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et Tree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31초

농촌지역 가로특성이 가로 녹시율에 미치는 영향 - 예산군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Street Characteristics on the Streetscape Greenness Index in Rural Area - Focused on Yesan-gun -)

  • 이혁균;조용현;김태종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8-8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도시와는 특성이 다른 농촌의 공간적 범위를 대상으로 이용빈도가 높은 가로에서 주민들이 체감하는 녹시율을 분석하고, 가로특성을 조사하여 가로특성이 녹시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충남 예산군을 대상으로 녹시율 분석을 위해 가로 유형을 분류한 후, 인공녹지, 자연녹지, 생산녹지를 포함한 가로 녹시율과 가로 내 가로수만을 대상으로 한 가로수 녹시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산군의 가로 녹시율은 국도가 15.93%, 지방도는 26.14%, 군도는 28.28%, 면도는 24.72%, 리도는 40.70%, 농도는 32.78%, 도시계획도로는 18.36%로 분석되었고, 가로수 녹시율은 국도는 5.02%, 지방도는 9.10%, 군도는 8.55%, 면도는 4.51%, 리도는 6.92%, 농도는 2.56%, 도시계획도로는 9.39%로 분석되었다. 가로의 특성이 녹시율에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가로변 토지이용 형태, 차선의 형태, 가로수의 유·무, 보도의 유·무를 분석하여 녹시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로변 토지이용, 차선의 형태, 보도의 유·무가 가로 녹시율과 가로수 녹시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타 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해 예산군의 녹시율 개선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도심 가로 녹음의 습구흑구온도(WBGT) 측정을 통한 보행자 열쾌적성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rmal Comforts for Pedestrians by WBGT Measurement on the Urban Street Greens)

  • 안동만;이재원;김보람;윤호선;손승우;최유;이나래;이지영;김혜령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30
    • /
    • 2013
  •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심보행공간에서가로수녹음이보행자열쾌적성에미치는영향을WBGT(Wet Bulb Globe Temperature-습구흑구온도) 분석을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일사 영향을 많이 받아 열쾌적성이 저하되는 여름철(8월)에 측정하였으며, 보행공간 WBGT 지수는 한국표준협회 "KS A ISO 7243: 고온환경 WBGT 지수에 의한 열 스트레스 추정"과 일본국립환경연구소의 작업환경, 일상생활 및 운동 WBGT 지침을 활용하여 결과를 해석하였다. 강남구 테헤란로 4개 구간에 대해 측정한 결과, 가로수에 의해 일사가 차단된 녹음(shade)지점 WBGT 지수는 최저 $27.40^{\circ}C$~최고 $30.60^{\circ}C$로 나타났으며, 일사(sun)지점은 최저 $28.45^{\circ}C$~최고 $34.2^{\circ}C$로 나타났다. 모든 녹음 지점에서 보행환경에 적합한 열쾌적성을 보였으며, 구간 최고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녹음(shade)지점이 일사(sun)지점에 비해 $4^{\circ}C$ 낮은 WBGT 지수를 나타내 가로수 녹음의 열쾌적성 개선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행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및 행태조사 결과, 대부분 보행자는 일사를 피해 수목 하부 그늘 쪽 보행공간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늘을 이용하는 보행자의 75% 이상 녹음의 쾌적함을 보통 이상 쾌적하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로수 녹음의 열쾌적성 향상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가로수 식재시 열환경을 고려하여 연속적인 녹음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정책적 변화가 필요하다.

서울 도심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기온 저감 효과와 기능 향상 연구 (A Study on Ai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and the Functional Improvement of Street Green Areas in Seoul, Korea)

  • 정희은;한봉호;곽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7-49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 내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수종, 식재유형, 가로녹지 구조, 녹량(녹지용적)에 따른 기온 변화량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종별 비교 가능한 3종 이상의 가로수가 식재된 유형은 교목 1열+관목이었으며, 보차간 기온차이 평균값 간 분석에서 소나무 $1.35^{\circ}C$, 느티나무 $1.84^{\circ}C$, 은행나무 $2.00^{\circ}C$, 양버즘나무 $2.57^{\circ}C$이었다. 규격이 크고 수관폭이 넓은 수종은 가로변에 그늘을 제공하여 기온 저감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로수 식재유형과 기온과의 관계 분석결과는 교목 1열 유형은 평균기온 차이 $1.80^{\circ}C$, 교목 2열 유형은 평균기온 차이 $2.15^{\circ}C$로 교목 열수 증가에 따라 보차간 기온차이 평균값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가로녹지 구조별 기온 저감 효과 분석결과는 교목 유형 $1.94^{\circ}C$, 교목+관목 유형 $2.49^{\circ}C$, 교목+아교목+관목 유형 $2.57^{\circ}C$이었으며, 기온저감은 단층구조보다 다층구조에서 효과적이었다. 녹량(녹지용적량)과 기온저감량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녹량이 많을수록 기온저감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수관용적이 크고 교목층의 열수가 많으며, 다층구조인 식재형태는 가로 내 녹량과 관계가 있음을 의미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기온 저감 효과와 기능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 기준을 제안하였다. 보도폭 3m 이하인 경우에는 수관용적이 작은 낙엽활엽수와 최대 1m의 띠녹지 조성을 통한 교목+관목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보도폭 3m 이상인 경우에는 수관용적이 큰 낙엽활엽수 다열 식재 및 1m 이상의 띠녹지 조성, 교목과 관목뿐만 아니라, 아교목 성상의 수목 식재를 통한 다층구조 녹지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항공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가로수 정보의 추출 (Extraction of Street Tree Information Using Airborne LIDAR Data)

  • 조두영;김의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45-57
    • /
    • 2012
  • 도시지역의 가로수는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며 탄소를 흡수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가로수의 위치, 수고, 수관폭 등에 대한 효율적인 획득과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항공라이다 자료를 이용하여 도시지역 가로수에 대한 개수, 위치, 수고, 수관폭의 수치적인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가로수는 그 형태와 크기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수관폭의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가로수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가로수는 일반적으로 도로변을 중심으로 식재되기 때문에 이러한 식재위치의 직선적 특성을 이용하여 가로수점들을 선택하였다. 오산시 일부를 대상으로 가로수 추출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1/1,000 수치지도와 비교하여 제안한 방법론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서, 가로수의 위치오차는 최소 0.5m, 최대 1.9m, 그리고 평균제곱근오차는 약 ${\pm}0.4m$를 나타냈다.

춘천시의 조경식물의 식재와 이용 현황 (A Study on the Planting and Use of Landscaping Plants in Chuncheon)

  • 정진형;노희선;이기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20
    • /
    • 2004
  • This study was executed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 planting and use of landscaping plants in Chuncheon. The number of street trees was 17,877 in 2003. The major species of street trees were Ginkgo biloba(52.7%), Prunus sargentii(15.3%), Zelkova serrata(8.9%), Platanus occidentalis(7.3%). Salix babylonica and Platanus occidentalis were decreased, while Prunus sargentii and Zelkova serrata were increased. Salix babylonica is a good species for a lakeside city, but its seeds cause allergies to some people. Most of the trees have been removed in Chuncheon. The planting of Salix babylonica(♂) resulted in no problems, and it should be propagated to plant. The soil of several areas was analysed to investigate soil conditions. The outskirts of city had good conditions in pH, organic matter and minerals, but the downtown areas had high alkalic, due to alkali from footpath concrete blocks. Appropriate pruning adds to the aesthetic and prolongs the useful life; it also requires less managing of insects and diseases to maintain good healthy of street trees. Street trees were not properly pruned due to electric lines and shortage of pruning information. The pruning was controlled by Korea Electric Power Co, which has no pruning information. Pruning must be maintained by a professional landscape company to maintain good shape such as with Bonsai. The Shrubs planting zone between street trees and other trees, and preservation plates were established for healthy of street trees. They have to be repaired and maintained well to keep better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number of tree and flower species of 68 schools in Chuncheon were 12 and 16, respectively. The species that showed high preference were Juniperus chinensis, Pinus koraiensis, Pinus densiflora, Rosa centifolia, Forsythia koreana,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The high frequency of the protection trees designated by Chuncheon were Pinus densiflora, Ginko biloba, Zelkova serrata, Quercus species. It was thought that the diversification of street tree species, the selection of street trees suitable to each space, the generalization of use of native species, the appropriate pruning and proper fertilization, the control of pests and diseases, and the opinions of citizens concerning landscape plants were needed to improve the planting, use and maintenance of landscaping plants in Chuncheon.

가로경관의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 번화한 가로를 만드는 심리적, 물리적 인자의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age evaluation of Street Landscape -Focused on an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which Creates a Busy Street)

  • 이재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5-146
    • /
    • 2004
  • 가로경관의 이미지는 가로공간 안에서 시각으로 느끼는 심리적인 인자와 물리적으로는 가로의 구조에 의해서 인지되는 인자의 복합적인 체험에 의한 것이다. 그러므로 가로경관의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로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어떤 요소가 가로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많은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로공간을 심리적인 측면과 물리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우선, 가로공간을 지역의 특성(상업지역, 업무지역, 복합지역)으로 나누어 분석하기 위해서 지역의 특성이 명확한 가로를 평가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가로에서 느끼는 심리적 인자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방법을 사용하여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의 분석 결과, 가로경관의 이미지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서 비슷한 성향을 갖고 있으며 가로의 이미지는 쾌적함과 번화함을 만드는 인자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인자분석의 결과로 알게 되었다. 인자분석에 의해서 구분된 가로의 이미지 중에서 번화함이 있는 가로와 번화함이 없는 가로의 집단은 가로의 물리적 구성요소 면에서 각각 어떤 차이가 있어서 상반된 이미지를 갖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가로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번화함이 있는 가로와 번화함이 없는 가로의 이미지는 물리적 구성요소 중에서 가로 폭, 보도 폭과 차도 폭의 비율, 건물의 높이와 가로 폭의 비율, 그리고 식재율 등의 차이가 가로의 이미지가 상반되게 느끼게 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연구는 어떤 종류의 가로라도 가로의 이미지를 보다 명확하게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하였으며, 번화한 이미지를 갖는 가로를 만들기 위한 물리적 인 요소의 구성방법도 알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역의 활성화하기 위하여 가로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번화함이 있는 가로를 조성하기 위한 자료를 만드는 방법으로 많이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구광역시 중구의 가로수 및 열섬 모자이크 현황 분석 (Analysis of Street Trees and Heat Island Mosaic in Jung-gu, Daegu)

  • 김수봉;정응호;김기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5-33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ractical suggestions to mitigate Urban Heat Island(UHI) problems in Daegu regarding urban surface temperature. Urban street trees's size and the relations between urban land use types and surface temperature are analysed using aerial photos, the numerical value map and Landsat TM image with special reference to Jung-gu. Total urban street tree's crown size is $156,217.6m^2$ and it is equal to 2.24% of study area. In addition, the size of 'city and residential area' is $6,681,870m^2$(95.7% of study area), which causes UHI and the total size of 'river' shows the lowest surface temperature area and 'road' and 'business and service area' are the highest surface temperature zones. Therefore, it is probable that the network between urban street trees and the lowest surface temperature areas mitigate UHI effect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Zelkova serrata Street Trees in Goyang and Paju, South Korea

  • Songhee Lee;Sora Lee;Seonghun Lee;Wonwoo Cho;Su Young Woo;Hoduck Kang;Tae Kyung Y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9권1호
    • /
    • pp.40-48
    • /
    • 2023
  • Street tree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urban forests to regulate the microclimate and provide shade as well as provide aesthetic and environmental functions and to evaluate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Zelkova serrata is a major tree species that has been planted on various South Korean streets. We determined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Z. serrata in street trees of Goyang and Paju in Gyeonggi Province. According to survey sites, net CO2 assimilation rates was 13.9-16.4 µmol CO2 m-2s-1, chlorophyll fluorescence (Fv/Fm) was 0.80-0.82, and proline contents was showed 3.4-3.7 mg g-1 FW. The studied trees were assumed to be physiologically stressed, but it was found that Z. serrata was planted as street trees were not significantly stressed when compared to chlorophyll fluorescence responses and proline contents. In the future, the continuous monitoring system is needed to evaluate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trees.

호남권 내 6개 지역에서의 도심 및 교외 수목 해충 발생 양상 (Occurrence of Insect Pests from Street Trees in Six Urban and Suburban Parks of Honam Region, South Korea)

  • 임종옥;유하늘;원정운;강석무;신수연;박용환;정찬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71-384
    • /
    • 2023
  • 도심과 교외에 식재 또는 자생하고 있는 수목의 해충 발생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2년 5월부터 9월까지 전남 및 전북 내 총 6개소(전북 익산 2개소, 김제 1개소, 광주 3개소)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 6개소는 조사지역(공원)이 위치한 지역 특성에 따라 산림인접지역, 수변지역, 도심지역 세 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특성 지역에 따라 확인되는 해충의 다양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6개소의 조사지역에서 총 5목 27과 49속 51종의 해충 분류군이 총 13과 21종의 주요 가로수종으로부터 확인되었다. 해충 분류군 중에서 노린재목이 12과 20속 22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가로수 수종에서는 왕벚나무가 25종의 가장 다양한 해충의 피해를 입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사지역 특성별 비교를 하였을 때, 수변지역 공원에 식재 또는 자생하는 수종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산림인접지역과 도심지역 공원에 비해서 가장 많은 해충 종 수를 확인하였다. 해충이 가해하는 부위로는 잎을 가해하는 해충이 총 22종으로 가장 많았다. 본 조사를 통해 확보한 각 가로수 수종에 발생하는 해충의 분류군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이 중에서 피해가 심한 6종을 선정하였다. 도심 뿐만 아니라 교외지역에서의 다양한 가로수 분포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목 해충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해충 발생 양상 조사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