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 in Clinical Practice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2초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간호전문직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esteem, Nursing Professionalism, Cognitive Emotion Control Strategy on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 강미란;정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353-36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간호전문직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B시 소재 간호대학에 재학 중이며 임상실습을 2학기 이상 경험한 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9년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시행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elation coefficient, Scheffe 사후검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3.19점이었다.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r=.22, p=.005), 간호전문직관(r=-.26,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r=.38,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46, p<.001), 간호전문직관(β=-.20, p<.001), 학년(β=.20, p=.002), 간호학 선택 동기(β=-.15, p=.019)이었으며 설명력은 총 35.5%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실습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하여 간호전문직관 향상과 함께 스트레스 상황 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 불 것을 제언한다.

간호대학 실습생들의 성격/행동유형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양상 및 대처 방식간의 관계 (Level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Nursing Students' Personality/Behavior Types)

  • 장수연;김소정;김영지;서인영;송채림;오홍금;이인재;이지연;이지은;홍다혜;김정은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81-89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level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behavior type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3 third- and fourth-grade nursing students in 14 nursing colleges who had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nstruments to identify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and Conscientiousness (DISC) personality/behavior types, clinical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using the SPSS 24.0 program. Results: The DISC pattern showed high priority in Steadiness (48.3%), followed by Conscientiousness (21.0%), Influence (16.1%), and Dominance (14.7%), in that order. The steadiness type showed the lowest level of stress among four patterns.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personality/behavior types of nursing students differ. Additionally, different personality/behavior types can be attributed to stress levels and stress coping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different personality and behavior types of nursing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to manage their stress levels related to the clinical practicum experience.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of Nursing Students on Job-Seeking Stress

  • Jeong Hwa 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7호
    • /
    • pp.103-111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 진로의식성숙이 취업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K지역 소재 K대학의 3,4학년 간호대학생 15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전공만족도(r=-.270, p<.001), 임상실습만족도(r=-.283 p<.001), 진로의식성숙(r=-.424,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β=-0.005, p<.05), 임상실습만족도(β=-0.126, p<.001), 진로의식성숙(β=-0.369, p<.001)에 의하여 17.7%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치기공과 학생의 자기존중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현장실습 스트레스 간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self-estee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field practice stress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students)

  • 강월;장연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81-8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students' field practice stres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8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located in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2.0 (IBM). Results: The average self-estee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field practice stress scores were 3.76, 3.50, and 2.40,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field practice stres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lower was the field practice stress. On the contrary, among the sub-item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hen intellectual fairness increased, the field practice stress decreased; however, when healthy skepticism increased, the field practice stress increased. Conclusion: Self-esteem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ere both found to have a substantial effect on field practice stress. Therefor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need to increase self-esteem and cultivate critical thinking skills for a successful field practice and field practice stress relief of laboratory technology students.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무례함,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스트레스에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Program on Incivility,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 김순애;이소영;홍은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7-205
    • /
    • 2019
  • Purpose: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incivility,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Methods: A 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study was conducted. Fifty randomly selected nursing stude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 160-minute communi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second survey was conducted two weeks later, shortly after their clinical practice.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vility experienced in the clinical practice after application of the communication program, and refusal in the sub-categories of inciv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group.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oster communication skills for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programs reduce incivility. Therefore, nursing educators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during clinical practice and consider incorporating it into their regular curricula.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대학생활만족에 대한 융합연구 (Satisfaction to College Life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 정성원;황라일;이영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65-272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두 개 시도에 위치하고 있는 3년제 대학의 간호과 학생과 4년제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 총 81명의 설문 응답에 대해 SPSS ver. 21.0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자 대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가 남자 대학생보다 높았으며, 간호학이라는 전공에 만족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았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경우 대학생활에 만족한다고 한 학생들이 불만족한 학생들보다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학생들의 스트레스원은 주로 의료인, 환자, 보호자들의 태도와 실습환경, 정신적 요인 이었다. 실습 중 타 직종 및 대상자와 가족과 지속적인 응대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융합적인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습 전에 중재가 시행되어야 한다.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별 임상실습스트레스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nd stress of nursing students in an area)

  • 성은옥;남현아
    •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26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성격유형별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추후 학생상담 방향 설정 및 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임상실습을 하고 있는 일 지역 간호학과 3, 4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에니어그램영성연구소에서 개발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검사지와 임상실습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SPSS 25.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9개 유형 중 2유형이 47.66%, 힘 중심영역은 감정형 영역이 64.84%로 가장 많았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정도는 스트레스 하부 영역 중 실습교육환경은 6유형,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모델은 4유형, 실습업무부담과 대인관계갈등은 5유형, 환자와의 갈등은 4유형에서 높았다. 에니어그램 힘중심 영역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정도는 사고형이 실습교육환경과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 모델, 실습업무부담, 대인관계 영역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환자와의 갈등영역은 감정형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다양하고, 성격유형별 힘 중심영역별 임상실습스트레스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 분석을 통한 학생 상담과 지도가 필요하다.

바이오휘드백을 통한 자기조절 훈련이 스트레스반응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and Relaxation Training through Biofeedback on Influencing the Stress Response and Immune Functions)

  • 이소우;김금순;박성회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855-86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self-management relaxation training through biofeedback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methods.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al methods was test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symptoms of stress (SOS), the McNair's profile of Mood States (POMS), the levels of ephinephrine, norepinephrine, pulse rate, blood pressure and natural killer cel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ixty six nursing students divided into four groups : two groups were the biofeedback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groups, the other two groups served as control groups. One was a group of sophomores with no experience at all, the other a junior group without self -management or relaxation trai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eight weeks of clinical practice from April, 26th 1998 to June, 20th 1998. Biofeedback training was done with software developed by J&J company (1-410 form for abdominal respiration training).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was done with u audiotape recorded according to Jacobson's Theor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ies, means, and analysis of covariance using the SPSS program and the significance level of statistics was 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 1) The importance of clinical practice stress reduction is shown in that the level of symptoms of stress in the experimental groups in clinical practice was higher than in the group receiving only a lecture. 2) The relaxation training methods of biofeedback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were effective in reducing the symptoms of stress under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conditions. 3) The effectiveness of the biofeedback training relaxation method to reduce symptoms of stress was higher than that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4) The relaxation training methods of biofeedback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were effective in reducing stressful mood states. 5) The relaxation training methods of biofeedback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were not effective in reducing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levels. 6) The relaxation training methods of biofeedback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were effective in increaing the number of natural killer cells. 7) The relaxation training methods of biofeedback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were effective in decreasing high systolic and diastolic values of blood pressure and high pulse rates. In summary, the relaxation methods of biofeedback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in reducing clinical practice stress were effective in lowering the level of symptoms of stress and the profile of stressful mood states. They were also effective in lowering high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s. The relaxation methods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number of natural killer cells as part of the immune function. However, relaxation methods were not effective in reducing the catecholamine level. The biofeedback training method for reduction of symptoms of stress was more effective than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method.

  • PDF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the Major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박현정;오재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417-426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를 알아보고, 간호대학생의 바람직한 간호 전문직관 정립을 위해 나아갈 간호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상관성 조사연구로써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 대학생 3,4학년 2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4월 1부터 5월 30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Program 20.0을 이용하여 t값,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고, AMOS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에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설명력은 30%였고, 간호 전문직관에는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설명력은 53%였다. 결론적으로 자신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준비를 바탕으로 간호학의 가치를 알고 만족할 수 있도록 돕는 지지적 교육중재와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구조화되고 체계화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조사 (A Study on Causes of Stress Experienced by Part Stude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During Clinical Training)

  • 이정화;전은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37-143
    • /
    • 2009
  • 본 조사의 대상자 선정은 총 6주의 임상실습을 마친 경남, 울산지역의 일부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보건(지)소 2주, 치과 병의원 4주로 자료수집 방법은 연구자가 직접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구조화된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98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임상실습 시 경험할 수 있는 스트레스 요인 및 정도를 각 실습지 별로 파악하여 임상실습지도와 개선에 도움을 주며, 임상실습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 학년별 치위생과 지원동기는 졸업 후 "취업률이 높아서"가 2학년 64.8%, 3학년 62.2%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전공에 대한 만족도에서 "만족한다"가 2학년 29.6%, 3학년 73.3%로 나타났다. 2. 학년별 보건소, 병의원 실습에 대한 만족도에서 보건소 실습의 경우 "만족한다" 2학년 46.3% 3학년 46.7%로 나타났고, 병의원 실습의 경우 "만족한다" 2학년 50.9%, 3학년 66.7%로 나타났다. 3. 보건소 실습 시 느끼는 스트레스 요인 중 가치와 이상의 학교실습과 보건소실습과의 관계에서는 현장상황과 실습내용과의 차이에서 "느낀다"가 5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 < 0.05). 4. 병, 의원 실습 시 느끼는 스트레스 요인 중 가치와 이상의 학교실습과 병원실습과의 관계에서 "느낀다"가 54.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p < 0.05), 이론과 지식의 실제적용 어려움에서는 "느낀다"가 6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 < 0.05), 현장상황과 실습내용과의 차이에서는 "느낀다"가 58.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p < 0.05), 활동분야의 관련분야 지식부족에서는 "느낀다"가 5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 < 0.05).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임상실습시 경험하는 스트레스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실습지에서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환자에게 직접 적용시킴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유발과 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실습생에 대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