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ne fruit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5초

Amygdalin Contents in Peaches at Different Fruit Development Stages

  • Lee, Suk-Hee;Oh, Angela;Shin, Seo-Hee;Kim, Ha-Na;Kang, Woo-Won;Chung, Shin-Ky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2권3호
    • /
    • pp.237-240
    • /
    • 2017
  • Amygdalin contents of the seeds, endocarps, and mesocarps from three peach cultivars (i.e., Stone Peach, Hikawa Hakuho, and Bakhyang) were measured at three stages of fruit development (stone-hardening, fruit enlargement, and ripening). The peach samples were dried and defatted with a Soxhlet apparatus, reflux extracted with methanol, and analyzed using reverse 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During all fruit development stages, the amygdalin contents in the seed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endocarps and mesocarps. The amygdalin contents of the Stone Peach were comparatively higher than the Hikawa Hakuho and Bakhyang (P<0.05). Further, the amygdalin contents during ripening were very low or not detected. Overall, the amygdalin contents of the three peach cultivar samples (seed, endocarp, and mesocarp) increased until the fruit enlargement stage and either remained constant or decreased during ripening.

유기질 멀칭이 배 '신고' 나무의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Mulches on the Quality of "Niitaka" Pear Trees and Fruit)

  • 오수옥;김월수;최현석;조정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66-470
    • /
    • 2010
  • 본 연구는 유기질 멀칭에 의해 배 '신고'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볏짚 멀칭은 엽중 칼륨, 마그네슘, 칼슘 함량을 높였지만 모두 적정농도 이하의 수준을 나타냈다. 과실의 경도는 참나무껍질에 의해 증가하였고 당도는 참나무껍질과 볏짚에 의해 증가하였다. 참나무 껍질은 가장 높은 당산비를 보였고 진한 붉은 계열의 과피색을 착색시켰다. 과실의 칼륨은 볏짚에서 칼슘은 참나무껍질에서 가장 높았으나, 두 무기성분간의 과실 내 흡수에 있어서 길항작용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과실 품질을 향상시켰던 유기질 멀칭 자재인 참나무껍질과 볏짚은 석세포 함량을 감소시켰고 유기질이 투입되지 않는 폴리에틸렌은 대조구와 비슷한 석세포 함량을 보였다. 따라서 과원 내 유기질이 투입된 멀칭 시용은 과실 품질을 부분적으로 향상시켰고 과실의 씹힘성을 저해하는 석세포를 감소시켜서 과실의 품질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관행재배구의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Fruit Quality of 2-Year Compost Application in a Conventionally Managed Pear Orchard)

  • 이재안;김월수;최현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17-320
    • /
    • 2009
  • 관행재배구의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1970년대부터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신고 품종 재배가 급증하기 시작하였고, 2002년 현재 전체 배 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추석이 빠를 경우 성숙이 덜된 과일을 수확하여 시장에 출하함으로서 품질이 좋지 않은 과일로 인하여 소비가 둔화되고 가격이 떨어져 동양배를 재배하고 있는 농가의 수입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미생물이 들어있는 유기질비료(compost)를 이용하여 추석에 조기 출하되는 신고배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2년 동안의 compost 처리가 과일에 미치는 영향은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Hunter L값과 a값이 높은 경향을 보여 사람의 눈으로 보기에 더 익은 것처럼 보였고, 더 당도가 상승하고 산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과실의 조기성숙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유기질 비료는 과실내 석세포 함량을 줄였고 칼슘함량을 높여서, 과실의 육질을 부드럽게 개선시킴으로써, 조기 출하되는 과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다.

Tissue Culture of Stone Fruit Plants Basis for Their Genetic Engineering

  • Csanyi, Marta;Wittner, Anita;Nagy, Agenes;Balla, Ildiko;Vertessy, Judit;Palkovics, Laszlo;Balazs, Eevi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91-95
    • /
    • 1999
  • Genetic engineering of stone fruit species like apricot, plum, peach and cherry are hampered by the inefficient and low-level regeneration processes in tissue culture. The first transgenic stone fruit species have emerged from transformed hypocotyls. These great achievements were applauded by the scientific community contrary the fact that hypocotyl derived transgenic plants have no real brooding value. Tissue culture of different organs of valuable cultivars are recorded with an extremely low-level of regeneration in the literature. To improve the tissue culture basis of stone fruit plants an extensive tissue culture programme were launched and dozens of different media were compared including a series of hormone concentration in the tissue culture systems. Our continuous efforts were crowned by a very efficient method for achieving up to 30-40% regenerable petioles. Usually on a single petiole several well-separated meristems were induced. After 3-4 weeks of cultivation shoots were developed. The basic media $K_2$ were supplemented with 10g/L saccharose, 10g/L glucose and 10g/L maltose. The following plant hormones were used BAP 1mg/L, TDZ 1mg/L, 2-iP 1mg/L and IAA 0,1 mg/L concentrations. The Petri dishes were kept for 3 weeks in dark at a temperature 22$^{\circ}C$ for 8 hours and 22-24$^{\circ}C$ for 16 hours. The Petri dishes were sealed with Parafilm. The regeneration of the petioles were genotype independent and we were able to regenerate different plum cultivars with almost the same efficiency.

  • PDF

게르마늄 처리가 배 '신고' 과실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anium Treatment on the Quality of 'Niitaka' Pear Fruit)

  • 김태연;김월수;최현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75-679
    • /
    • 2009
  • 본 연구는 게르마늄(Ge) 처리 및 처리방법에 따른 배 '신고'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수확 6개월 후에 저온 저장된 과실을 분석한 결과 Ge처리에 의해서 배 '신고' 품종의 고유한 색깔을 나타내는 담황색을 많이 띄는 과실을 생산하였다. 과실의 형태나 무게는 Ge처리구와 대조구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Ge처리구는, 과실의 당산비를 높였다. 과실의 씹힙성을 저해하는 석세포 함량을 조사한 결과, 모든 Ge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함량을 나타냈고, 특히 Ge 복합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모든 Ge처리구에서 과실 내 Ge함량을 증가시켰으나, 과실 내 칼슘함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과실 내 다른 무기성분인 칼륨, 마그네슘, 인산함량은 Ge처리구와 대조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모든 Ge 처리구에서 6개월 저장기간 동안 높은 과실경도와 과실 비중을 유지했으며, 과육 내 치밀한 세포 조밀도를 나타내서, 배 '신고'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과실 내 바람들이 현상을 감소시켰다. 전체적으로 Ge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Ge 복합처리구에서 보다 더 상품성 있는 과실을 생산한 것으로 판단된다.

Genetic Variation of Monilinia fructicola Population in Korea

  • Su In Lee;Hwa-Jung Lee;Youn-Sig Kwa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205-217
    • /
    • 2024
  • Brown rot disease, caused by Monilinia spp., poses a significant threat to pome and stone fruit crops globally, resulting in substantial economic losses during pre- and post-harvest stages. Monilinia fructigena, M. laxa, and M. fructicola are identified as the key agents responsible for brown rot disease. In this study, we employed the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method to assess the genetic diversity of 86 strains of Monilinia spp. isolated from major stone fruit cultivation region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strains were collected from Chungcheong, Gangwon, Gyeonggi,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s (-do). A comparative analysis of strain characteristics, such as isolation locations, host plants, and responses to chemical fungicides, was conducted. AFLP phylogenetic classification using 20 primer pairs revealed the presence of three distinct groups, with strains from Jeolla province consistently forming a separate group at a high frequency. Furthermore, M. fructicola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AFLP pattern.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and PERMANOVA were applied to compare strain information, such as origin, host, and fungicide sensitivity, revealing significant partition patterns for AFLP according to geographic origin and host plants. This study represents the utilization of AFLP methodology to investigate the genetic variability among M. fructicola isolat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variations in the brown rot pathogen.

'만풍배'의 생육기별 해부학적 구조와 과실품질 (The Characteristics of Anatomical Structure and Fruit Quality According to Fruit Developmental Stage of Pyrus pyrifolia Nakai cv. Manpungbae)

  • 박지은;권용희;이별하나;박요섭;정명희;최진호;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407-414
    • /
    • 2013
  • 본 연구는 '만풍배'의 생육단계 및 괘대 유무에 따른 과실의 해부학적 차이를 알아보고, 수확기 과실의 품질 및 착색특성 관찰을 통하여 '만풍배'의 생리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만개기의 과실구조는 바깥쪽으로부터 외표피층, 아표피층, 유조직층, 내표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표피층을 이루는 세포 층수는 만개기부터 만개 후 77일까지 9-13층까지 최대로 증가하여 '만풍배'의 세포 분열 기간은 만개 후 77일까지로 조사되었다. 이 기간 동안 아표피층에서 유관속조직까지의 두께는 $73.1{\mu}m$부터 $195{\mu}m$까지 증가하였다. 석세포는 만개 후 7일부터 관찰되어 만개 후 49일에는 석세포군이 형성되어 있었다. 코르크층은 만개 후 49-77일 사이에 형성되었다. 성숙기인 만개 후 161일 '만풍배' 과실의 과피는 바깥쪽부터 코르크층은 4.5층, 아표피층은 7개의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아표피층에는 탄닌이 분포해 있었다. '만풍배'의 괘대 유무에 따른 과실비대 및 조직발달을 비교한 결과, 괘대 초기에는 코르크층이 유대재배구에서 더 빨리 생겨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성숙기에는 3층 정도 무대재배구에서 더 두꺼워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석세포군의 크기는 두 실험구 모두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과중은 무대재배구에서 더 높았으나 수확기의 당도는 괘대 유무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만풍배'의 수확기 과중 등급은 301g부터 900g 이상까지 분포하였고, 그 중 551-800g의 과실이 총 수확량의 71.6%로 가장 많았으며 이 범위의 평균 과중은 677.2g이었다. 과실품질은 가용성 고형물 함량 $10.1-12.1^{\circ}Brix$, 산도 0.10-1.24%, 당산비 9.76-14.31로 분포하였으며 과중과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과실 크기가 클수록 가용성 고형물 함량도 높았다. 반면에 경도는 과중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과실크기가 클수록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과피의 황갈색 부분과 녹색 부분을 구분하여 코르크층 수와 함께 엽록소 함량을 조사한 결과, 코르크층은 황갈색 부분은 3.8층, 녹색부분은 3.5층으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엽록소 함량은 녹색부분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실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Organic Fertilizers on Fruit Quality in a Pear Orchard)

  • 이웅;김월수;최현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05-310
    • /
    • 2009
  • 관행재배 과원의 토양에 여러 유기질 퇴비를 시비하였을 경우 배 과실의 품질특성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8년생 신고배에 쌀겨퇴비, 커피박퇴비, 키친퇴비(미생물지킴이(R)) 및 위의 3종 유기질 비료 복합 처리구를 배치하고 주당 10 kg 을 시비하였고, 대조구는 화학비료를 주당 60 g 시비하였다. 과실당도나 경도, 산도에서는 복합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았고 석세포 함량은 모든 유기질 비료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다. 과피와 과육에서의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은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고, 페놀화합물 함량도 과피와 과육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과피의 페놀화합물 함량은 처리구에 상관없이 과육보다 6배 정도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화학비료를 대체한 유기질 비료의 시용으로 배 과실내 석세포 감소와 품질 특성의 향상과 총 페놀함량 증가 및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

Detection of Viruses Infecting Stone Fruits in Western Mediterranean Region of Turkey

  • Yardimci, Bayram Cevik Nejla;Culal-Klllc, Hand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44-52
    • /
    • 2011
  •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in 45 stone fruit orchards in seven districts of Isparta Province located in western Mediterranean region of Turkey important for stone fruit production. Leaf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75 trees showing virus-like symptoms. These samples were first tested by ELISA for five different RNA viruses including Apple mosaic ilarvirus (ApMV), Prunus necrotic ringspot ilarvirus (PNRSV), Prune dwarf ilarvirus (PDV), Plum pox potyvirus (PPV), Apple chlorotic leafspot trichovirus (ACLSV). While no ApMV and PPV infection was found, 46, 24 and 16 samples were tested positive for PDV, ACLSV and PNRSV, respectively, in ELISA showing about 45% of symptomatic trees in the region were infected with at least one of these viru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nine sweet cherry trees were mixed infected with two or three of these viruses and PDV with an infection rate of 26.3% was the most widespread virus in symptomatic trees in western Mediterranean region. Thirty samples were selected and tested by a multiplex RT-PCR (mRT-PCR)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these viruses. While PPV was not detected, more than half of the tested 20 samples were individually or mixed infected with ApMV, ACLSV, PNRSV and PDV. The mRT-PCR results were confirmed by detection of these viruses individually in some of the field samples using RT-PCR with primes specific to each virus. Comparison of ELSA and mRT-PCR results of 30 samples showed that numbers of infected and mixed infected samples as well as infection and mixed infec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T-PCR (20 and 66.7%) than in ELISA (14 and 46.7%). The results confirm that mRT-PCR is more sensitive than ELISA.

핵과류 잿빛무늬병을 일으키는 Monilinia fructicola 병해 특성 (Characteristics of Brown Rot Caused by Monilinia fructicola on Stone Fruit in Korea)

  • 오훈탁;최인영;김주;나영은;이왕휴;이귀재;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23권4호
    • /
    • pp.322-333
    • /
    • 2017
  • 2015년과 2017년 6-7월에 전라북도 전주와 임실에서 매실, 복숭아, 살구, 자두, 체리 등 핵과류에 잿빛무늬병이 2-5% 정도 발생하였다. 잿빛무늬병은 일부 꽃과 잎에서도 발생하였지만, 주로 과실에 발생하였다. 초기병징은 과실의 표면에 작은 원형의 갈색 반점이 생기고, 병이 진전됨에 따라서 점차 수침상으로 확대되었으며, 후기에는 갈변된 원형의 병반 위에 백색 내지 회백색의 포자 덩어리가 밀생하여 눈꽃처럼 피고, 과실 전체로 확대되었다. 핵과류에서 분리된 분생포자는 분지된 염주상으로 사슬모양(monilioid chains)을 나타냈으며, 단생, 투명하고, 난형-레몬형이었다. 분리된 균주들의 온도별 균사생장 적온은 $20-25^{\circ}C$이며, 균사생장에 적합한 배지는 OA와 PDA이었다. 핵과류 잿빛무늬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형태적 특징, 병원성 검정, ribosomal DNA (rDNA)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기초로 Monilinia fructicola로 동정하였다. 대표 균주에 대한 병원성은 인공접종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핵과류에서 발생하는 M. fructicola에 의한 잿빛무늬병에 대한 최초 보완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