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Nurse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대학생을 위한 학제간 의사소통을 포함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including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for Nursing Students)

  • 김현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209-1215
    • /
    • 2019
  • 의사소통은 간호사가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 및 다양한 직종간의 협력관계를 형성하여 성공적인 간호중재를 이끄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며 이에 간호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 할 수 있는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간호교육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P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54명이며, 연구결과, 대상자의 의사소통명확성 (t=-7.75, p<.001)과 셀프리더십 (t=-4.43, p<.001)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의사소통 만족도는 교육 후에 점수가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1.22, p=.226). 결론적으로 SBAR를 활용한 학제간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과 셀프리더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시나리오의 개발과 반복 훈련을 할 수 있는 지속인 교육개발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 경험 (Colleg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COVID-19 Pandemic)

  • 이창금;안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42-15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코로나바이러스19 확산에 대한 경험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K시 소재 K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10명의 학생들로 남학생 3명, 여학생 7명이었으며, 연령범위는 21세에서 45세까지이며, 거주형태로는 5명은 자가, 3명은 자취, 2명은 통학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참여자들을 심층 면담하였다. 면담은 개방형 질문들을 사용하여 코로나바이러스19 확산에 대한 경험을 묻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자료는 2020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수집하였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에 따라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수집한 진술문들을 분석한 결과 총 37개의 의미들로부터 12개의 주제와 6개의 주제모음이 도출되었다. 주제모음은 <감염에 대한 두려움이 커짐>,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른 고립감>,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한 당혹감>, <갑작스런 수업방식의 변화에 부적응>, <실습에 대한 부담감>, <예비 간호사로서 현실을 직시함> 등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코로나바이러스19 확산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분석했다는 데 의미가 있으며, 포스트 코로나바이러스19 시대 간호교육의 문제를 논의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간호학 분야 조직사회화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Studies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 변진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77-86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수행된 조직사회화 관련 연구를 통합하고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분석 대상 논문을 검색하게 위하여 '조직사회화' AND '간호'를 주제어로 하였고, 선정기준에 따라 총 26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간호학 분야의 조직사회화 논문은 2016년부터 증가되기 시작하였고, 26편의 논문은 모두 양적 연구방법인 서술적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조직사회화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결과, 조직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지각된 공정성, 직장 내 괴롭힘,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분위기가 주로 이용되었으며, 조직사회화가 영향을 미치는 결과 변인으로는 이직의도, 재직의도, 회복탄력성, 조직몰입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학 분야에서 수행된 조직사회화 관련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조직사회화 관련 중재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간호학생의 지역사회 연계 간호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질적 내용분석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 이인숙;김혜옥;이병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3-235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nursing students' experience with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articipants were 55 sophomore nursing students. The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eight weeks using th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olution (ADDIE)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55 reflection records and five individual interviews and then analyzed through the three step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oding, condensing, and categorizing. Results: Twelve categories, 26 subcategories, and six topics emerged. The themes of impression and lesson from the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wer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 performing the role of nurse," "recognizing the need for leadership and cooperation in nursing practice," and "increased awareness of the role as a nursing professional for community residents." The themes of the strategies used were "looking at the goal and moving forward," and "aligning differences and working together with team/community members." The theme of strategies for the advancement of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was "establishing a sustainable student-participating community-linked education program." Conclusion: The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made students aware of the necessary competencies as professionals. In particular, they gave them hope for their role as professional nurses in the community. It could also be seen that they developed the ability to engage in team activities for community activities. Community-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will need to be developed into continuous programs with community residents.

Effect of school eye health education program on eye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 in middle school students

  • Park, HeeGyeong;Ahn, Sukhee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7-12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ye health education program on the level of knowledge and eye health pract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using a pretest-posttest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rom one middle school first graders in a province of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three classes (76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three other classes (77 students). Pretests were conducted in June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 August for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n eye health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this study consisting of four sessions in total, given once a week for 45 minutes per session. The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by the school's health teacher in the eye health education included in the existing health education curriculum. Posttests were conducted three weeks after the training in the control group and immediately after the fourth eye health education s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After being instructed in the eye health education program, the eye health-related knowledge (t=9.45, p<.001) and eye health practice (t=2.18, p=.031)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program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eye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level of eye health-related knowledge and eye health practice. School health teachers could implement this program as a part of the standard eye health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long-term effects of practicing eye health behavior needs to be confirmed in a future study.

가정전문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죽음 불안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Association of Perceptions and Anxiety of Home Health Nurses about Death, on their Attitudes to Terminal Care)

  • 김숙희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51-26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tent to which in-hospital-based home health nurses' perceptions and anxiety about death following terminal care, affects their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Methods: The subjects were 128 advanced practice nurses working in hospital-based facilities for home health care,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3, 2019, to June 3, 201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on terminal care and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 literature.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the Student'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variable stepwise regression using the SPSS Version 25.0 program. Results: The scores of the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of home health care nurses was 3.25 points out of a possible 4 points. Factors affecting nurses'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were their concern about death(β=0.45, p<0.001), religion(β=-0.26, p=0.001) and the anxiety of others about dying(β=-0.23, p=0.003), which explained 32.0% of the observed variance concerning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concern about death, anxiety about how other people process dying, and religion, were found to be associated factors. The more concerned the nurses were about death and the less their anxiety about how others process dying, the better the home health care nurses' attitude toward implementing terminal care.

졸업을 앞둔 간호대학생의 정신간호사에 대한 진로선택 의도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Intention of Career Choice toward Mental Health Nurses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 이진영;강문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2호
    • /
    • pp.53-5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신간호사에 대한 진로선택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D와 W 광역시 소재 5개 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간호대학생 261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연령 (𝛽=.13, p=.048), 정신간호학실습 만족도 (𝛽=.16, p=.035)는 대상자의 정신간호사에 대한 진로선택 의도에 대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10.3%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정신간호학 실습환경 개선과 실습지도 자의 역량 강화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정신간호사에 대한 진로선택을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신간호사에 대한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파악할 수 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조혜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261-267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사 국가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간호학과 4학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C도에 소재하는 대학의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중순부터 2주 동안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지를 제외한 107명의 설문지를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 연령, 취업여부에 따른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아탄력성(r=.376, p<.001), 자기효능감(r=.590, p<.001), 자아존중감(r=.495, p<.001)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설명력은 41.1%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시험을 준비하는 간호대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과 새로운 교수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high-risk pregnancy emotive role-play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 quasi-experimental study

  • Bo Gyeong Lee;Sun-Hee Kim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7-32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motive role-play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high-risk pregnancy and analyze its effects on communication skills, clinical performa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thods: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mparison group design was adopted with 83 nursing students (experimental group, 45; comparison group, 38) who participated voluntarily in an extracurricular program.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November 3 and November 4, 2020, and the follow-up survey was conducted on November 12, 2020, for the comparison group and on November 27, 2020,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program that included five role-play scenarios related to induced labor, preeclampsia,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reterm labor, and infertility was developed by a group of experts and presen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ver 11 total hours across 3 days. Each student participated in a role-play scenario as a patient, family member, or nurse and observed three other scenarios.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a workbook after the follow-up evaluation. The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changes in communication skills, clinical performa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Results: Communication skills (t=1.84, p=.035) and clinical performance (t=2.75, p=.004)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for emotional intelligence (t=1.36, p=.088). Conclusion: The emotive role-play program concerning high-risk pregnancy was effective in improving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clinical performance and can be used in nursing education related to high-risk pregnancy and childbirth.

텍스트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신규간호사가 경험하는 현실충격 관련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Analysis of the Knowledge Structure of Research related to Reality Shock Experienced by New Graduate Nurses using Text Network Analysis)

  • 윤희장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63-46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가 경험하는 현실충격 관련 연구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신규간호사의 성공적인 임상적응과 이직률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2002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115편의 논문에서 신규간호사가 경험한 현실충격에 관한 토픽을 추출하였다. 6개의 데이터베이스(국내: DBpia, KISS, RISS / 해외: Web of science, Springer, Scopus)에서 문헌을 검색하였다. 키워드는 문헌의 초록에서 추출되었고 의미론적 형태소를 사용하여 정리되었다. 네트워크분석 및 토픽모델링은 NetMiner 4.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핵심 키워드는 '신규간호사', '현실충격', '전환', '학생간호사', '경험', '실습', '근무환경', '역할', '돌봄', '교육' 등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에 관한 연구에서 잠재적 디리클레 할당(LDA) 기법으로 '이직', '근무환경', '전환 경험'의 세 가지 주요 주제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규호사가 경험하는 현실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성공적으로 임상적응을 도울 수 있는 중재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