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am Cipher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7초

변형 Self-Shrinking 생성기에 대한 Guess-and-Determine 공격 (Guess-and-Determine Attack on the Variant of Self Shrinking Generator)

  • 이동훈;한재우;박상우;박제홍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09-11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Self-Shrinking 생성기의 변형 구조 SSG-XOR에 대해 guess-and-determine공격을 적용하여 실제 안전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소개한다. SSG-XOR은 Self-Shrinking 생성기에 비해 더 좋은 암호학적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소개되었으나 본 논문의 분석 결과, guess-and-determine공격 관점에서 Self-Shrinking 생성기에 비해 안전성이 많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광 스레쉬홀드 발생기를 이용한 스트림 암호 시스템 (Stream Cipher System using Opitical Threshold Generator)

  • 한종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5-32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스트림 암호 시스템에서 사용이 되는 LFSR 을 이용한 이진 수열 발생기중 하나인 Threshold 발생기에 대한 광학적 구현 방법을 새로이 제안하였다. 광학적 구현을 위하여 LCD를 이용하므로서 LFSR 및 Mod 덧셈 연산을 위한 각 비트 값을 표현, 2차원 처리가 가능하게 하였다. Thredshold 발생기의 LFSR기능은 Shdow Casting 기법을 이용하여, 또한 XOR 연산 및 내적 계산을 위한 MOD덧셈 연산은 LCD 가 갖고 있는 편광 특성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구현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Mod 2 덧셈 연산을 위한 새로운 광학적 구현 방법인 RSPM 을 제안하므로서 연산 결과 값 측정과 LCD 상의 데이타 값 표현 과정을 제외한 전 부분을 완전한 광학적 방법으로 처리가 가능하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광 Threshold 암호 시스템은 기존의 전자적인 H/W 구현 방법에서 문제가 되어오던 Tapping Point의 개수에 대한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2차원 데이타인 영상용 암호화 시스템의 광학적 구현에 그 응용이 가능하다.

산술 쉬프트 레지스트(ASR)를 이용한 고속 스트림 암호 구현 (Implementation of fast stream cipher using arithmetic shifter register)

  • 김길호;김종남;조경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86-787
    • /
    • 2010
  • 본 논문은 산술 쉬프트 레지스트(ASR)를 이용한 32비트 출력의 고속 스트림 암호를 제안한다. 제안한 스트림 암호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현이 쉽게 디자인되었으며, 무선 통신 장비와 같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제안한 스트림 암호는 SSC2, Salsa20과 수행속도 비교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좋은 통계적 분산 특성과 안전성 또한 현대 스트림 암호 알고리즘이 필요로 하는 안전성을 만족하고 있다.

스트림 암호 ASC (Stream Cipher ASC)

  • 김길호;송홍복;김종남;조경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74-147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ASR(Arithmetic Shift Register)과 SHA-2로 구성된 32비트 출력의 새로운 스트림 암호 ASC를 제안한다. ASC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현이 쉽게 디자인된 스트림 암호 알고리즘이다. 특히 계산능력이 제한된 무선 통신장비에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ASC는 다양한 길이(8-32바이트)의 키를 지원하고 있으며, 워드 단위로 연산을 수행한다. ASC는 매우 간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선형 궤환 순서기(Linear Feedback Sequencer)로 ASR을 적용하였고, 비선형 순서기(Nonlinear sequencer)로 SHA-2를 적용하여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결합 함수(combining function) 스트림 암호이다. 그리고 8비트, 16비트, 32비트 프로세스에서 쉽게 구현이 가능하다. 제안한 스트림 암호 ASC는 최근에 표준 블록 암호로 제정된 AES, ARIA, SEED등의 블록 암호보다는 6-13배 빠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안전성 또한 현대 암호 알고리즘이 필요로 하는 안전성을 만족하고 있다.

스트림 암호에 대한 개선된 다중 경로 고속 상관 공격 (Advanced Multi-Pass Fast Correlation Attack on Stream Ciphers)

  • 김현;성재철;이상진;박해룡;전길수;홍석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3-60
    • /
    • 2007
  • 기지 평문 공격 시나리오에서 스트림 암호에 대한 고속 상관 공격은 매우 강력한 공격 방법이다. 대부분의 고속 상관 공격은 암호학적인 문제를 적당한 디코딩 문제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진 대칭 채널의 출력 값으로부터 입력 값을 복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리티 검사 방정식과 Fast Walsh Transform을 이용한 Chose등이 제안한 고속 상관 공격과 Zhang 등이 제안한 다중 경로 고속 상관 공격을 개선한 다중 경로 고속 상관 공격을 제안한다. 이 공격기법은 기 제안된 공격 기법들과 마찬가지로 표적 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의 초기 상태 값 중 일부를 추측하나, Zhang 등이 제안한 기법보다 각 경로에서 한 비트씩을 더 복구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공격이 가능하게 한다.

FPGA/VHDL을 이용한 LILI-128 암호의 고속화 구현에 관한 연구 (On a High-Speed Implementation of LILI-128 Stream Cipher Using FPGA/VHDL)

  • 이훈재;문상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3-32
    • /
    • 2001
  • LILI-128 스트림 암호는 클럭 조절형 스트림 암호방식이며, 이러한 구조는 동기식 논리회로 구현시 속도가 저하되 는 단점이 있다. 즉, 클럭 조절형인 LFSRd는 외부 클럭보다 1~4 배 높은 클럭을 요구하기 때문에 동일한 시스템 클 럭 하에서는 데이터 전송속도에 따른 시스템 성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귀환/이동에 있어서 랜덤한 4개의 연결 경로를 갖는 4-비트 병렬 LFSRd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ALTERA 사의 FPGA 소자(EPF10K20RC240-3)를 선정하여 그래 픽/VHDL 하드웨어 구현 및 타이밍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50MHz 시스템 클럭에서 안정적인 50Mbps (즉, 45 Mbps 수준인 T3급 이상, 설계회로의 최대 지연 시간이 20ns 이하인 조건) 출력 수열이 발생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FPGA/VHDL 설계회로를 Lucent ASIC 소자 (LV160C, 0.13$\mu\textrm{m}$ CMOS & 1.5v technology)로 설계 변환 및 타이밍 시뮬레이션한 결과 최대 지연시간이 1.8ns 이하였고, 500 Mbps 이상의 고속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안전한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스트림 암호의 성능 비교 분석 (Performance Analysis and Comparison of Stream Ciphers for Secure Sensor Networks)

  • 윤민;나형준;이문규;박근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16
    • /
    • 2008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 노드 또는 모트(mote)라 불리는 소형 장치들로 이루어진 무선 네트워크이다. 최근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보안에 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센서 노드 및 센서 네트워크 상의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 전송하기 위해서는 암호 알고리즘의 구현이 필요하며, 이 암호 알고리즘들은 센서 노드의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구현이 필수적이다. 센서 노드 상에서 이용될 수 있는 암호로는 TinyECC 등의 공개키 암호와 AES와 같은 표준 블록 암호가 있으나, 스트림 암호는 최근에서야 eSTREAM 프로젝트에서 표준화가 완료되어 아직 센서 노드상에서 사용 가능성이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eSTREAM의 2단계와 3단계에 채택되었던 10개 소프트웨어 기반 암호들 중 9개의 암호들을 MicaZ 모트 상에 구현하여 성능을 비교하고, 특히 최종적으로 eSTREAM에 채택된 SOSEMANUK, Salsa20, Rabbit을 포함한 6개 암호에 대해서는 MicaZ에 적합하도록 최적화하였다. 또한 참조 구현으로써 하드웨어용 스트림 암호 및 AES-CFB에 대한 실험 결과도 제시한다. 본 논문의 실험에 따르면, 대부분의 스트림 암호가 약 31Kbps - 406Kbps의 암호화 성능을 보임으로써 센서 노드에서 사용하기에 큰 무리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최종적으로 채택된 SOSEMANUK, Salsa20, Rabbit의 경우 센서 노드에 적합한 128바이트 크기의 작은 패킷의 암호화에서 각각 406Kbps, 176Kbps, 121Kbps의 속도를 보여주고, 70KB, 14KB, 22KB의 ROM및 2811B, 799B, 755B의 RAM을 사용함으로써, 106Kbps의 속도를 보여준 소프트웨어 기반 AES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스트림 암호 Grain-v1에 대한 연관키 공격 (The Related-Key Attack on Grain-v1)

  • 이유섭;정기태;성재철;홍석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5-52
    • /
    • 2008
  • $K{\ddot{u}}c{\ddot{u}}k$은 eSTREAM 프로젝트에 제안된 스트림 암호인 Grain-v1에 대하여, 공격자에게 키스트림 수열이 주어지면 이를 1-비트 좌측 이동시킨 키스트림 수열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5]. 본 논문에서는 [5]에서 제안된 공격을 확장하여 연관키 선택 Ⅳ 공격을 제안한다. 본 공격은 Grain-v1의 초기화 과정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비밀키의 부분 정보를 획득하여 $2^{25.02}$개의 Ⅳ와 $2^{56}$의 시간 복잡도로 Grain-v1의 비밀키를 복구한다. 본 공격은 Grain-v1에 대한 첫 번째 키 복구 공격이다.

유한체위에서 방정식 $(x+1)^d=x^d+1$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the Equation $(x+1)^d=x^d+1$ over Finite Fields)

  • 조성진;김한두;최언숙;권숙희;권민정;김진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7-240
    • /
    • 2012
  • 주기가 $N=2^n-1$인 이진수열은 공학과 과학의 많은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된다.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통신시스템과 스트림암호시스템은 잘 알려진 응용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체위에서 방정식 $(x+1)^d=x^d+1$의 특성을 분석한다. 특히 이 방정식의 $d$는 이진수열의 상호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 PDF

암호화된 영상의 가역적 데이터 은닉을 위한 일반화된 섭동 함수 설계 (Design of Generalized Fluctuation Function for Reversible Data Hiding in Encrypted Image)

  • 김영훈;임대운;김영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1호
    • /
    • pp.1329-1340
    • /
    • 2016
  • 최근 Zhang은 동기식 스트림 암호를 통해 암호화된 영상에 데이터를 은닉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수신자는 먼저 암호화된 영상을 복호하고, 복호된 영상에 섭동 함수(fluctuation function)를 이용하여 공간 상관 특성 값을 계산함으로써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 후 Hong은 사이드 매치(side match) 기법을 이용하여 Zhang의 데이터 은닉 기법을 개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추출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새로운 섭동 함수를 제안하고, 표본 영상들에 대한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방법들보다 우수함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