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Suces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해기교육대학 학생의 학교풍토의삭과 성패귀인 및 학교생활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limate, Sucess-Fail Attribution and Campus Life in Maritime College Students)

  • 채양범;김성국;김성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38
    • /
    • 1997
  • It is one of the important study for improving education quality to investigate School climate, Campus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Univers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of success / failure attribution in academic achievement and its internal-external attribution of Maritime college student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college climate and attribution of success and failure about college life and cadet's academic performance. The subjects were 490 cadets of freshman, sophomore and junior of Korea Maritime University. The data was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 one-way and simple factorial ANOV A, $x^2$, and t-test by using SPSSWIN Ver. 7.5 programm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Social relationship orientation was higher than the others on the perception of college climate,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and collegian was lower. 2. The most collegian recognized on the attribution of failure about the college lif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and collegian. But most collegian recognized on the attribution of sucess about collegian's relationship. 3. The perception of college climate and attribution of success / failure was not influenced on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academic adaptability.

  • PDF

이상 데이터를 활용한 성과부진학생의 조기예측성능 향상 (Improvement of early prediction performance of under-performing students using anomaly data)

  • 황철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608-1614
    • /
    • 2022
  • 최근 학생 수 감소로 인한 대학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성과부진학생을 조기에 예측하고, 중도이탈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대학의 필수 업무로 인식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의 성과를 정밀하게 예측하는 우수한 성능의 모델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성과부진학생을 식별하기 위한 분류 예측 모델에서 이상 데이터를 제거하거나 증폭을 통해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기존 이상데이터 처리방법은 주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무시하는데 집중되었지만 이 논문에서는 잡음과 변화지표를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증폭함으로써 예측 모델의 성능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제안 방법의 검증을 위해 공개된 학습 성과 데이터를 활용한 실험에서 기존 방법에 비해 제안방법이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수의 사례를 발견할 수 있었다.

IPP 제도의 성공적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성과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Successful Introduction and Operations for IPP Program)

  • 이문수;오창헌;김남호;하준홍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86-92
    • /
    • 2012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공학교육의 새로운 혁신모델로 도입예정인 산/학/관 연계 장기현장실습(IPP)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 운영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성과평가와 이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의 운영 및 업그레이드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장기적인 성과평가 논리모델 및 핵심성과 지표는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IPP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성과평가 체계(모델)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평가를 위한 핵심성공요인(CSF) 및 핵심성과지표(KPI)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IPP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의 성과평가 프로세스를 포함한 운영성과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기본적인 운영안을 제시하고 한국형 Co-op 모델인 IPP 제도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성과관리시스템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산업체인사 대상 FGI, 한기대 재학생 및 기업체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