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ne Brick Pagod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4초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축조기법 기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igin of Stone Pagoda Construction Techniques at Stone Brick Pagoda of Bunhwangsa Temple in Gyeongju)

  • 김인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33권3호
    • /
    • pp.7-17
    • /
    • 2024
  •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constructed in 634, is Korea's oldest stone pagoda. As a prototype of the Silla Stone Pagoda, the pagoda was constructed using flagstones. Since it was constructed with flagstones, it has been known to be a pagoda that replicates the brick pagoda until now. The latest research suggests that it copies the India Stupa or the Stacked Stone Pagoda more than the Brick Pagoda. However, the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construction technique and shape compared to Brick Pagodas, India Stupas, and Stacked Stone Pagodas. Therefore,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stone building technique used in Silla.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the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is a stone pagoda that creatively reflects the existing Silla stone building techniques such as stone fortresses and stone chamber tombs.

신라 분황사탑의 '모전석탑(模塼石塔) 설(說)' 대한 문제 제기와 고찰 (Inquiry about 'The Theory of Brick-Copy' of the Stone Pagoda at Bunhuangsa Temple)

  • 이희봉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2호
    • /
    • pp.39-54
    • /
    • 2011
  • The Bunhuangsa stone pagoda, constructed in AD. 634, National Treasure no. 30, has been named as 'brick-copied pagoda' since the Japanese-ruling period by scholars. It is said that the Chinese brick pagoda was its precedent model, however the Bunhuangsa Pagoda is the oldest of all the Chinese-style brick pagodas except one, the Sungaksa Pagoda. The Chinese pagoda cannot have been a precedent model to copy due to its complex detail of wood vestige, as the Bunhuangsa pagoda is simple form without ornament. Domestic brick pagodas cannot have been a precedent model to copy as well, because all the domestic brick pagodas are younger than the Bunhuangsa Pagoda. Therefore, the terminology 'brick-copied pagoda' is a fallacy; it is rather that later brick pagoda copied the precedent the Bunhuangsa stone pagoda. The Bunhuangsa Pagoda is simply a piled-up pagoda of thick or thin, big or small slates of stone, facing only one smooth side and therefore needing nothing to relate to brick. The originality of the pagoda is more related to simple piled-up Indian stone stupa rather than Chinese brick pagoda. The roof form of its gradually stepped projection comes from the harmika of the summit of Indian stupa. Contrary to general history, old Silla Dynasty imported Buddhism directly from India by sea. From written national history and by temple foundation history, the Indian Buddhism evangelist possibly made influence to the erecting of temple and pagoda. The original wrong terminology has made a harmful effect gradually to the naming of mass-styled stone pagoda of only carved stepped-roof form after brick-copied pagoda. The false term 'brick-copied pagoda' should be discarded, which comes with superficial observation based on toadyism to China and colonialism to Japan. Instead of the fallacious term, this paper suggests multi-storied 'piled-up pagoda with slate stone.'

한국(韓國) 전탑(甎塔)과 모전석탑(模甎石塔)의 관계성(關係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about the Relations between Brick Pagodas and Stone Brick Pagodas in Korea)

  • 한욱;김지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7호
    • /
    • pp.81-8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brick and stone brick pagodas in all classes of pagoda with their construction and shape. Research objects of this study are brick and stone brick pagodas of National Treasure and Treasure and masonry pagodas that are similar to brick and stone brick pagoda. This study includes checking preceding researches, drawing questions from these preceding researches, and finding answers from these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goda of Bunhwangsa Temple, the first pagoda in the Silla Dynasty, was built as a masonry pagoda, not a stone brick pagoda. Second, roofs of stone brick pagoda barrows from brick pagoda's techniques for performance of material and ease construction. Third, brick or stone brick pagodas' base have Type II that has low and extensive foundation with soil and stones usually. Forth, Korean pagodas are categorized by their materials, construction methods, and shapes. Wooden pagodas, stone pagodas, and brick pagodas are categorized by materials, post-and lintel pagodas and masonry stone pagodas are categorized by construction methods, and pitched roof pagodas and terraced roof pagodas are categorized by shapes. Fifth, masonry pagodas of Buddhism that have shape of multi-story building were developed from Doltap, traditional stone stack, and they advanced with brick pagodas and stone pagodas to terraced roof stone pagodas and post-and lintel base brick pagodas.

전남지역 석탑의 출현과 특성 (Beginning and Characteristics of Stone pagoda in Jeonnam Region)

  • 천득염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1호
    • /
    • pp.33-50
    • /
    • 2014
  • Formativ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one pagoda in Jeonnam area are known in largely two flows. One is that characteristic of stone pagoda in Jeonnam area of the Unified Silla is shown in eastern Jeonnam and some southern Jeonnam. But it is not shown in surroundings of Yeongsan river. Another is that besides stone pagoda in Silla style where social aspects of Goryeo are reflected, stone pagoda in Baekje style appeared. On the other hand, stone brick pagoda and non-typical stone pagoda appeared. These stone pagodas were developed mainly in north and west of Jeonnam, and could be classified in pure Baekje style and a cross style according to formativ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Stone brick pagoda is extant in Wolnamsa site and Woonjusa in Chungcheong and Jella areas which are old places of Baekje.

7~9세기 석탑조영방법을 통해 본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의 조영방법 고찰 (Consideration on how to build on AndongJotap-ri five-story brick pagoda using the building methodology of a stone pagoda between the 7th~9th century)

  • 김상구;이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44-754
    • /
    • 2015
  • 동아시아에서 불사의 건립은 도성 및 궁궐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건축 활동 중의 하나로 인지되며, 특히 불탑은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불교건축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불사의 중심에 위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이 해체 보수 하고 있는 상황에서, 7-9세기 석탑의 내부구조체계를 통하여 전탑의 축조과정 등을 해석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탑의 파괴현상으로 측력으로 인한 밀림현상과 부재의 소성온도, 배합물질의 차이로 인한 부재의 파손을 들 수 있었다. 둘째, 전탑은 석탑과 같이 의장적인 부분과 구조적인 부분으로 구분되어 조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의장적인 부분은 가장자리에 있는 전으로 구성되며, 구조적인 부분은 가장자리 전과 내부 중심까지로 의장적인 전의 안쪽에는 완충공간 즉 상부하중이 수직으로 내려오면서 측력이 발생하는 것을 잡아주는 공간에 석재를 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내부중앙에 목주를 두어 전탑의 조영 시 중심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였으며, 그 중심축은 찰주공의 하단까지 이어져 있었다. 넷째, 찰주공은 따로 내부 적심의 중앙에 따로 분리 축조하였다. 그리고 찰주공의 하단에는 찰주의 안착 및 위치선정, 뒤틀림보정을 위하여 구멍을 뚫어 놓았다. 이로 인하여 찰주는 자중으로 움직이지 않는 철재보다 목재로 설치하였을 가능성을 두었다.

통일신라의 문화교류 및 전탑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Examination on unified Silla's cultural exchange and brick pagoda formation course)

  • 김상구;이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369-5377
    • /
    • 2014
  • 본 우리나라의 불탑은 목탑, 전탑, 석탑 등 다양하게 조영되었다. 하지만 전래되어 지고 있는 불탑은 전탑, 석탑 등 소실되기 어려운 재질의 불탑 형식만이 있다. 석탑에 비해 전탑의 경우 실측 등 실물에 대한 자료는 어느 정도 진행되어 있으나, 문헌적인 자료 및 축조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전탑의 수가 그리 많지 않은 점, 지역적으로 제한적인 점, 재료적인 한계를 문헌적으로 극복하지 못한 점, 탑의 구성을 시대적, 지역적인 문제로 해석하지 않고 탑의 조영에만 초점을 맞추어 연구한 것 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전탑이 축조된 지역에서의 지역적 문화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전탑형성과정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우리나라와 중국과의 교류는 나타난 유적을 비교해 살펴보면, 실크로드를 통한 교류와 함께 해상경로로의 교류가 있었으며, 이러한 교류는 동아시아지역과도 함께 공유되었다. 그리고 중국과의 교류는 전파를 통한 맹목적인 습득이 아니라 지역적인 세력의 선택적인 교류라 할 수 있었다. 둘째, 우리나라에서 전탑이 조영된 이유로 이제까지의 지역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양질의 흙 뿐 만 아니라 불교적으로 중심세력에 부합하지 않는 의상의 화엄종의 교섭 및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인 불교의 대중화, 지방세력의 거점화 등이 지방세력과의 밀접한 관계가 전탑 조영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탑의 조영은 발해와 신라와의 교섭관계 및 지역적, 민족적 영향력이 작용하고 중국에서 넘어온 문화에 대한 선택적인 소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 점은 전탑이 중국에서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적인 전파 및 중국의 소국으로서의 발생이 아니라 하나의 민족국가의 형성에서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의 손상 특성 연구 (Studies on Damage Characteristics of Gyeongju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 도진영;김정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49-159
    • /
    • 2018
  • 안산암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은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신라시대 석탑이다. 석탑에서 나타나는 손상양상은 백색피각, 흑색피각, 변색, 토양흡착 등의 오염물, 생물서식, 보수물질 등이다. 구조적 요인에 의한 손상양상으로 배부름 현상이 나타난다. X-선 회절분석 결과에 의하면 백색피각의 주 구성광물은 방해석($CaCO_3$)과 서모나트라이트($Na_2CO_3{\cdot}H_2O$)로 자연 상태에서 쉽게 나타나는 증발잔류광물이다. 석탑에 나타나는 손상양상은 각 부위별로 상당히 다르다. 생물서식은 기단, 사자상, 1층과 2층의 옥개석에서, 보수물질은 기단에서 확인된다. 배부름 현상은 1층 탑신에서 나타난다. 전체적인 손상 유형별 점유율은 생물서식, 오염물, 보수물질이며 그외 배부름 현상, 박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인 개별 손상양상은 흑색미생물(39.3%)이며, 다음은 지의류(17.9%), 변색(8.0%), 백색피각(5.5%), 시멘트 모르타르(5.1%), 배부름 현상(3.9%), 박리(3.1%) 순으로 나타났다.

신라석탑(新羅石塔)의 발생과 성립과정(成立過程)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Silla Stone Pagodas)

  • 신용철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4호
    • /
    • pp.35-54
    • /
    • 2010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arly stone pagodas of Unified Silla. The history of stone pagodas traces back to both Baekje and Silla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but the styles and structures of pagodas began differently. In other words, Baekje attempted to recreate the wooden pagoda style, while Silla attempted to recreate China' brick pagoda style. These different stone pagoda cultures, around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underwent new style changes, and after the mid-7th century, some changes in the five-storied stone pagodas in Tapri appeared, and the milestone perfection of Silla's stone pagodas was achieved through those of Gameusa Temple and Goseonsa Temple. After the mid-7th century, Silla's stone pagodas accommodated some of Baekje's wooden pagodas' elements, shifted from the wooden pagoda style and developed into its own stone pagoda style. This is shown in numerous stone pagodas. However, in Silla's stone pagodas, including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Hwagboksa Temple in 692, the size of the pagoda became small and underwent sudden changes. In other words, a new direction of Silla stone pagodas was presented in terms of how massive stones could be reduced, but they differed only in the reduced stone amount; the basic developed style of the Gameunsa Temple stone pagoda and the Goseonsa Temple stone pagoda inherited the traditional style. Thus, the construction of these two pagodas i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in the Silla's history of stone pagodas.

신라석탑(新羅石塔)의 시원(始源) 고찰(考察) (An Examination on the Origin of Stone Pagodas of the Silla Kingdom)

  • 남시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2호
    • /
    • pp.154-169
    • /
    • 2009
  • 우리나라는 석탑의 나라라고 하지만 석탑이 발생하기 전에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모두 목탑을 먼저 조영하였다. 석탑은 이후 삼국시대 후반인 7세기 초반에 이르러 석재로써 목탑을 모방한 미륵사석탑이 건립되었다. 우리나라 석탑은 목탑을 모방하여 발전되었다는 데는 아무런 제론이 없다. 또 석탑의 시원을 미륵사석탑이라는 데도 어느 누구도 이론이 없다. 600년대 백제와 신라 양국의 사찰창건과 조탑은 동일한 기술자들에 의해서 조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백제에서는 석탑의 시원은 목탑에 두면서 신라에서는 석탑의 시원은 목탑에 두지 않고 전탑에 둔다는 것도 이해 할 수 없는 부분으로 지적하고자 한다. 따라서 필자의 견해는 신라석탑의 시원은 두 계보로 보고자 한다. 그 하나는 목탑에서 미륵사석탑과 정림사석탑을 거쳐서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으로 이어지는 계보이고, 다른 하나는 전탑에서 분황사모전석탑 - 의성탑리오층석탑 - 선산죽장동오층석탑 - 선산낙산동삼층석탑으로 이어지는 계보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이렇게 석탑의 시원을 목탑에 두면서도 석탑옥개석 층급받침은 전탑 또는 고구려고분 천정에서 그 시원을 두기도 하여, 목조 공포의 약화된 표현이라는 의견과 논란이 가끔 있는데, 전탑의 층급은 같은 길이로 내밀고 있지만, 석탑 옥개받침은 처마부분을 더 많이 내미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목조건물 공포에서 변형되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백제석탑(百濟石塔)과 신라석탑(新羅石塔)의 비교론적(比較論的) 고찰(考察)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Paekche and Silla Style Stone Pagodas)

  • 천득염;한승훈;김진숙
    • 건축역사연구
    • /
    • 제4권1호
    • /
    • pp.93-112
    • /
    • 1995
  • The wooden pagoda was first appeared in about late 4th century in Korea. And between the late 6th century and the eary 7th centry, the multistoried wooden pagoda was replaced with the stone pagodas, in order to improve their stability and durability. In Three-kingdom and Unificated-Silla period, there are two types of stone stupas in Korea. The one is Paekche(百濟)style, and the other is Silla(新羅) style stone pagoda. These two styles are basically different in each part like podium, roof stone, body stone, structure and the others. Two types of stupas are distributed in two regions which devided into the East(Silla territory) and West(Paekche territory) in the Korean peninsular. The origin of the Korean stone pagoda can be traced to the Paekche dynasty and Silla dynasty. The former were the result of the careful study of their skillful wooden pagodas, where the latter were actualy originated from copying their sundried brick pagodas with stone. Two important pagodas of the primitive stage are the stone pagoda of Miruksa(彌勒寺) temple in Iksan and Bunhwangsa(芬皇寺) temple in Kyungju. These two pagoda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the style of their construction. Silla style have sharp straight lines and short distance between roof stone and eaves. They give us strong as well as intelletural feeling. Howerever, Paekche style has curved lines and dull angles of cutting area of stone, they give us soft feel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