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e Management

검색결과 1,258건 처리시간 0.035초

전자상거래에서 가상점포 이미지가 만족, 신뢰 및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rtual Store Image on Satisfaction, Trust, and Loyalty in Electronic Commerce)

  • 오상현;신봉대;심규열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0권
    • /
    • pp.165-185
    • /
    • 2002
  • 가상점포 애호도 관련 기존 연구들은 인터넷 쇼핑몰 공급자가 제공하는 속성 즉 디자인, 제품가치, 컨텐츠, 커뮤니케이션, 보안성 등 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변수들의 확인에 중점을 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그 결과 연구결과가 비교적 단편적이었으며 가상점포 애호도를 광범위하 게 이해하는데 미흡한 결과를 보여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가상점포 이미지, 가상점포 만족, 가상점포 신뢰를 도입하여 이들간 관계성을 실증분석함으로써 가상점포 애호도에 미치는 중요변수들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상점포 이미지, 만족, 신뢰 및 애호도간 관계는 이들 관계에 대한 가설이 채택됨으로써 유의적인 정(+)의 관계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터넷 쇼핑환경하에서 점포이미지, 만족 및 신뢰가 지속적인 고객애호도를 향상시 키기 위한 전략적 요인임을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패션전문점의 실내공간 디자인 이미지 유형과 구성요소 분석연구 -자체브랜드 복합 패션전문점을 중심으로- (An Analytical Study on the Types of Interior Space Design mage and Consisting Elements in the Fashion Specialty Store - Focused on the complex Fashion Specialty Store in own brand -)

  • 최상헌;최홍복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호
    • /
    • pp.3-16
    • /
    • 1998
  • Fashion specialty store is based on one theme called "Fashion", to pursue originality of facilities in one concept from merchandising, environmental planning and facilities management and satisfy consumer's urge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y also congreqation of characteristic space, distingtion from commor store, not only selling goods but also jointly owned funtiona] space such as information and culture. So this research. with the importance of image. to present the basic information of interior design, study on the analyzing the type of image and the factor of composition focused on the complex fashion specialty store in own brand. Ana]yzing thr type of image with preliminary research and the first and second questionnair, with this make a comparision between the factor of composition and image. The conclusion was summertized as follows : '||'&'||'#8226; Firstly, the interior image of complex fashion specialty store in own brand divided into ;) different images, Such as :VIodern, Semi Classic. Hi-Tech Ylodern, Natural. and casual image '||'&'||'#8226; Secondly, according to the factor of composition is as follows, Such as Architecture, Surface. Furniture, Lighting and Display, the factor of composition is as follows : Architectura] factor divided into vertical. horizental. flexibility and exterior, Surface : material. and main color, Furniture : form and material. Lighting : lighting fixture and genera] lighting system, and Display: window and interior display . '||'&'||'#8226; Third]y, make a comparision of image. simple and feminine with Hi-Tech, Semi-Classic toward natural. complicated, feminine. and Low-Tech, Hi Tech ~.Iodern image, toward modem. natural. simple feel and somehow feminine. Natrual image, toward modem. natura], simple, and Hi Tech, Casual image toward modm, simple, and Hi Tech. '||'&'||'#8226; Fourthly, with builaing up new space, alteration infashion specialty store focused on the customers seiling space with rest and resources, also huge character is found in fashion specialty store

  • PDF

백화점 내 신규 패션 브랜드 평가 기준과 브랜드 태도에 관한 연구 (New Fashion Brands in Department Stores: Evaluation Criteria and Attitudes)

  • 추호정;문희강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3권1호
    • /
    • pp.61-77
    • /
    • 2008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처음으로 접하는 신규 패션 브랜드에 대해 적용시키는 평가기준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브랜드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로서 다음의 세가지 논점을 강조함으로써 선행연구와 구별되는 차별점을 가진다. 첫 번째로는 본 연구가 개별 제품이나 점포를 포함하는 패션브랜드 수준에 대한 통합적인 평가기준을 밝힌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는 이미 형성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존 브랜드에 대한 평가기준이 아닌 새로운 브랜드에 대한 최초의 평가기준을 밝히며 본 연구에서의 "신규 브랜드"는 소비자가 처음으로 점포내를 둘러보고 충분한 직접적 정보를 바탕으로 평가를 한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관점에서의 새로운 브랜드로 조작적 정의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전국적으로 유통되는 대부분의 패션 브랜드가 백화점 내에 입점되는 국내의 현실을 고려하여 소비자가 지각하는 백화점과의 관제의 질과 입점되어 있는 신규 패션 브랜드 평가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오백 삼십 칠 명의 여성 소비자에 대한 온라인 조사를 통해 신규 패션브랜드를 평가하는 평가기준 요인 (상품 파워, 점포 내 커뮤니케이션, 브랜드 및 회사 이미지, 판매원, VMD, 구색의 다양성)을 도출하고 이들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백화점 관제질의 차이에 따른 신규브랜드 평가 기준과 브랜드 태도의 관련성도 분석하였다.

  • PDF

마케팅과 풍수지리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arketing and Feng-Shui)

  • 황화철
    • 유통과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161-173
    • /
    • 2006
  • 일반적으로 풍수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묏자리를 잡는 기술쯤으로 그것도 부모 산소를 잘 쓰면 후손이 잘 될 것이라는 철저히 이기적인 측면의 사고방식에서 비롯된 편협된 시각이 주를 이루어, 이러한 왜곡된 풍수가 신앙이상의 차원에서 신봉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건축학과 조경학 그리고 인테리어 등의 분야에서 풍수이론이 활용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점포의 입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입점 예정지를 분석해야 한다. 보통 상권분석을 실시하여 시장잠재력의 크기만을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잠재력의 크기만으로는 점포위치에 대한 충분한 해답을 줄 수 없다는 것이 논자의 주장이며 상권분석을 통한 시장잠재력의 크기와 병행하여 동양 사상인 풍수지리의 이론을 결합하여 좋은 기(에너지)를 받을 수 있는 점포위치가 선정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도의 출발점이다. 향후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실증적 분석의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접점종업원의 전문성과 커뮤니케이션이 러브마크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고접촉 서비스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Expertise and Communication on the Lovemark and Store Loyalty - Focused on High-Contact Service -)

  • 천명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5호
    • /
    • pp.93-110
    • /
    • 2015
  •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서비스 접점 종업원과의 상호작용 및 기능적 품질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고객이 내리는 종업원에 대한 평가나 지각 등에 대한 면밀한 논의를 충분히 수행해내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는 서비스 종업원에 대한 감정적인 판단 및 평가와 인지적인 평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내용들이 점포에 대한 충성도, 나아가서 브랜드에 대해 가지는 충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서비스의 기능적 품질 혹은 서비스의 차원의 일부에 국한시켜서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러브마크 이론을 서비스 종업원을 대상으로 하여 그 적용범위를 확장하고, 서비스 종업원과 관련된 서비스 품질 측정의 확장을 논의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서비스 종업원의 전문성과 커뮤니케이션은 러브마크의 사랑차원과 존경차원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러브마크의 하위 2개 차원역시 점포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서비스의 기능적 품질에 대한 논의의 확장과, 러브마크의 하위요인들을 이용한 접점에서의 종업원 관리 및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PDF

커피전문점의 지속가능경영이 점포이미지와 고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stainability Management at Coffee Houses on Customers' Store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 신중원;김소영;윤지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94-50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ustainability management (SM) at coffee houses on customers' store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addition, customers'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for sustainable coffee houses was studied. During October 2011, a web survey was conducted via an on-line research company with customers aged 20 to 39 visiting one of the top five coffee houses in Korea at least once a month. A total of 300 targeted customers responded and all the data were analyz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rived two dimensions of SM: SM in Soci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 and SM in Economic Perspective.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SM in Economic Perspective at coffee hous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 with mediating effect by store image, but SM in Soci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 did not have such effect. Approximately one-third (31%) of the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ay a premium for a sustainable coffee house in a scenario. approximately 84% of the respondents unwilling to pay a premium for the sustainable coffee house chose the cost-related reasons including "Coffee price at the coffee house that they most often visit is already expensive (62.3%)" for such unwilling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M of coffee houses, especially that in Economic Perspective, could contribute to store image, and therefore increase customers' favorable behavioral intention, although the additional cost resulted from such SM practices might not be easily accommodated by customers.

커피전문점 이용자의 기능적 일치성과 자아일치성이 소비감정과 점포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unctional-congruity and Self-congruity on Coffee Shop User's Consumption-related Emotions and Store Attitude Formation)

  • 안세희;전병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70-83
    • /
    • 2012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이용자의 기능적 일치성과 자아일치성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이러한 이차원적인 감정 구조가 커피전문점에 대한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서울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280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기능적 일치성은 커피전문점 이용객의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아일치성은 커피전문점 이용객의 긍정적 감정에(+)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커피전문점 이용객의 긍정적 감정은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감정은 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커피전문점 이용자의 기능적 일치성과 자아일치성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을 매개로 하여 점포태도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서비스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이 점포태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n Store Attitudes and Revisit Intentions of Consumers' Perception of Service Providers' Marketing Attitudes)

  • 강경수;홍순복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4호
    • /
    • pp.197-215
    • /
    • 2012
  • 본 연구는 대형마트의 마케팅활동 요인인 제품, 가격, 장소, 광고, 종업원 그리고 물리적 환경이 점포태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마케팅활동 요인과 점포태도를 재방문의도 측정의 하위요인으로 선정하고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마케팅활동 요인을 구성하는 차원 중에서 종업원, 물리적 환경, 가격 그리고 장소가 점포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형마트에 대한 긍정적인 점포태도는 고객의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대형마트들이 전통적인 가격경쟁요인 위주의 전략에서 탈피하여 비가격경쟁 요인인 종업원의 서비스, 점포자체의 물리적 환경, 장소 등의 요인을 활용한 마케팅활동이 중요한 전략요인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해주는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의 논의는 대형마트의 마케팅 활동이 점포태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시도한 기존연구의 의미있는 확장으로 판단된다.

  • PDF

우리나라 소매업태 간의 경영성과에 관한 비교 연구 - 무점포통신판매업의 성장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formance of Retailers in Korea: Focus on the Growth of Non-­store e-­commerce Business)

  • 구경모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9-5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매업태의 경영성과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TV홈쇼핑과 온라인쇼핑을 대표적 사업으로 구성된 무점포통신판매 업태는 2000년대 10년 동안 매우 빠르게 성장하였다. 2010년대의 대략 6년 동안은 온라인쇼핑 사업 모델의 다양화와 경쟁심화 그리고 오프라인쇼핑 소매업의 진입에 의한 경쟁의 확산이 가속화 되었다. 이 같은 2001~2016년의 분석기간 동안에 무점포통신판매업은 오프라인쇼핑 소매업의 비교 업태(백화점, 종합소매업, 일반소매업)보다도 높은 경영성과를 보여주었음을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성장성과 활동성의 일부 경영성과 지표의 유의미한 차이는 소매업태의 자본구조와 운영구조에 의해 예상되는 점이라고 볼 수 있었다. 특히 무점포통신판매업의 업태를 구성하는 사업체는 다양한 판매 매체와 이질적 사업 모델을 가진다는 점에서 영업이익률과 재고회전율의 지표에 대한 연구 결과의 의미와 향후 경영성과 관리에 대한 추가적 논의 점을 제시하였다.

The Effects of Chatbot Service Quality, Trust, and Satisfaction on Chatbot Reuse Intention and Store Reuse Intention

  • JI, Seong-Goo;CHA, Ae-You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12호
    • /
    • pp.29-38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chatbot service quality, chatbot trust, and chatbot satisfaction on chatbot reuse intention and store reuse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We reviewed the literature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atbots, established hypotheses, and analyzed them. We empirically analyzed the process model in which chatbot service quality (interaction quality, information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chatbot trust and chatbot satisfaction, and that chatbot trust and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 chatbot reuse intention and store reuse inten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212 people who had used shopping mall chatbots and financial service chatbots after demonstrating the shopping mall chatbot vide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by using AMOS 24.0 to test the proposed relationships. Result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effects of interaction quality on chatbot trust and information quality on chatbot satisfaction were not supported, but the rest of the hypothe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on quality of chatbot service had a positive effect on chatbot trust,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hatbot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interaction quality of the chatbot positively affects the satisfaction of the chatbot, but i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trust of the chatbot. Chatbot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atbot satisfaction. Chatbot trust and chatbot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reuse the chatbot. And, chatbot trust and chatbot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ore reuse intention.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offer significant theoretical and managerial contributions in the context of chatbot. Chatbots should enhance customer contact quality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otal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rather than partial function. When providing a chatbot service, it is more desirable to give priority to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to increase trust, and at the same time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by increasing the quality of interaction.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companies, the purpose of introducing chatbots should be clarified and approached strateg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