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ne Contact Surfac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6초

석탑구조물의 표면거칠기 및 충전재에 따른 석재접촉면의 구조특성 분석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tone Contact Surface according to Surface Roughness and Filling Material of Stone Pagoda Structure)

  • 김호수;김동관;이승희;김덕문;조상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4권6호
    • /
    • pp.19-27
    • /
    • 2018
  • The stone pagoda structure is treated as a discontinuous masonry structure, and the contact surface characteristics between stone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discontinuum behavior analysis. So, it is necessary to find out materi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one contact surface to perform the structural analysis for safety evaluation.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material properties of stone surface and secur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rough various contact surface states. Therefore, in this study, various test specimens applying the filler between the surface roughness and the stone in the contact surface treatment technique of the stone pagoda were manufactured, and compression test and shear test were carried out. Also, we analyzed the materi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contact surface through the comparison of experimental results.

접촉면 처리 방식에 따른 석탑의 내진 특성 평가 (Seismic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tone Pagoda According to Contact Surface Types)

  • 김호수;김동관;원태호;전건우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41-50
    • /
    • 2019
  • The stone pagoda continued to be damaged by weathering and corrosion over time, and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 are accelerating the destruction of cultural properties. Stone pagoda has discontinuous structure behavior and is very vulnerable to the seismic load acting in lateral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various design variables as the contact surface characteristic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ynamic behavior of stone pagodas. For this purpose, contact surface characteristics of stone pagoda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surface roughness and filler type, and representative model is selected and structural modeling and analysis are performed using the discrete element method. Also, the seismic load according to the repetition period is calculated and the dynamic analysis is performed considering the discontinuous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pagoda. Finally, the seismic behavior characteristics can be analyzed by the evaluation of stresses, displacements and structural safety.

석조문화유산의 표면 요철도에 적합한 초음파 탐촉자 및 접촉매질 선정 연구 (A Study on Selection of Ultrasonic Transducer and Contact Material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Stone Cultural Heritage)

  • 조영훈;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67-278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석조문화유산의 표면 요철도를 고려한 맞춤형 초음파 측정법을 설정하기 위해 새로운 접촉매질인 엘라스토머 커버를 개발하였다. 이 커버는 17MPa의 인장강도와 625%의 신장도를 가져 탄성력이 매우 우수하고 마모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 커버를 포함하여 탐촉자 및 접촉매질에 따른 7개 유형의 비교 실험 결과, 암석의 표면 거칠기는 초음파속도 감쇠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현상은 잔다듬에서 정다듬으로 갈수록, 직접전달방법보다는 간접전달방법에서 두드러졌다. 그러나 지수형 탐촉자와 엘라스토머 커버를 사용하는 유형 F는 요철도에 큰 상관없이 안정된 초음파속도와 높은 첨두치를 나타냈다. 이는 접촉매질로 사용한 엘라스토머 커버가 요철 표면에 충분히 밀착되어 탐촉자와 시편 사이의 공극을 제거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석조문화유산의 초음파 측정은 유형 F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화강석 건조물의 표면 거칠기별 초음파속도법에 의한 강도 추정 (Granite Strength Estimation of Construction Considering Surface Roughness Effect on Ultrasonic Velocity Method)

  • 김정섭;신용석;김정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37-145
    • /
    • 2010
  • 석조 건조물의 역학적 성질은 일반적으로 석재 강도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문화재의 훼손이 없는 초음파속도의 측정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초음파속도법은 표면거칠기, 석재 두께 등에 대한 보정을 실시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그리스와 같은 접촉재 사용으로 문화재의 표면에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조 건조물의 강도를 간접법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석재 표면거칠기, 석재두께, 접촉재의 종류, 초음파속도 측정방법 등을 주변수로 석재 간접법 강도 추정식을 제안한다. (1) 잔다듬 석재 초음파속도법에 의한 강도 추정식 : $f_{su}=19.1{\times}V_p+18.3(R^2=76.0)$ (2) 거친다듬 석재 초음파속도법에 의한 강도 추정식 : $f_{su}=7.9{\times}V_p+64.6(R^2=69.8)$.

조립재료와 지오신세틱스의 접촉면 마찰특성 평가 (Evaluation of Interface Friction Properties between Coarse Grained Materials and Geosynthetics)

  • 장용채;이승은;서지웅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53-5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대형직접전단시험을 이용하여 조립재료와 지오신세틱스 사이의 접촉면 마찰특성을 비교하여, 조립재료인 고둥껍질과 쇄석간의 조립재료특성을 파악하여 고둥껍질의 효용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모형지반을 조립재료인 쇄석 또는 고둥껍질로 형성하여 부직포 또는 지오스트립 지오신세틱스를 포설 전단시켜 마찰계수와 마찰각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쇄석의 단위중량이 $13.7kN/m^3$ 일 때 $33.8^{\circ}$, 고둥껍질의 단위중량이 $5.4kN/m^3$ 일 때 $35.4^{\circ}$의 내부마찰각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오신세틱스와 쇄석의 접촉면 마찰각이 지오신세틱스와 고둥껍질 접촉면 마찰각보다 크게 나타났다.

  • PDF

석조문화재 풍화도 평가를 위한 초음파 측정의 설정과 직접-간접전달방법의 상관관계 (Establishment of Ultrasonic Measurement and Correlations of Direct-Indirect Method for Weathering Evaluation of Stone Cultural Heritage)

  • 이찬희;조영훈;전유근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3-244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석조문화재의 초음파 측정에 적합한 탐촉자 및 접촉매질을 선정하였으며, 과학적이며 정량적인 평가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암종별 직접 및 간접전달방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 석조문화재에서 초음파 측정은 유형 3의 탐촉자(UTREXTX(RX)54kHz)와 접촉매질(고무찰흙)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유형 3의 직접 및 간접전달방법의 보정계수는 화강암 1.50, 반려암 1.38, 석영섬록암 1.58로 산출되었다. 이 결과는 초음파탐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최초의 연구로서 석조문화재의 초음파탐사 방법을 확립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암석의 표면요철도와 다양한 접촉매질을 고려한 보완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암종별 직접-간접전달방법의 상관관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도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작업환경개선을 위한 석재연마공정에 있어서의 다축마석연마장치 개발 (- Development of the multi axis whetstone system in the stone polishing process for the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

  • 강지호;홍동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71-181
    • /
    • 2004
  • A multi axis whetstone polishing system, which uses the flow system of the stone polishing machine head, has been developed.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defect by line contact polishing does not occur in both ends of the stone and that it came to trim smoothly. In terms of the surface roughness, the corresponding index was decreased by 3.6 times, improving the polishing effect greatly. It decreased significantly the dust and noise with the wet polishing. The factors of the duty evasion at production site can thus be solved with the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against the polishing process of the stone industry and work intensive reduction.

작업환경개선을 위한 석재가공업 연마공정의 다축마석연마장치 개발 (Development of the multi axis whetstone polishing system of the stone polishing process for the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 강지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5-170
    • /
    • 2004
  • It used the flow system of the stone polishing machine head and it developed a multi axis whetstone polishing system. With the result, the defect by line contact polishing does not occur in both ends of the stone, and it came to trim smoothly. As the index of the surface roughness decreased to 3.6 times, the polishing effect improved greatly. It decreased greatly the dust and a noise with the wet polishing, and the factors of the duty evasion at production site were solved with the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against the polishing process of the stone industry and work intensive reduction.

  • PDF

열처리 조건에 따른 목재의 계면과 기계적 물성 및 돌침대용 석재/목재간 접착제에 따른 접착력 평가 (Interfaci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Different Heat Treated Wood and Evaluation of Bonding Property between Stone and Wood for Rock Bed)

  • 권동준;신평수;최진영;문선옥;박종만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2호
    • /
    • pp.69-75
    • /
    • 2015
  • 돌침대에 사용되는 석재의 무게를 줄여 경량화를 추구하려면 석재의 두께를 줄이고 보강재료로 석재의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돌침대용 석재/목재 보드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돌침대에 삽입될 돌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석재와 목재를 접합하였다. 목재의 강도 향상과 표면개질을 위하여 열처리 조건에 따른 목재의 물성변화를 관찰하였다. 대기 조건에서 열처리한 목재의 경우 고온의 온도에 따라 목재의 강성이 높아졌다. 열처리 최적조건은 표면에너지와 인장, 굴곡 강도변화 경향을 바탕으로 $100^{\circ}C$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석재와 목재간 높은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최적의 접착제 조성을 연구하였다. 아민계 에폭시 접착제, 폴리우레탄(PU)계 접착제, 염화고무계(CR) 접착제 마지막으로 염화비닐초산계 접착제에 따른 석재와 목재간 랩 전단실험을 진행하였다. 랩 전단 실험 후 파단면을 관찰해볼 때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할 때 목재 기지의 인열 파괴가 발생되었다. 접착면에서의 전단력이 목재 자체의 파괴 강도보다 높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접착제 조건이 에폭시계 접착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구성암석의 손상과 에틸실리케이트 암석강화제의 효과 (Deterioration of the Rock-carved Seated Buddha at Golguram Hermitage, Gyeongju and Effect of the Ethylsilicate Consolidant)

  • 도진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1-81
    • /
    • 2017
  • 회백색 응회암으로 구성된 경주 골굴암 마애불의 효과적인 보존처리를 위하여 구성암석의 특징과 보존처리제 적용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았다. 구성암석은 팽윤성 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를 3-5% 함유하고 있으며, 물과 반응 후 팽윤성 광물의 층간간격이 증가함을 보였다(1.54-2.69%). 에틸실리케이트 암석강화제를 적용한 후 시편의 표면 경도, 흡수율, 공극률 등의 물성은 향상되었으나 팽윤성 광물의 층간간격이 감소하였으며(4.23-12.12%), 팽윤성 광물의 함량이 많을수록 그 정도는 컸다. 팽윤저지제를 선 처리한 후 강화제를 적용하였을 때 물성은 강화제만을 처리하였을 때와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팽윤저지제만의 처리로는 팽윤성 광물의 층간간격이 거의 변화되지 않았으며, 팽윤저지제 처리 후 강화제를 처리하였을 때는 XRD 패턴에서 팽윤성 광물의 세기는 줄어들었으나 층간간격의 변화는 강화제만을 처리하였을 때와 유사하여 팽윤저지제의 효과는 거의 없었다(4.10-11.85%). 따라서 팽윤성 광물을 함유하고 있는 골굴암 마애불 구성암석을 강화시키기 위한 보존처리제로서 에틸실리케이트 계열의 암석강화제는 적절치 않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한 팽윤저지제도 효과적이지 못하다. 우수의 접촉으로 구성광물이 팽윤되어 풍화가 급속히 진행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하부와 측면 등 풍화가 심한 부분에 우수접촉을 저지시키는 조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