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guidance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1초

가네의 교수사태 이론을 적용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목 지도안 개발 및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sson Plan and Effectiveness Analysi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Subjects using Gagné's Instructional Events Theory)

  • 정성화;이병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27
    • /
    • 2023
  • 가네는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9가지의 교수사태-주의집중, 학습목표 제시, 선수학습능력 재생, 학습자료 제시, 학습지침 제공, 학생수행 요구, 피드백 제공, 성취행동 평가, 파지와 전이-를 제안하였다. 가네의 이론은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고, 체계적으로 수업을 전개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교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네의 교수사태 이론을 적용하여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의 학습지도안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정보분석과 이해)을 가네의 교수사태이론을 적용하여 학습지도안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을 진행한 후, 학생 평가, 동료교사 평가, 교수자 자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지도안의 수정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고등교육 학습성과 분석 도구 분석을 통한 발전 방향 모색: K대학 사례 연구 (Exploring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Learning Outcome in Higher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opular Tools: A Case of University K)

  • 김태형;장은정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29-141
    • /
    • 2024
  • 최근 고등교육 정책이 학생중심으로 전환되면서 학생들의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대학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K대학의 학습성과 지표를 국내외 주요 학습성과 지표와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대학들의 학습성과 관리를 위한 발전방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비교·분석을 위해 AHELO, NSSE, CLA+ 등 주요 학습성과 측정 도구의 세부 측정문항을 조사하였다. K대 주요 학습성과 지표와 타 학습성과 지표를 비교/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지표는 중복되고 있으나, 학습을 위한 학생 지원/시설, 교수자의 질, 커뮤니케이션 등 일부 지표는 K대에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표를 기존 학습성과 지표에 추가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조사를 통해 이를 확인할 것인지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같은 지표라도 측정 방식이 다른 지표들 중 일부는 측정 방식 변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A Study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Area of Plane Figure)

  • 박선영;강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495-5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을 설문지와 수업 관찰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4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1) PCK의 '수학 내용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넓이의 개념, 넓이와 길이의 속성 구분을 정확히 이해하고 배열구조를 지도의 대상으로 인식하여야 한다. (2) PCK의 '수학과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교과 목표를 넓이의 개념 이해와 공식의 이해를 균형적으로 설정하고 평가해야 한다. (3) PCK의 '수학 학습에 대한 학생 이해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설명 위주의 오류수정 보다 넓이의 개념의 이해에 대한 활동을 제시해야 한다. (4) PCK의 '수학과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교과서에 대한 주체적 의식을 가지고 교과서의 활동을 보완하여야 한다.

  • PDF

특성화고등학교 졸업 후 취업자의 근속 원인 분석 연구 -상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Causes for Continuous Employment of Employed Students after Graduation from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Focusing on the Commercial High Schools)

  • 정규한;이장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65-177
    • /
    • 2022
  •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를 졸업한 취업자의 근속 원인 분석을 통해 일선 학교에서 장기 근속을 위한 취업 지도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특별히, 상업계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이 취업을 결정하는데 끼친 개인적 이유와 취업 후 근속에 대한 개인, 학교, 회사 및 정부 정책 요인 등을 분석하여 장기 근속을 위한 학생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상업계고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 분석, Cronbach's Alpha,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설문 데이터의 타당도, 신뢰도 및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취업에 대한 개인적인 목표 설정이 1년 이상 근속에 중요한 요인이고, 직장에서의 인간관계와 개인 성격이 3년 이상 근속에 중요한 요인이며, 취업을 하는 계기는 개인적 사유와 학교의 권장 영향이 크고, 취업 특강, 캠프, '선배와 교사의 조언' 프로그램이 취업에 도움이 되고, 회계 및 컴퓨터 관련 교과가 근속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개인적인 목표 설정을 위한 교육과 사회생활의 기반이 되는 인간관계 형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방안 마련과 취업 및 근속에 도움되는 상기한 과목 및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운영이 요구된다.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daptive Practices in Science Classes)

  • 김희경;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03-41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과학교사의 사례와 과학 교과에서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에 대한 교사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128명이 제시한 적응적 실행의 사례 339개와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적응적 실행 사례 199개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과의 적응적 실행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실험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이었다. 가장 많은 적응적 사례로 제시한 항목인 '추가적인 자료/활동의 제시'에서 학생들의 이해나 동기유발을 위해 시범실험을 추가하여 제시하는 것이나 두 번째로 많은 사례가 제시된 '실험기구 조작이나 탐구기능 제시'에서도 실험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응답한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적응적 실행에 대해서도 50%가 넘는 사례가 실험 지도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둘째, 수리력과 문해력 등 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도 많이 제시되었는데, 과학 학습에서 도구로 사용되는 수학의 기본 능력과 관련된 사례와 한자어로 된 과학 용어의 이해와 관련된 사례가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실험 지도' 이외에 '과학이론과 실세계의 연결', '과학 오개념 지도', '과학적 사고 함양', '융복합적 접근' 등을 위한 적응적 실행이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유형이었다. 넷째, 과학교사들이 제시한 적응적 실행의 사례는 학교급별로 전공별로 차이가 있어 적응적 실행과 관련된 추후 연구에서 학교급이나 전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례수가 적은 적응적 실행 항목들은 대부분 거시적 측면에서 실행되는 적응적 실행으로 이와 연관된 전문성 향상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일개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자기주도적 학습 (Learning Style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at One University)

  • 박지원;방경숙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7권1호
    • /
    • pp.36-42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preferences for learning style and the degree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influencing factors on it among nursing students working on a Bachelor of Science in a nursing program at Suwon. Methods: The study sample included 156 nursing student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dat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WIN program for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Results: Most of the students preferred lectures rather than discussion or team projects as a teaching method. Students preferred deliberating, sensing, and the use of visuals for their learning style. In addition, they favored sequential learning over comprehensive learning. Self directed learning had better outcomes in 3rd and 4th year students than 1st or 2nd year students. Additionally, active learners and high achievers who had a good GPA showed higher self directed learning than the others. Conclusion: In order to maximiz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tudy guidance will be necessary for freshmen and for some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studying nursing courses. Nursing faculty members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facilitate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nd encourage more discussions in the classes.

  • PDF

한의학교육에서 임상술기교육의 만족도 연구 (Student Satisfaction Study of Clinical Skills Training in Korean Medical Education)

  • 심성보;권지현;김형우;홍진우;신상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7-53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1st class and 2nd class's satisfaction with clinical skills training in the Korean medical curriculum.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clinical clerkship student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Korean Medicine. Methods: These items covered overall satisfaction with training,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curriculum interconnection, training and guidance, and self-assessment. Results: Most 1st class and 2nd class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However,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interconnection was lowe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students have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skills training. It might be concluded that clinical skills training has been effectively implemented into the Korean medical education.

EFL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he Use of Electronic Dictionaries

  • 박매란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1호
    • /
    • pp.29-5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dictionary use in Korea and the attitude toward its use by Korean college students; second, to investigate to what degree e-dictionaries may be useful and effective tools in helping to improve learners' overall English skills. The subjects were 84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instrument employed was the Preliminary Student Usage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ogether with the questionnaire survey developed by Koyama and Takeuchi (2004), which was modified for the study.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special instruction session on how to use e-dictionaries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users of the dictionaries. Those subjects who had received the instruction display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use of e-dictionaries. Second,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use of e-dictionarie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proper guidance on the use of e-dictionaries and their benefits sh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users.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research will shed light on the current status of electronic dictionary us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 PDF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화학교육과정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High School Chemistry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 공영태;임재항;문성배;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6-76
    • /
    • 2004
  •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화학교육과정을 구성체제, 목표, 내용, 교수${\cdot}$학습방법 및 평가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양국의 화학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구분하였다. 또한 선택취지를 살린 교육과정 편성과 안내 기능의 충실, 탄력적인 학습지도의 운영, 개인에 따른 지도의 충실, 학습내용의 엄선과 기초기본의 충실, 교육과정도입에 있어서 완충기간의 설정 등과 같이 한국의 교육과정연구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국립간호대학생의 지역 간 대학생활 적응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gional difference of Campus Life Adaptation o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in National universities.)

  • 최선하;임난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35
    • /
    • 199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of effective student guidance in nursing education. The sample consisted of 103 nursing students in the area of Seoul and 143 students in Cholla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items about personnal campus life and their majo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on significant difference in campus life adaptation on nursing students between Seoul and local areas. 2. In Seoul are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mpus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academic years. In local area,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in the academic years. The scores of campus life adaptation were pos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academic years. 3. The variables which can be explained in the regional difference were social recognition of nursing and a family atmospher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in Seoul and local areas, the personal and educational backgrounds of campus life adaptation were equalized. In addition,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counselling on choice of major should be provided to high school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