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Dysphagia Rehabilitation Therapy with Natural Recovery on Swallowing Ability among Acute Stroke Patients

연하재활치료의 효과와 자연회복과의 비교연구 -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중심으로 -

  • 허서윤 (대구대학교 재활과학과 재활공학전공) ;
  • 김광기 (인제대학원 대학교)
  • Received : 2014.04.19
  • Accepted : 2014.05.26
  • Published : 2014.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therapy with natural recovery in patients who had dysphagia due to stroke. Swallowing functions were examined on a total of 98 patients with stroke-caused dysphagia based on a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for 8 weeks. The each group was evaluated with DOSS, DSS and FOSS to assess swallowing ability in the first week and re-evaluated in the $8^{th}$ week during the session for investigating the recovery status. The author compared the above initial data and follow-up data using a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and Wilcoxon's Signed Rank test, ANCOVA to confirm statistically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other continuous variables, performed by IBM SPSS Statistics 20.0 for window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covery in the experimental group except measure of DOSS (p>0.05). In the control group, it showed improvement in all the scales(p<0.05). After terminating each session, the comparison of the two group of patient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DSS and FOSS(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ssibility of natural neurologic recovery has positive effects on early stage of dysphagia caused by stroke.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연하장애 재활치료를 받은 환자와 받지 않은 환자의 회복정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연하장애를 가지는 환자(n=98)에서 치료를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실험군과 대조군사이 연하장애 재활치료중재전-후 비교 연구 설계에 의해 실험군(n=52)에는 8주간의 연하장애 재활치료를 시행하였고 대조군(n=46)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두 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중재 전-후 Video Fluoroscopy Swallowing Study(VFSS), Dysphagia Outcome and Severity Scale(DOSS), Dysphagia Severity Scale(DSS), Functional Outcome Swallowing Scale(FOSS)로 평가를 하였으며 평가값의 변화량은 paired t-test 및 ANCOVA를 통해 분석 하였다. 실험군의 중재전-중재후의 점수 변화비교에서 DOSS를 제외한 나머지 평가도구에서 연하기능이 회복되었다(p<0.05). 대조군의 전-후의 점수 변화비교에서는 모든 평가도구에서 점수값의 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여 연하기능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05).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의 2차 평가를 비교한 결과 DOSS를 제외한 나머지 평가도구에서 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p<0.05). 본 연구 결과 대상자들은 평균적으로 급성기 8주 동안 연하기능의 회복을 보였고, 대조군에서는 세 평가도구 모두에서 유의하게 평가항목간의 점수가 상승하였다. 대상군들의 전-후 검사값의 차를 비교하였을 때 대조군에서 더 높은 점수의 상승을 보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연적 신경학적 회복을 시사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