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oke, acute

검색결과 526건 처리시간 0.034초

전정피질경색과 연관된 회전성 현훈과 불안정보행 (Rotational Vertigo and Unsteady Gait Associated with Vestibular Cortical Infarction)

  • 박강민;김성은;신경진;박진세;김시은;김형찬;하삼열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6권1호
    • /
    • pp.32-34
    • /
    • 2014
  • A 77-year-old man developed acute vertigo and unsteady gait. Neur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spontaneous left-beating nystagmus in the primary position. He fell to the left when walking without support.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an acute infarction involving the right parieto-temporal lobe. Although the vertigo and unsteady gait are most often associated with vestibular disorders involving the infratentorial structures, those may occur in cerebral infarction of the parieto-temporal lobe.

The Effects of Bee Venom Pharmacopuncture on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Ischemic Cerebral Damage in Mice

  • Lee, Ji-I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6권4호
    • /
    • pp.220-229
    • /
    • 2019
  • Backgroun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Bee Venom Pharmacopuncture (BVP) on acute ischemic cerebral infraction was determined in mice in vivo and in vitro. Methods: Analysis of acute ischemic cerebral infraction was performed using 7 week old male ICR mice (n = 20) and microglial BV-2 cells. Bee venom ($5{\mu}g/kg$) was injected into the caudal vein of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mice (1 hour after reperfusion, 3 hours after MCAo probe insertion), and also used to treat LPS-stimulated microglial BV-2 cells (1, 2, $5{\mu}g/mL$). Markers of inflammation were monitored. Results: NO decl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BVP treated MCAo mice compared to the untreated MCAo group (p < 0.05). Compared to the MCAo group, the BVP-treated MCAo group showed a decreased production volume of malondialdehyde, but an increased glutathione/oxidized glutathione ratio. Compared to the untreated MCAo group, the BVP treated MCAo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 in TNF and $IL-1{\beta}$ levels (p < 0.05). BVP inhibited the levels of p65, p50, $p-I{\kappa}B-{\alpha}$, and levels of p-ERK1/2, p-JNK2, p-P38 declined. Conclusion: BVP is effective at dampen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vivo and in vitro and may supplement rt-PA treatment.

출혈을 동반한 급성기 허혈성 뇌중풍 환자에 대한 한방치료 증례 보고 1례 (A Case Repor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Acute Cerebral Infarction with Cerebral Hemorrhage)

  • 전상우;이기향;강세영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999-1006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improvement of symptoms by Korean medicine in acute hemorrhagic infarction. Method: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 cerebral infarction of the right temporal lobe accompanied by cerebral hemorrhage of the left basal ganglia. He did not receive intravenous thrombolytic treatment. Sunghyangjungi-san-gamibang was initially administered, and Gami-daebo-tang was administered during the recovery phase, together with Uhwangchungsim-won, Simjeok-hwan, and acupuncture. The prognostic observ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manual muscle test (MMT), the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Bathel index (K-MBI), and subjective assessment. Results: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 the K-MBI score was improved from 52 to 93. The MMT score and subjective assessment also showed improvement. Conclusions: For patients who cannot be treated with intravenous thrombolytic treatment, Korean medicine treatment is effective during the early and recovery stages of stroke.

아급성 뇌졸중 환자에서 Space Balance 3D와 Tinetti Mobility Test를 이용한 균형 능력 평가의 신뢰도 및 동시타당도 연구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Balance Evaluation using Space Balance 3D and Tinetti Mobility Tes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최지민;이종훈;하현근;김양구;김연희;배영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64-273
    • /
    • 2012
  • 본 연구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컴퓨터화된 시각적 되먹임 균형 훈련 및 평가 장비인 space balance 3D와 기능적 검사인 tinetti mobility test (TMT)의 신뢰도 및 버그균형척도와의 동시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아급성 뇌졸중 환자 총 2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에게 space balance 3D, TMT, 버그균형척도를 이용해 균형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간 신뢰도에서 space balance 3D의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은 중등도의 신뢰도를 보인반면, TMT의 세가지 점수와 버그균형척도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동시타당도에서 TMT의 세가지 점수, 버그균형척도, space balance 3D의 정적균형간에 각각 중등도의 유의한 (p<.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MT의 세가지 점수와 버그균형척도는 space balance 3D의 동적균형의 후좌측, 전좌측 방향과는 각각 유의한 (p<.05)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나머지 방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space balance 3D와 TMT의 균형 능력 평가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space balance 3D의 동적균형 평가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중 체임버 구조가 내장된 뇌졸중 환자용 컵의 개발과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운동 형상학적 유용성 검증: 전향적 예비연구 (Development and Tree-Dimensional Kinematic Analysis of the Dual Chamber-based Drinking Aid for Stroke Patients: A Prospective Pilot Study)

  • 허서윤;김경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2호
    • /
    • pp.180-190
    • /
    • 2016
  • 본 전향적 예비 임상연구를 통하여 이중 체임버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뇌졸중 환자용 컵을 개발하고 임상적으로 유용한지 검증하고자 했다. 체계적 과정을 거쳐 컵을 개발하고, 남녀 동수의 뇌졸중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컵을 사용하여 이들의 제한된 운동기능을 보완 할 수 있는지 3차원 동작 분석(3-dimensional motion analysis), 표면 근전도 검사(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3차원 체간 움직임 분석(3-dimensional trunk movement analysis)의 운동 형상학적 방법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했다. 실험 결과, 이중 체임버 컵(dual chamber based assistive cups; DC) 데이터 그룹에서 플라시보 컵(placebo-cups; PC)의 경우 보다 어깨부위의 ROM(range of motion)이 더 적게 사용되었고, sEMG에서는 상부 승모근, 삼각근, 삼두근에서 근 활성도가 낮게 나타났다. 체간 분석에서 전방, 후방의 방향에서 체간의 개입이 더 적게 관찰되었다.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인 가속도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Accelerometer to Measure Activity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Stroke)

  • 이주현;박진혁;김연주;박혜연;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2호
    • /
    • pp.57-69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한 가속도계 연구를 고찰하여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평가 도구로 가속도계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4년 2월부터 3월까지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논문들을 수집하였다. 총 331 개의 연구가 검색되었으며 최종 13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결과: 선정된 13편의 연구에서는 급성기, 아급성기, 만성기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에 사용한 가속도계의 종류로는 단축, 이축, 삼축 가속도계, 활동모니터가 있었으며, 20Hz 미만 혹은 이상의 진동수를 설정하고 1개에서 3개 이상을 사용하였다. 또한 가속도계는 일상생활의 상지 및 하지활동 및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으며, 일상생활의 상지 과제를 통해 움직임을 분석할 때는 주로 손목, 팔에, 하지의 움직임은 허리, 넓적다리, 복사뼈에 부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활동은 주로 상지과제 활동, 걷기 활동 이였으며, 측정활동에 따라 부착부위도 다양하였다. 측정변수로는 총 활동 수, 대상자 움직임의 속도, 양측 움직임 비율, 동작분석이 있었으며, 결과로는 모든 연구에서 중재 전, 후 가속도계로 측정한 변수와 기존의 다른 평가도구와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고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사가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때 가속도계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더 나아가 국내 작업치료 연구를 통해 가속도계가 임상 및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뇌졸중 후 요실금에 대한 침치료 임상진료지침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acupuncture in Post-stroke urinary incontinence)

  • 이지원;신병철;이명수;임성민;유정희;조충식;문상관;육태한;주종천;이의주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17-325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CPG) on acupuncture treatment for the stroke patients with Post-stroke Urinary Incontinence(PSUI). Methods Experts committee, consisting of stroke or methodology specialists, searched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and 19 Korean medicine journals. The search terms were selected to screen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or systematic reviews for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on PSUI, compared with placebo or conventional group. Levels of evidence and grades of recommendations were appraised based on Recommendations for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in Korean Medicine. Results & Conclusions 8 RCT were included to build the CPG. There was a strong evidence to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treatment for PSUI. The moderate evidence was presented that over 3 times a week of the acupuncture should be performed over 4 weeks on the acupoints, such as BL23, CV3, SP6, CV4, CV6, ST28, BL28, BL32, GV20, BL22, GV4 or ST36, for 15-30 minutes. 1-150 Hz frequency is suggested if electro-acupuncture treatments is performed with.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procedure should begin at the acute stage just after the vital signs of the patients are stabilized. There was a moderate evidence to support safety of acupuncture treatment for PSUI. We recommend acu-points of constitutional acupuncture for Sasangin on the healthy side.

연하재활치료의 효과와 자연회복과의 비교연구 -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Dysphagia Rehabilitation Therapy with Natural Recovery on Swallowing Ability among Acute Stroke Patients)

  • 허서윤;김광기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09-118
    • /
    • 2014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연하장애 재활치료를 받은 환자와 받지 않은 환자의 회복정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연하장애를 가지는 환자(n=98)에서 치료를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실험군과 대조군사이 연하장애 재활치료중재전-후 비교 연구 설계에 의해 실험군(n=52)에는 8주간의 연하장애 재활치료를 시행하였고 대조군(n=46)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두 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중재 전-후 Video Fluoroscopy Swallowing Study(VFSS), Dysphagia Outcome and Severity Scale(DOSS), Dysphagia Severity Scale(DSS), Functional Outcome Swallowing Scale(FOSS)로 평가를 하였으며 평가값의 변화량은 paired t-test 및 ANCOVA를 통해 분석 하였다. 실험군의 중재전-중재후의 점수 변화비교에서 DOSS를 제외한 나머지 평가도구에서 연하기능이 회복되었다(p<0.05). 대조군의 전-후의 점수 변화비교에서는 모든 평가도구에서 점수값의 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여 연하기능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05).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의 2차 평가를 비교한 결과 DOSS를 제외한 나머지 평가도구에서 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p<0.05). 본 연구 결과 대상자들은 평균적으로 급성기 8주 동안 연하기능의 회복을 보였고, 대조군에서는 세 평가도구 모두에서 유의하게 평가항목간의 점수가 상승하였다. 대상군들의 전-후 검사값의 차를 비교하였을 때 대조군에서 더 높은 점수의 상승을 보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연적 신경학적 회복을 시사했다.

  • PDF

심부전 모델에서 실험적 심근성형술의 단기 혈역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hort-Term Hemodynamic Effects of Experimental Cardiomyoplasty in Heart Failure Model)

  • 정윤섭;염욱;이창하;김욱성;이영탁;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24-236
    • /
    • 1999
  • 배경: 역동적 심근성형술에서 골격근 수축에 의한 단기 혈역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이에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를 위해 20-30kg 사이의 한국산 잡견 10마리를 두 그룹으로 나눠 심장 상태를 정상과 심부전 상태로 구분하였고 골격근 상태도 활성도 및 수축력의 차이가 나도록 구분하였다. 그룹 A에서는 5마리의 정상 심장상태의 실험견에 심근성형술을 시행한 뒤 8주후 혈역학 검사를 실시하였고, 그룹 B에서는 5마리의 실험견에 8주동안 매주 1 mg/kg의 doxorubicin을 주입하여 만성 심부전 상태를 만들면서 동시에 좌측 광배근의 사전 조건화를 위한 근육훈련을 한후 심근성형술을 시행하고 바로 혈역학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그룹 A의 정상 심장 상태에서 광배근 수축으로 평균 우심방 압력을 제외한 나머지 좌심실 혈역학 지수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그룹 B에서는 광배근 수축으로 심박출량(cardiac output; CO)은 16.7$\pm$7.2%, 좌심실 압력발생 속도(positive pressure development rate of left ventricle; dp/dt)는 9.3$\pm$3.2%, 일회 심박출량(stroke volume; SV)은 16.8$\pm$8.6%, 좌심실 박출작업량(left ventricular stroke work; SW)은 23.1$\pm$9.7% 증가하였고, 좌심실 이완기말압(left ventricular end-diastole pressure; LVEDP)은 32.1$\pm$4.6%, 평균 폐동맥쐐기압(mean 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 mPCWP)은 17.7$\pm$9.1%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그룹 A에서 imipramine을 7.5 mg/kg/hour의 속도로 34$\pm$2.6분 투여하여 CO이 17.5$\pm$2.7%, 좌심실 수축기압(lef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이 15.8$\pm$2.5% 감소하고 LVEDP가 54.3$\pm$15.2% 증가한 일시적 급성 심부전 상태를 유도한 뒤(p<0.05), 이 상태에서 광배근을 자극하였더니 CO은 4.5$\pm$1.8%, dp/dt는 3.1$\pm$1.1%, SV는 5.7$\pm$3.6%, SW는 6.9$\pm$4.4% 증가하였고, LVEDP는 11.7$\pm$4.7% 감소하였다(p<0.05). 그룹 A의 급성 심부전 상태와 그룹 B의 만성 심부전 상태에서 모두 광배근 수축으로 변화한 CO, dp/dt, SV, SW, LVEDP 같은 좌심실 혈역학 지표들의 변화의 폭을 비교하면 그룹 B에서 그룹 A에서보다 더 컸다(p<0.05). 그룹 A에서 유도된 급성 심부전 상태와 그룹 B의 만성 심부전 상태가 CO, dp/dt, SV, SW, LVEDP 같은 좌심실 혈역학 지표들 면에서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고(p>0.05), 육안적으로 광배근을 관찰하였을 때 그룹 A에서는 광배근의 유착 및 염증소견이 모두에서 있었고 그중 2마리에서는 광배근의 수축을 목격할 수 없었던 반면, 그룹 B에서는 5마리 모두에서 광배근이 활발하게 수축하였다는 점을 함께 고려하면 그룹 B에서의 더 큰 증폭 효과가 광배근의 활성도 및 수축력의 차이로부터 기인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결론: 이상에서 역동적 심근성형술의 수축기 혈역학적 변화는 심부전 상태에서만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그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근육의 수축력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 PDF

Neurologic Outcomes of Preoperative Acute Silent Cerebral Infarction in Patients with Cardiac Surgery

  • Sim, Hyung Tae;Kim, Sung Ryong;Beom, Min Sun;Chang, Ji Wook;Kim, Na Rae;Jang, Mi Hee;Ryu, Sang W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6호
    • /
    • pp.510-516
    • /
    • 2014
  • Background: Acute cerebral infarction is a major risk factor for postoperative neurologic complications in cardiac surgery. However, the outcomes associated with acute silent cerebral infarction (ASCI) have not been not well established. Few studies have reported the postoperative outcomes of these patients in light of preoperative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DWI). We studied the postoperative neurologic outcomes of patients with preoperative ASCI detected by DWI.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32 patients with preoperative ASCI detected by DWI. None of the patients had preoperative neurologic symptoms. The mean age at operation was $68.8{\pm}9.5$ years. Five patients had previous histories of stroke. Four patients had been diagnosed with infective endocarditis. Single cerebral infarct lesions were detected in 16 patients, double lesions in 13, and multiple lesions (>5) in three. The median size of the infarct lesions was 4 mm (range, 2 to 25 mm). The operations of three of the 32 patients were delayed pending follow-up DWI studies. Results: There were two in-hospital mortalities. Neurologic complications also occurred in two patients. One patient developed extensive cerebral infarction unrelated to preoperative infarct lesions. One patient showed sustained delirium over one week but recovered completely without any neurologic deficits. In two patients, postoperative DWI confirmed that no significant changes had occurred in the lesions. Conclusion: Patients with preoperative ASCI showed excellent postoperative neurologic outcomes. Preoperative ASCI was not a risk factor for postoperative neurologic deteri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