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ck Portfolio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포털 사이트 검색강도가 주가 동조성 및 위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rtal Search Intensity on Stock Price Synchronicity and Risk: Evidence from Korea)

  • 김민수;허몽하;권혁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25-141
    • /
    • 2020
  •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투자자들의 관심이나 감정이 주식 거래행태와 주가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들의 관심과 감정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의 네이버 검색지수를 이용하여, 포털 검색량과 검색의 변동성이 주가동조성 및 총위험, 체계적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평균적인 검색량이 증가할수록 주가동조성은 증가하는 반면, 검색의 변동성은 주가동조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다음으로 평균 검색량과 검색의 변동성은 모두 주식의 총위험과 체계적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가를 변동시키는 사건이 발생할 경우에만 개인투자자들의 검색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포트폴리오 분석, 고정효과 회귀분석 및 동적 패널 모형에서 일관되게 관찰된다.

연구개발집중도에 근거한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Portfolio Strategy based on the Firm's R&D Intensity)

  • 우춘식;곽재석
    • 재무관리연구
    • /
    • 제21권1호
    • /
    • pp.87-12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1990년 4월-2002년 3월의 기간에서 연구개발집중도에 근거한 포트폴리오의 구성전략이 의미 있는 투자전략인지, 어떠한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연구개발집중도를 측정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그리고 포트폴리오 구성전략에서 어떠한 기업특성요인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R&D/S와 R&D/TA이외에 R&D/MV와 R&D/BV를 이용하여 연구 개발집중도를 측정하여 포트폴리오의 비정상수익률을 비교 분석한 다음 기업규모, BV/MV 및 과거수익률의 크기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세분류하는 방법과 Chan, Lakonishok and Sougiannis (2001)의 다수요인모형을 이용하여 투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경우 연구개발투자가 배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에 따라 연구개발집중도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연구개발집중도가 높은 기업은 시장가치의 평균값이 높고, BV/MV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양(+)의 비정상수익률이 관찰되었다. 둘째, 연구개발집중도의 측정방법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달라지지 않았다. R&D/S, R&D/MV와 R&D/BV 이외에 R&D/TA로 측정할 때 연구개발집중도가 가장 높은 포트폴리오 (P1)와 가장 낮은 포트폴리오(P5)에서 각각 가장 큰 유의적인 양(+)의 비정상수익률과 가장 낮은 유의적인 음(-)의 비정상수익률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연구개발집중도의 측정수단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비정상수익률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섯째, 연구개발집중도에 근거한 포트폴리오의 구성전략에서 기업규모, BV/MV와 장기적인 수익률의 시계열 특성이 중요한 의미를 가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가치가중지수 대신 기업규모와 BV/MV를 통제한 대응지수를 이용한 분석, 포트폴리오의 세분류 및 다중회귀분석에서 각각 일관되게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IMF 이후에도 여전히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평균-VaR 기준과 최적 포트폴리오 선택 (The Mean-VaR Framework and the Optimal Portfolio Choice)

  • 구본일;엄영호;추연욱
    • 재무관리연구
    • /
    • 제26권1호
    • /
    • pp.165-188
    • /
    • 2009
  • 본 연구는 개별 자산의 수익률 분포에 대한 가정 없이 평균-VaR 기준에서의 프론티어 포트폴리오를 구하고, 수익률 분포의 고차 적률에 대한 투자자의 선호가 반영된 최적 포트폴리오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프론티어 포트폴리오를 구하기 위해 수익률 분포에 대한 가정이 필요하지 않은 그리드와 랭크 방법을 제시하였고 최적 포트폴리오를 선택하기 위해 수익률 분포의 4차 적률까지 고려된 효용함수를 사용하였다. 제시한 방법론을 실제 자료에 적용해 보기위해 모건 스탠리에서 제공하는 선진국 지수, 개발도상국 지수, KOSPI 지수의 주별 수익률 자료를 사용하였다. 평균-VaR 기준과 평균-분산 기준에서의 프론티어 포트폴리오를 구하고 각 기준에서의 최적 포트폴리오를 선택해 서로 비교하였다. 표준편차의 차이뿐만 아니라 효용함수의 수준과 주별 기대수익률로 표현되는 확실성 등가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두 기준 간의 경제적 의미 차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역사적 시뮬레이션의 방법을 사용해 두 기준 간 발생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를 본 연구에서 적용한 자료에서는 평균-VaR 기준의 투자자가 평균-분산 기준의 투자자에 비해 더 큰 표준편차를 지닌 최적 포트폴리오를 선택하고 위험 회피도가 큰 투자자일수록 평균-VaR 기준에서의 효용이 크고 확실성 등가도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두 기준 간 발생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표준편차의 차이와 경제적인 의미 차이가 크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미국주식 매매의 변동성 전략과 Fear & Greed 지수를 기반한 주식 자동매매 연구 (A Study on Automated Stock Trading based on Volatility Strategy and Fear & Greed Index in U.S. Stock Market)

  • 홍성혁
    • 산업과 과학
    • /
    • 제2권3호
    • /
    • pp.22-2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변동성 전략과 Fear and Greed 지수를 통하여 미국 주식의 매매를 자동으로 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식 시장의 변동성은 주가 변동을 유발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투자자는 예상되는 변동성 수준에 따라 주식을 사고 파는 변동성 전략을 구현함으로써 이러한 변동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주식 시장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변동성 전략의 효과를 탐구한다. 본 연구는 주식시장의 2차 데이터를 활용한 정량적 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여, 데이터에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 동안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된 S&P 500 인텍스 주식에 대한 일일 주가 및 일일 변동성 측정치가 포함하였다. 전략은 변동성이 낮은 기간에서 주식을 사고 높은 변동성 기간에서 주식을 매도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결과는 변동성 전략이 샘플 기간 동안의 벤치마크 수익률 7.5%에 비해 연평균 9.2%의 긍정적인 수익률을 창출하였다. 따라서 전략이 샘플 기간의 5년 중 4년에서 벤치마크 수익률을 능가한다는 것을 나타났다. 이 전략은 2020년 COVID-19 대유행과 같이 시장 변동성이 높은 기간 동안 특히 잘 수행되어 벤치마크 수익률 5.5%에 비해 14.6%의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개별 기업에 대한 인터넷 검색량과 주가변동성의 관계: 국내 코스닥시장에서의 산업별 실증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Search Volumes and Stock Price Changes: An Empirical Study on KOSDAQ Market)

  • 전새미;정여진;이동엽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2호
    • /
    • pp.81-96
    • /
    • 2016
  • 최근 인터넷의 보편화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을 통한 정보검색이 일상화 됨에 따라 주식에 관한 정보 역시 검색엔진,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인터넷 커뮤니티 등을 통해 획득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특정 단어에 대한 키워드 검색량은 사용자의 관심도를 반영하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에서 개별 기업에 대한 인터넷 검색량은 투자자의 관심도에 대한 척도로서의 사용가능성을 각광받았다. 특정 주식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증가할 때 일시적으로 주가가 상승하였다가 회복하는 반전현상은 여러 연구를 통해 검증되어 왔지만 그 동안 투자자의 관심도는 주로 주식거래량, 광고 비용 등을 사용해 간접적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에 대한 인터넷 검색량을 투자자의 관심의 척도로 사용하여 투자자의 관심에 근거한 주가변동성의 변화를 전체 시장 측면과 산업별 측면에서 관찰한다. 또한 투자자 관심이 야기한 가격압박에 의한 주가 반전현상의 존재를 코스닥 시장에서 검증하고 산업 간의 반전정도의 차이를 비교한다. 실증분석 결과 비정상적인 인터넷 검색량 증가는 주가변동성의 유의적인 증가를 가져왔고 이러한 현상은 IT S/W, 건설, 유통 산업군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났다. 비정상적인 인터넷 검색량의 증가 이후 2주 간 주가변동성이 증가하였고 3~4주 후에는 오히려 변동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주가 반전현상 역시 IT S/W, 건설, 유통 산업군에서 보다 극단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북태평양 어업의 호리존탈.매니저먼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rizontal Management of the Fisheries in the Northeastern Pacific)

  • 이재후
    • 수산경영론집
    • /
    • 제17권1호
    • /
    • pp.41-76
    • /
    • 1986
  • The northeastern Pacific and eastern Bering Sea supports large and divers finfish and shellfish compelxes. The North Pacific fishing grounds are largest fish production total 30.89 percent of the world in 1983. Recent action by the around countries extending their fisheies jurisdiction to 200 mile has provided a new environment. The new approch to fisheries management has resulted in an arormous expansion in tile demand for scientific information. These are no longer limited to biological concerns. Emphasis has been focused recently on the need to understand the economic, social, politics and philosophy characteristics of a fishing and how they will be affected by management decisions. The horizontal management and portfolio management for fisheries has increased interest in complex biological models and the coupling of these models with economic, politics and phyisophy components. Successful completion of this task will require and expanded understanding of oceanographic, biological, economic, social, politics and philosophic process associated with fisheries.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devoted to acquiring information an data processing for Korean trawl fishery, stock assessment in the areas. The need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management must be stressed. Some northeast Pacific and eastern Bering Sea fish stock migrate over long distances and political boundaries. Further, nearly all the fish stocks are harvested by several nations. The features require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of research activities. The horizontal management will be made a way these activities for the around countries in the sea. Strongly, tile proposed again, Pacific International Council for Exploration of the Seas, PICES will interest between all users of the area's fisheries.

  • PDF

Capital Market Volatility MGARCH Analysis: Evidence from Southeast Asia

  • RUSMITA, Sylva Alif;RANI, Lina Nugraha;SWASTIKA, Putri;ZULAIKHA, Sit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1호
    • /
    • pp.117-126
    • /
    • 2020
  • This paper is aimed to explore the co-movement capital market in Southeast Asia and analysis the correlation of conventional and Islamic Index in the regional and global equity. This research become necessary to represent the risk on the capital market and measure market performance, as investor considers the volatility before investing. The time series daily data use from April 2012 to April 2020 both conventional and Islamic stock index in Malaysia and Indonesia. This paper examines the dynamics of conditional volatilities and correlations between those markets by using Multivariate 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cedasticity (MGARCH). Our result shows that conventional or composite index in Malaysia less volatile than Islamic, but on the other hand, both drive correlation movement. The other output captures that Islamic Index in Indonesian capital market more gradual volatilities than the Composite Index that tends to be low in risk so that investors intend to keep the shares. Generally, the result shows a correlation in each country for conventional and the Islamic index. However, Internationally Indonesia and Malaysia composite and Islamic is low correlated. Regionally Indonesia's indices movement looks to be more correlated and it's similar to Malaysian Capital Market counterparts. In the global market distress condition, the diversification portfolio between Indonesia and Malaysia does not give many benefits.

Estimation and Prediction of Financial Distress: Non-Financial Firms in Bursa Malaysia

  • HIONG, Hii King;JALIL, Muhammad Farhan;SENG, Andrew Tiong Hock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8호
    • /
    • pp.1-12
    • /
    • 2021
  • Altman's Z-score is used to measure a company's financial health and to predict the probability that a company will collapse within 2 years. It is proven to be very accurate to forecast bankruptcy in a wide variety of contexts and market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se Altman's Z-score model to forecast insolvency in non-financial publicly traded enterprises. Non-financial firms are a significant industry in Malaysia, and current trends of consolidation and long-term government subsidies make assessing the financial health of such businesses critical not just for the owners, but also for other stakeholders.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s 84 listed companies in the Kuala Lumpur Stock Exchange. Of the 84 companies, 52 are considered high risk, and 32 are considered low-risk companies. Secondary data for the analysis was gathered from chosen companies' financial repor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ltman model may be used to forecast a company's financial collapse. It dispelled any reservations about the model's legitimacy and the utility of applying it to predict the likelihood of bankruptcy in a company.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t consequences for investors, creditors, and corporate management. Portfolio managers may make better selections by not investing in companies that have proved to be in danger of failing if they understand the variables that contribute to corporate distress.

거래량이 복권특성 종목의 기대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Trading Volume and Overpricing of Lottery-type Stocks)

  • 전용호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3-129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rading volume amplifies the extent to which lottery-type stocks are overpriced, and whether economic sentiment index explains time-variation in the magnitude of the volume amplification effect. Design/methodology/approach - We examine monthly returns on 5x5 monthly bivariate portfolios formed by lottery characteristics (measured by maximum daily return) and trading volume. In addition, we perform time-series regression tests to examine how the volume amplification effect changes in high and low economic sentiment periods, after controlling for Fama-French three factors. Findings - Our bivariate portfolio analysis shows that the overpricing of lottery-type stocks are mostly pronounced among high trading volume stocks. In contrast, for low trading volume stocks, overpricing of lottery-type stocks appears to vanish. Furthermore, the amplification effect of trading volume on overpricing of lottery-type stock is concentrated in high economic sentiment period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examine whether trading volume drives lottery-type stocks' overpricing in the Korean stock market. Furthermore, our analysis unveils the time-varying nature of volume amplification effect. The results suggest that trading volume might play a important hidden role in asset pricing, opening a new line of researches in the future.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 주식유통시장의 위험가격에 관한 연구 (The Price of Risk in the Korean Stock Distribution Market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손경우;유원석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5호
    • /
    • pp.71-82
    • /
    • 201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isk price implied from the pricing kernel of Korean stock distribution market. Recently, it is considered that the quantitative easing programs of major developed countries are contributing to a reduction in global uncertainty caused by the 2007~2009 financial crisis. If true, the risk premium as compensation for global systemic risk or economic uncertainty should show a decrease. We examine whether the risk price in the Korean stock distribution market has declined in recent years, and attempt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vestors to manage their portfolios more efficiently, as well as academic implica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estimate the risk price, we adopt a non-parametric method; the minimum norm pricing kernel method under the LOP (Law of One Price) constraint. For the estimation, we use 17 industry sorted portfolios provided by the KRX (Korea Exchange). Additionally, the monthly returns of the 17 industry sorted portfolios, from July 2000 to June 2014, are utilized as data samples. We set 120 months (10 years) as the estimation window, and estimate the risk prices from July 2010 to June 2014 by month. Moreover, we analyze correlation between any of the two industry portfolios within the 17 industry portfolios to suggest further economic implications of the risk price we estimate. Results -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risk price in the Korean stock distribution market shows a decline over the period of July 2010 to June 2014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During the period of the declining risk price, the average correlation level between any of the two industry portfolios also shows a decrease, wherea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average correlation shows an increase. The results imply that the amount of systematic risk in the Korea stock distribution market has decreased, whereas the amount of industry-specific risk has increased. It is one of the well known empirical results that correlation and uncertainty are positively correlated, therefore, the declining correlation may be the result of decreased global economic uncertainty. Meanwhile, less asset correlation enables investors to build portfolios with less systematic risk, therefore the investors require lower risk premiums for the efficient portfolio, resulting in the declining risk price. Conclusions - Our results may provide evidence of reduction in global systemic risk or economic uncertainty in the Korean stock distribution market. However, to defend the argument, further analysis should be done. For instance, the change of global uncertainty could be measured with funding costs in the global money market; subsequently, the relation between global uncertainty and the price of risk might be directly observable. In addition, as time goes by, observations of the risk price could be extended, enabling us to confirm the relation between the global uncertainty and the effect of quantitative easing. These topics are beyond our scope here, therefore we reserve them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