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ngths-Focused Group Program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강점중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연구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Strengths-Focused Group Program)

  • 박정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530-53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시된 강점중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통합하여 제시하고, 강점중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메타분석의 대상선정기준에 따라 국내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게재논문인 25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서는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중심 집단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심리적 안녕감의 효과크기가 1.4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교적응이 1.104, 자아존중감이 0.908로 나타나서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강점중심 집단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효과크기가 조절변수(연령, 프로그램 특성, 총회기수, 진행자 전공)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는 연령, 프로그램 특성, 진행자 전공, 총회기수, 심리적 안녕감에 있어서는 연령, 프로그램 특성, 진행자 전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강점중심 집단프로그램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와 전략을 제언하였다.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가 흡연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trengths Perspective Group Art Therapy on Stress, Depression, and Impulsivity of Middle School Male Smoking)

  • 김정희;김민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37-347
    • /
    • 2020
  • 본 연구는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가 흡연하는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A시에 소재한 2곳 중학교에서 흡연 대상자 15명을 유의표집 하였고 이 중 미술치료에 자발적인 참여 의사가 있는 실험집단 8명과 그 외 통제집단 7명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집단의 수가 15명인 점을 감안하여 비모수 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Mann-Whitney U test와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는 흡연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z=-2.521, p<.05), 우울(z=-2.527, p<.05), 충동성(z=-2.371, p<.05)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가 흡연 남자 중학생의 심리적인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찾을 수 있고 나아가 흡연 중학생의 심층적인 정서상태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리라 본다.

역량기반 사서계속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지표 및 콘텐츠개발 - NCS적용 타당성 분석 및 보완방안 연구 - (Developing a Competency-base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s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 이종창;권나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07-23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NCS 역량기반의 사서직 계속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서직 역량기준을 조사하는 한편, NCS 및 사서직 역량요소에 대한 국내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사서직 계속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출한 핵심역량에 대비하여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직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내용분석, 설문조사, 초점집단면접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도출된 "NCS 역량기반의 사서직 계속교육체계(NCS-CPD)"는 각종 도서관에 근무하는 현장사서에게 필요한 전문 및 기초 핵심역량을 체계화하고 있다. 이 체계는 향후 사서직 계속교육 연구 및 현장에서의 균형있는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