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ptococcus inia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2초

사료 내 Bacillus 균주의 첨가가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의 성장, 사료효율, 선천성면역 및 연쇄구균 질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Bacillus sp. on Growth Performance, Feed Utilization, Innate Immunity and Disease Resistance against Streptococcus iniae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차지훈;양시용;우서형;송진우;오대한;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5-42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feed utilization, innate immunity and disease resistance against Streptococcus iniae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made by supplementation with three Bacillus sp. probiotics (B. subtilis, B. pumilus and B. licheniformis) into a basal diet (control) at 0.5% each. Three-hundred fish (average BW, 20 g) were randomly distributed (25 per tank) into twelve 150 L capacity polyvinyl circular tanks with three replicates per dietary treatment. Triplicate groups of fish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to apparent satiation (twice per day, 09:00 and 17:00 h) for nine weeks. After the feeding trial, a challenge test was directly conducted against S. iniae.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the probiotic, Bacillus sp, seemed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of olive flounder.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innate immunity as determined by nitroblue tetrazolium, myeloperoxidase or superoxide dismutase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robiotic supplementation. The result from the challenge test suggested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probiotics Bacillus sp. can improve the disease resistance of olive flounder against S. iniae.

Bactericidal Efficacies of an Aquatic Disinfectant Tablet Composed to Calcium Hypochlorite Against Vibrio anguillarum and Streptococcus iniae

  • Cha, Chun-Nam;Lee, Yeo-Eun;Kang, In-Jin;Yoo, Chang-Yeul;Choi, Hyun-Ju;Kim, Suk;Lee, Hu-Ja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0-294
    • /
    • 2012
  • Vibrio spp. and Streptococcus spp. have caused a considerable disease of farmed fish and economic loss in fish farming and seafood industry. In this study, the efficacy of an aquatic disinfectant tablet composed to calcium hypochlorite was evaluated against V. anguillarum and S. iniae. A bactericidal efficacy test by broth dilution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lowest effective dilution of the disinfectant following exposure to test bacteria for 30 min at $4^{\circ}C$. An aquatic disinfectant tablet and test bacteria were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DW), hard water (HW) or organic matter suspension (OM) according to treatment condition. V. anguillarum on the DW, HW and OM condition was completely inactivated with 16,000 15,000 and 13,000 fold dilutions of the disinfectant, respectively. On the DW, HW and OM condition, S. iniae was absolutely inactivated with 17,000 16,000 and 14,000 fold dilutions of the disinfectant, respectively. As an aquatic disinfectant tablet possesses bactericidal efficacy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such as V. anguillarum and S. iniae this disinfectant solution can be used to control the spread of fish infective bacterial diseases.

해조류 유래 후코이단(Fucoidan) 경구 투여가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의 고수온 내성 및 Streptococcus iniae 감염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Seaweed-derived Fucoidan on the Resistance of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to High Temperature and Streptococcus iniae Infection)

  • 송준영;최영준;이남실;노치원;김아란;도용현;최혜승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567-574
    • /
    • 2022
  • Immunostimulating effects of fucoidan administration to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at a concentration of 20 g/kg of diet were evaluated under high water temperature condition. The oral administration of fucoidan mixed with feed at a concentration of 20 g/kg of diet for 2 weeks increased the interleukin 1β gene in the intestine and kidney of fish by 5.7 and 6.3 times, respectively. In addition, when the water temperature was gradually increased from 24 to 31.4℃ for 2 weeks, LT50 delayed by 24 h in the fucoidan treated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group, and mortality also reduced. Streptococcus iniae infection at a concentration of 1.50×100 CFU/fish at 28℃ delayed LT50 by 12 h in the fucoidan-treated group. Furthermore,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0% in the control group and 20% in the fucoidan-treated group. This study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dietary additives such as fucoidan as an immune activator of rockfish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

사료 내 마늘 추출액 첨가가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비특이적 면역반응 및 질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Garlic Extract on Immune Responses and Diseases Resistanc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승민;전려진;여인규;전유진;이경준;정현도;정준범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5-4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1% 마늘 추출액을 사료에 첨가하여 항균력 시험, 혈액학적 분석 및 어류질병 원인체들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ibrio anguillarum, Streptococcus iniae, Edwardsiella tarda)에 대한 비특이적 면역반응을 조사하였다. 사료에 1% 마늘 추출액을 첨가하여 4주간 넙치에 섭이시킨 후 V. anguillarum, S. iniae, E. tarda을 인위 감염시켜 2주간 누적 폐사율을 관찰하였다. 공격 실험 결과 E. tarda를 제외한 모든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은 누적 폐사율이 관찰되었다. Hematocrit, glucose, total protein, lysozyme activity 및 macrophage activity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관찰하였다. 3가지 어병세균 (V. anguillarum, S. iniae, E. tarda)을 이용하여 마늘 항균력 및 MIC를 측정한 결과, 이전에 보고된 마늘 분말보다 1% 마늘 추출물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마늘 추출물이 넙치의 V. anguillarum, S. iniae, E. tarda에 대한 비특이적 면역반응 및 질병저항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immune-adjuvant effect and safety of recombinant CC chemokine 1 (rRbCC1) in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 Kwon, Mun-Gyeong;Kim, Ju-Won;Hwang, Seong-Don;Kim, Eun-Gyeong;Park, Dae-Won;Park, Chan-Il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1-240
    • /
    • 2013
  • Adjuvants are immune enhancers that are often used in vaccination to augment the immune response of a vaccine, thereby enhancing the protective immunity against the targeted disease.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the recombinant protein, such as rRbCC1, this protein was produced from rock bream CC chemokine 1. To verify the adjuvant effects of this recombinant protein, the immune responses of rock bream to Streptococcus iniae (S. iniae) FKC vaccination, which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recombinant protein was analyzed and then also performed experimental challenge with live S. iniae. The result of serum agglutination titres was showed relatively low levels however, the efficacy of FKC vaccine still conferred protection against S. iniae. Moreover, the adverse effects result showed tha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between high concentration injected and non-injected fish groups, generally. The relative percent survival (RPS) of FKC + recombinant vaccin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vaccinated group with FKC alone. After experimental challenge to the rock bream by injection with live bacteria (S. iniae), the FKC + rRbCC1 vaccination group was showed 87.0% RPS, however, the RPS of FKC alone vaccination was 68.2%.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combinant protein as an adjuvant had a clear synergism to injection vaccine of rock bream.

제주지역 양식넙치의 연쇄구균증 발생동향 및 원인균에 대한 분자적 동정 (Characterization of Streptococcosis Occurrence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he Pathogens of Cultured Flounder in Jeju Island)

  • 정용욱;강철영;김민주;허문수;오덕철;강봉조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9-204
    • /
    • 2006
  • 제주지역 양식넙치의 주요 세균성 질병의 일종인 연쇄구균증 발병동향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주지역 양식넙치의 연쇄구균증은 연중 발생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고수온기에 발생율이 높았으며, 30cm 이상의 개체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2003년 6월부터 2005년 5월 사이에 분리된 연쇄구균 균주를 multiplex PCR assay 기법을 이용하여 종 조성을 분리한 결과 Streptococcus iniae와 S. parauberis로 동정되었으며 그 비율은 각각 46%와 54%이었다. S. iniae는 상대적으로 9월과 10월에 높은 분리율을 나타내었으나 S. parauberissms 3월과 4월에 분리율이 높게 나타났다. S. iniae와 S. parauberis 감염개체의 병리학적 중상은 일부분 유사하였으나 S. iniae 분리개체는 복부팽만, 탈장, 복수저류증상이 주로 관찰되는 반면, S. parauberis 분리개체는 체색흑화, 무안측 발적 중상이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이 두 종의 병원체 모두 ampicillin과 amoxicillin에 감수성이 높았으며, S. iniae 균주들은 S. parauberis 균주들보다 상대적으로 doxycycline, erythromycin, oxytetracycline에 감수성이 높았다.

제주도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분리한 비 용혈성 연쇄구균의 동정 (Characterization of Streptococcus parauberis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Jeju Island)

  • 강철영;강봉조;문영건;김기영;허문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9-11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구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나 양식터봇의 연쇄구균 병원체로 보고 된 바가 있는 제주 양식넙치에서 분리되는 γ 용혈성의 연쇄구균인 Streptococcus parauberis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 parauberis에 대한 분리균주의 탄소원을 기질로 이용하는 특성은 Annette and Collllins (1990)가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였다.또한 분리된 균주들을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 Accesion number AY584477 하나의 그룹으로 묶였지만 S. iniae와는 다른 그룹으로 묶였다. 그러나 Collins가 Streptococcus iniae (X58306)와 S. parauberis (X89967)이 한 그룹으로 묶인다고 발표한 것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16S rRNA gene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 결과는 S. parauberis (AY942572)와 98%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S. parauberis로 동정하였다. S. parauberis는 S. uberis type Ⅱ로 분류되었으나 Williams and Collins (1990)에 의해서 S. parauberis라는 종명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제주도 양식넙치의 연쇄구균증 병원체로 S. parauberis로 판단되나 이번 실험에서 감염실험이 수행되지 않아 앞으로 본 병원체에 대한 감염 실험과 병리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진다.

양식 환경이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의 혈액 생화학적 성상 및 lysozym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aculture conditions on blood chemistry property and lysozyme activity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 권문경;임한규;민병화;변순규;김이청;조병열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1-289
    • /
    • 2007
  • 어병세균인 Edwardsiella tarda, Vibrio ichthyoenteri, Streptococcus iniae의 강도다리에 대한 병원성, 염분농도가 어병세균의 성장 및 강도다리의 lysozyme 활성과 사육수온, 밀도가 강도다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연구 결과, E. tarda에 대해서는 병원성이 높았으나, V. ichthyoenteri와 S. iniae에 대해서는 항병력이 높았다.염분농도에 따른 균의 증식속도 조사 결과, E. tarda와 S. iniae는 저염분에서 증식속도가 빨랐으나, V. ichthyoenteri는 저염분에서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저염분 사육에서 강도다리의 lysozyme 활성은 일반해수구에 비하여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사육수온, 밀도가 강도다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수온은 26℃ 이하, 밀도는 수조저면적의 100% 이하가 강도다리의 생리학적 성상 및 lysozyme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B-용혈성 Streptococcus ineae 포르말린 사균 백신에 대한 넙치의 면역 반응 (Immune respons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eceus against B-hemolytic Streptococcus ineae formalin-killed cells)

  • 조미영;이덕찬;김진우;이주석;최희정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3-8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넙치에 대한 β-용혈성 Streptococcus iniae 백신의 효능을 조사하였다. 시험 백신은 10% 중성포르말린을 이용하여 최종 농도가 0.3% 및 3%가 되도록 첨가하여 제작하였으며 건강한 넙치의 복강에 1회 또는 2회 주사하였다. 그 결과, 두 종류의 백신 모두 어떠한 심각한 부작용도 야기하지 않았다. 또한 1회 접종구에 비해 2회 접종구에서 응집항체가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포르말린 농도별로 비교한 결과 저농도인 0.3%에 비해 고농도인 3% 포르말린 처리 백신을 접종한 경우 1회 접종구에서는 4주째에, 2회 접종구에서는 8주째 응집항체가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체 생성에서 나타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종류의 백신 모두 공격 실험 결과 방어력이 인정되었다. 즉, 0.3% 포르말린 처리 백신의 1회 접종 및 2회 접종구의 경우 각각 67% 및 87.5%의 상대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3% 포르말린 처리 백신의 1회 접종 및 2회 접종구에서는 각각 70% 및 77%의 상대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추후 응집항체가와 방어력 사이의 상관성뿐만 아니라 고농도의 포르말린 처리가 항원성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