고 분수의 덧셈 계산원리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수의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원리의 적용 과정에 미묘한 차이가 있어 이를 감안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