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imulation time

검색결과 961건 처리시간 0.028초

24채널의 양도락진단기를 이용한 경락의 우세방향에 따른 자기치료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gnetic Cure System Depending on Dominant Direction of Meridian using Yangdorak Diagnosis Machine with 24 Channels)

  • 김병화;이우철;한권상;사공석진;안현식;김도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39권2호
    • /
    • pp.34-4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맥진기로 취득한 맥진 파형을 참고로 하여, 인체에 분포된 12경맥의 좌우 대표측정점의 임피던스를 24채널의 양도락 진단기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퍼지 논리에 따라 각 경락의 허실을 진단한 후, 경락의 유주방향(流注方向)에 순(보)하거나 반(사)하는 자기 자극을 가하여 맥파와 경락의 허실정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연구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진단과 동시에 자기 자극을 가하여 음양과 오행의 균형을 이루게 하는 자기치료 시스템에 관해 연구하였다. 자기 자극에서는 좌우 각 12경맥의 수족 대표측정점의 일정 부위에 방향과 시간을 가변할 수 있는 자기 자극기를 개발하여 이용하였다. 치료방법은 양도락 진단을 통하여 허와 실을 구분하고 난 뒤, 심하게 허한 양의 경락은 하향자극 조정을, 심하게 실한 양의 경락은 상향자극 조정을, 심하게 허한 음의 경락은 상향자극 조정을, 심하게 실한 음의 경락은 하향자극 조정을 할 수 있도록 PC에서 제어하도록 하였다.

Inhibitory Effects of Total Ginseng Saponin on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Perfused Adrenal Medulla of SHRs

  • Jang, Seok-Jeong;Lim, Hyo-Jeong;Lim, Dong-Yo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2호
    • /
    • pp.176-190
    • /
    • 2011
  • There seems to be some controversy about the effect of total ginseng saponin (TGS) on the secretion of catecholamines (CA) from the adrenal glan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GS can affect the CA release in the perfused model of the adrenal medulla isolated from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s). TGS (15-150 ${\mu}g/mL$), perfused into an adrenal vein for 90 min, inhibited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etylcholine (ACh, 5.32 mM) and high $K^+$ (56 mM, a direct membrane depolarizer) in a dose- and time-dependent fashion. TGS (50 ${\mu}g/mL$) also time-dependently inhibited the CA secretion evoked by 1.1-dimethyl-4 -phenyl piperazinium iodide (DMPP; 100 ${\mu}M$, a selective neuronal nicotinic receptor agonist) and McN-A-343 (100 ${\mu}M$, a selective muscarinic M1 receptor agonist). TGS itself did not affect basal CA secretion (data not shown). Also, in the presence of TGS (50 ${\mu}g/mL$), the secretory responses of CA evoked by veratridine (a selective $Na^+$ channel activator (50 ${\mu}M$), Bay-K-8644 (an L-type dihydropyridine $Ca^{2+}$ channel activator, 10 ${\mu}M$), and cyclopiazonic acid (a cytoplasmic $Ca^{2+}$-ATPase inhibitor, 10 ${\mu}M$) were significantly reduced, respectively. Interestingly, in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TGS (50 ${\mu}g/mL$) and N${\omega}$-nitro-L-arginine methyl ester hydrochloride [an inhibitor of nitric oxide (NO) synthase, 30 ${\mu}M$], the inhibitory responses of TGS on the CA secretion evoked by ACh, high $K^+$, DMPP, McN-A-343, Bay-K-8644, cyclopiazonic acid, and veratridine were considerably recovered to the extent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secretion compared with the inhibitory effect of TGS-treatment alone. Practically, the level of NO released from adrenal medulla after the treatment of TGS (150 ${\mu}g/mL$) was greatly elevated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basal released level.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GS inhibits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both muscarinic and nicotinic) receptors as well as by direct membrane-depolarization from the isolated perfused adrenal medulla of the SHRs. It seems that this inhibitory effect of TGS is mediated by inhibiting both the influx of $Ca^{2+}$ and Na+ into the adrenomedullary chromaffin cells and also by suppressing the release of $Ca^{2+}$ from the cytoplasmic calcium store, at least partly through the increased NO production due to the activa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which is relevant to neuronal nicotinic receptor blockade, without the enhancement effect on the CA release. Based on these effects, it is also thought that there are some species differences in the adrenomedullary CA secretion between the rabbit and SHR.

다중공 평판형 셀기기에서 하이드레이트 생산실험 분석연구 (An Experimental Analysis of Hydrate Production using Multi-Well, Plate-Type Cell Apparatus)

  • 배재유;성원모;권순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3호
    • /
    • pp.304-30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감압법 및 열자극법에 의한 메탄하이드레이트 생산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고압의 다중공 평판형 셀기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이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고투과성 미고결 시료 공극시스템에서 감압법과 열자극법에 의한 생산실험을 수행하여 생산메카니즘을 분석하였다. 감압법에 의한 생산실험 결과, 일반 가스전과는 달리 하이드레이트 해리에 의한 공극내에서의 소스효과로 인해 일시적으로 압력이 상승하고 또한 흡열반응으로 인해 온도가 하강함을 확인 하였으며, 열자극 생산실험을 수행한 결과에서는 감압법의 경우 열자극법에 비해 해리속도가 느리게 진행되어 가스생산이 낮은 상태로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열자극법 중 열을 가한 후 곧바로 생산하는 경우, 주입지점 주변에서만 해리되고 또한 그 지역에서만 투과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산초반 이후 해리속도는 soaking까지 시행한 경우에 비해 해리가 느리게 진행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의 낮은 하이드레이트 포화도를 갖는 미고 결시료 공극시스템에서 열자극법의 적정 soaking 시간 규명실험을 통해 압력과 생산거동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6분간 soaking 한 경우, 온도 하강에 의한 하이드레이트의 재형성으로 2분 및 4분간 soaking한 경우보다 낮은 회수율을 보였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향후 높은 하이드레이트 포화도를 갖는 고결 시료 공극시스템에서의 실험을 통해 더욱 확연히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심근 성형술 1례 보고 (First Successful Dynamic Cardiomyoplasty in Korea)

  • 박국양;박철현;현성열;김주이;권진형;최인석;이현재;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4호
    • /
    • pp.393-397
    • /
    • 1998
  • 25세된 말기 심부전 환자에게 한국에서는 최초로 광배근을 이용한 심근 성형술이 성공적으로 실시되었다. 환자는 약 심근수축력이 30%인 상태로 94년과 96년에 한차례씩 심부전으로 입원한 적이 있으며 수술직전 임상상태는 NYHA functional class III 였다. 간조직 검사상 만성 활동성 간염으로 판명되었으며 환자는 간염 항원이 양성으로 심장이식대상에서 제외되었다. 1996년 7월 30일 좌측 광배근을 이용하여 심근 성형술을 실시하였다. 측와위로 광배근을 박리한후 자극전극을 설치하였으며 흉골 정중 절개로 심장을 노출한 후 광배근으로 심장을 감싸주고 심근 전극을 설치한 후 좌상부 복부에 심장근육자극기를 설치하였다. 총 수술시간은 약 7시간 30분이 소요되었으며 환자는 수술후 일시적인 심방 조동(atrial flutter)을 보여 심도자실에서 동율동으로 환원시킨 것외에는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다. 환자는 수술후 6주째 자극기의 빈도가 1:4인 상태에서 퇴원하였으며 통원치료중 1:1로 근육훈련을 마친 후 현재는 수술후 6개월째 자극빈도가 1:4인 상태에서 외래 추적중이다. 심초음파상 수축력의 차이는 없으나 환자의 임상 활동은 수술전보다 양호해진 상태이다.

  • PDF

위암 수술 후 장마비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의 효과 :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The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or Treating Postoperative Ileus in Gastric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배혜리;김은지;서현식;이남헌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25-642
    • /
    • 2022
  • 목적: 본 연구는 위암 수술 후 장마비의 한의학적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방법: 2007년 1월 1일부터 2022년 5월 11일까지 출판된 연구들을 6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술 후 한의학적 치료를 받은 위암 환자를 장마비 관련 지표들을 통해 관찰한 연구들을 선정하였다. 결과: 한약, 침, 뜸, 전기혈위자극, 이혈요법, 족삼리혈의 약물 주입을 수술 후 장마비 치료법으로 사용한 27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한약, 한약과 침 병용요법, 침, 뜸, 전기혈위자극, 이혈요법, 족삼리혈의 네오스티그민 주입 치료군에서 수술 후 첫 가스 배출까지의 시간이 감소하였고 (p<0.00001), 수술 후 첫 배변까지의 시간이 한약. 한약과 침 병용요법, 침, 뜸, 전기혈위자극, 이혈요법, 족삼리혈의 네오스티그민 주입 치료군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p<0.00001). 심각한 이상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한의학적 치료는 위절제술 후 위암 환자에게 수술 후 장마비의 예방과 치료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수술 후 장마비 치료의 임상적 효과를 명확히 하기 위해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nti-fatigue effect of tormentic acid through alleviating oxidative stress and energy metabolism-modulating property in C2C12 cells and animal models

  • Ho-Geun Kang;Jin-Ho Lim;Hee-Yun Kim;Hyunyong Kim;Hyung-Min Kim;Hyun-Ja Je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4호
    • /
    • pp.670-681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Oxidative stress is caus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and free radicals that accelerate inflammatory responses and exacerbate fatigue. Tormentic acid (TA) ha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Thus, the aim of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fatigue-regulatory effects of TA in H2O2-stimulated myoblast cell line, C2C12 cells and treadmill stress test (TST) and forced swimming test (FST) animal models. MATERIALS/METHODS: In the in vitro study, C2C12 cells were pretreated with TA before stimulation with H2O2. Then, malondialdehyde (MDA), lactate dehydrogenase (LDH), creatine kinase (CK) activity,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6,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ycogen, and cell viability were analyzed. In the in vivo study, the ICR male mice were administered TA or distilled water orally daily for 28 days. FST and TST were then performed on the last day. In addition, biochemical analysis of the serum, muscle, and liver was performed. RESULTS: TA dose-dependently alleviated the levels of MDA, LDH, CK activity, TNF-α, and IL-6 in H2O2-stimulated C2C12 cells without affecting the cytotoxicity. TA increased the SOD and CAT activities and the glycogen levels in H2O2-stimulated C2C12 cells. In TST and FST animal models, TA decreased the FST immobility time significantly while increasing the TST exhaustion time without weight fluctuations. The in vivo studies showed that the levels of SOD, CAT, citrate synthase, glycogen, and free fatty acid were increased by TA administration, whereas TA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glucose, MDA, LDH, lactate, CK, inflammatory cytokines, alanine transaminase, aspartate transaminase, blood urea nitrogen, and cortiso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A improves fatigue by modulating oxidative stress and energy metabolism in C2C12 cells and animal models. Therefore, we suggest that TA can be a powerful substance in healthy functional foods and therapeutics to improve fatigue.

경수 신경근병증 진단에서의 H-reflex의 유용성 (Utility of H-reflex in the Diagnosis of Cervical Radiculopathy)

  • 이준;박건주;도현철;박승권;정윤석;하정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11-122
    • /
    • 1997
  • 정상 성인에서 상지로 부터 H-반사가 유발될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또 상지에서의 H-반사 검사가 경수 신경근병증의 진단에 유용한지를 알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정상 성인 31명을 대상으로 좌우 62개의 요측수근굴근, 요측수근신근, 상완요골근, 소지외전근의 H-반사를 검사하여 잠복기와 interlatency time을 구하였고 경수 신경근병변을 가진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H-반사를 검사하였다. 정상군에서 요측수근신근의 H-반사의 잠복기의 평균은 $15.99{\pm}1.25$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68{\pm}0.71$ msec이었으며 interlatency time은 평균치가 $13.93{\pm}1.32$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73{\pm}0.62$ msec 이었다 요측수근굴근의 H-반사의 잠복기의 평균은 $16.16{\pm}1.65$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47{\pm}0.48$ msec이었고 interlatency time의 평균치는 $13.91{\pm}0.99$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49{\pm}0.47$ msec 이었다. 상완요골근의 경우는 H-반사의 잠복기의 평균치가 $16.47{\pm}1.59$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가 $0.63{\pm}0.43$ msec 이었고 interlatency time의 평균치는 $14.68{\pm}1.61$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79{\pm}0.71$ msec 이었다. 소지외전근에서의 H-반사의 잠복기의 평균치는 $24.46{\pm}1.42$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59{\pm}0.42$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59{\pm}0.42$ msec이고 interlatency time의 평균치는 $22.31{\pm}1.24$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19{\pm}0.44$ msec를 보였다. 정상군에서는 팔 길이와 키가 커짐에 따라서 H-반사의 잠복기가 길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경수 신경근병변을 가진 12명중 11명에서 H-반사 검사상 이상 소견을 보였으며 제 6,7 경수 신경근 병변을 보인 5명중 4명에서 요측수근굴근의 H-반사의 이상 소견을 보였고, 제 7 경수 신경근병변을 보인 4명 모두에서 요측수근굴근과 요측수근신근에서의 이상 소견을 보였다. 제 5 신경근병변을 보인 환자 1명에서 상완요골근에서의 이상 소견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상 성인에서 상지로부터 H-반사가 측정할 수 있으며, H-반사의 잠복기는 팔 길이와 키에 연관이 있음을 알았다. 또 경수 신경병증의 진단에 H 반사가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 PDF

내독소에 의한 말초혈액 단핵구의 IL-8 및 IL-$1{\beta}$ 유전자 발현에서 산소기 역할에 관한 연구 (Role of Oxygen Free Radical in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8 and Interleukin-$1{\beta}$ Gene in Mononuclear Phagocytic Cells)

  • 강민종;김재열;박재석;이승준;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6호
    • /
    • pp.862-870
    • /
    • 1995
  • 연구배경: 산소기의 작용은 과거에는 세포독성이 주로 알려져 있었던 반면, 최근 들어 산소기의 세포내 신호전달체계에서의 역할에 많은 사람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여러 cytokine의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로 작용하는 $NF{\kappa}B$는 기저상태에서는 세포질에 존재하는데 $I{\kappa}B$와 결합되어 핵내로의 이동이 억제되고 있다. 여러 연구에 의해 $NF{\kappa}B$$I{\kappa}B$로부터의 분리는 외부자극에 의해 생성된 산소기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렇게 하여 분리된 $NF{\kappa}B$가 핵내로 이동하면 핵내에서 전사인자로 작용하여 여러 유전자의 전사를 증가시키는 것이 보고되었다. IL-8 유전자는 5'flanking promotor region에 $NF{\kappa}B$-like motif가 있어 핵내 $NF{\kappa}B$ activity의 증가로 IL-8 유전자의 전사가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졌고, 또한 내독소는 핵내의 $NF{\kappa}B$ activity의 증가와 함께 호중구에서의 산소기의 분비를 가져온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내독소에 의한 IL-8 유전자의 발현은 세포내에서 생성된 산소기에 의해 $NF{\kappa}B$$I{\kappa}B$로부터 분리되어 핵내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IL-8 유전자의 전사가 증가되는 가설을 생각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가설 검정의 첫번째 단계로써 체내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말초혈액 단핵구의 IL-8 및 IL-$1{\beta}$ 유전자 발현에 세포내의 산소기가 관여하는지의 여부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Ficoll-Hypaque density gradient 법과 plastic 부착법을 이용하여 말초혈액 단핵구를 분리하였다. 외부에서 투여한 산소기의 농도에 따른 IL-8 및 IL-$1{\beta}$ mRNA 발현의 유무를 관찰하기 위하여 $H_2O_2$를 0, 10, 100, $300{\mu}M/L$, 1mM/L의 농도로 투여하고 6시간이 경과한후 IL-8 및 IL-$1{\beta}$에 대한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시간에 따른 IL-8 및 IL-$1{\beta}$ mRNA 변화를 관찰하고자 $H_2O_2$$100{\mu}M/L$의 농도로 투여하고 0, 2, 4, 6, 8, 24시간이 경과한 후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항산화제가 내독소에 의한 IL-8과 IL-$1{\beta}$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TMTU(10 mM/L) 1시간; PDTC($100{\mu}M/L$) 1시간, NAC(10 mM/L) 2.5시간, ME(10mM/(L) 2.5시간, Desferrioxamine(100mM/L) 15시간 동안 전처치 한 디음 내독소를 투여허여 4시간이 경과한 후 IL-8 및 IL-$1{\beta}$ mRNA에 대한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H_2O_2$농도 및 시간에 따른 말초혈액 단핵구에서의 IL-8 및 IL-$1{\beta}$ mRNA의 발현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항산화제로 전처치하였을 때 내독소에 의한 말초혈액 단핵구에서의 IL-8 및 IL-$1{\beta}$ mRNA의 발현이 억제되었고 그 억제정도는 TMTU에서 가장 현저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말초혈액 단핵구에서의 IL-8 및 IL-$1{\beta}$ mRNA 발현에 $H_2O_2$가 아닌 다른 산소기가 일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lpha}$-아드레나린 수용체의 매개에 의한 병아리 수면에 대한 약리학적 고찰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the Mechanism of ${\alpha}-Adrenoceptor-Mediating$ Sleep in Chickens)

  • 정성훈;손의동;송철수;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21
    • /
    • 1984
  • Clonidine으로 고혈압을 치료시 부작용으로 진정작용이 심하게 나타나며 이는 Clonidine이 중추 ${\alpha}_2$-수용체를 흥분시켜서 일으킨 결과임이 보고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부화 $1{\sim}2$일이 된 병아리에 ${\alpha}_2$-수용체 효현제들을 주사하여 정좌반사가 소실될 때까지의 시간 및 수련시간을 관찰하였으며, 그리고 guanabenz 유도 수면에 대한 ${\alpha}_1$- 및 ${\alpha}_2$-수용체 길항제 및 opiate수용체 길항제가 어떻게 관여하는 지를 검토하고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alpha}_2$-수용체 효현제중 guanabenz, clonidine, guanfacine 및 B-HT 933은 용량에 의존해서 정좌반사소실까지의 잠복시간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B-HT 920 및 oxymetazoline은 잠복시간을 경미하게 연장시켰다. 2) ${\alpha}_2$-수용체 효현제들은 용량에 비례해서 수면시간을 증가시켰고 이들의 강도는 guanabenz>clonidine>oxymetazoline${\geq}$B-HT 933${\geq}$B-HT 920> guanfacine의 순위이었다. 3) ${\alpha}_2$-수용체 길항제들은 양에 비례해서 guanabenz 유도 수면시간을 감소시켰으며 이들의 강도는 yohimbine>rauwolscine>piperoxan${\geq}$RX 781094의 순위 이었다. 4) Ethanol 및 hexobarbital유도 수면은 yohimbine에 의해 봉쇄되지 아니하였다. 5) Guanabenz유도 수면시간에 대해서 ${\alpha}_1$-수용체 효현제인 methoxamine 및 Phenylephrine은 영향이 없었으나, ${\alpha}_1$-수용체 결항제인 Prazosin은 증가시켰다. 그러나 corynanthine은 반대로 수면시간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중추 ${\alpha}_2$-수용체의 흥분으로 병아리의 수면이 야기되고, 중추 ${\alpha}_1$-수용체의 역할에 대하여는 명백하지 않으나 ${\alpha}_2$-수용체 효현제 및 길항제의 성질을 규명하는 동물모델로서 부화 I${\sim}$2일의 병아리가 크게 유용할 것으로 시사되는 바이다.

  • PDF

저산소증이 흰쥐 관류부신에서 DMPP, McN-A-343, Excess $K^+$ 및 Ach의 카테콜아민 분비작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ypoxia on Catecholamine Secretion Evoked by DMPP, McN-A-343, Excess $K^+$ and ACh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

  • 임동윤;허재봉;박유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3-74
    • /
    • 1995
  • 저산소 상태에서는 부신수질로부터 카테콜아민 (CA) 유리작용이 활성화되지만 반면에 소의 배양 chromaffin cell에서는 고통도의 $K^+$에 의한 CA 분비작용이 억제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적출 흰쥐 관류부신에서 콜린성 자극과 막탈분극에 의한 CA 분비작용에 대한 저산소증의 영향을 검색하고 그 작용기전을 규명코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하여, 적출 흰쥐 관류부신을 이용, 저산소증이 니코틴($N_1$), 무스카린($M_1$) 수용체 흥분약, 막탈분극 약물, 칼슘채널 활성화 약물, 세포내 칼슘유리 약물 및 ACh에 의한 CA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저산소증은 95% 질소 및 5% 이산화탄소 혼합가스를 Krebs액에 주입하여 유발시켰으며, $3{\sim}4$시간동안 유지하였다. 저산소증 유발시, DMPP ($100{\mu}M$), McN-A-343 ($100{\mu}M$), ACh (5.32 mM), Bay-K-8644 ($10{\mu}M$) 및 high $K^+$ (56 mM)에 의한 CA 분비작용을 시간의존적으로 점차 유의성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yclopiazonic acid ($10{\mu}M$)에 의한 CA 분비반응에는 하등의 영향을 일으키지 못하였다. 또한 저산소증 자체가 CA의 기초분비 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같은 실험결과로 보아, 저산소증시 콜린성 자극 및 막탈분극에 의한 CA 분비 작용이 억제되며, 이러한 억제작용은 chromaffin cell내로 $Ca^{++}$ 유입을 직접적으로 억제시키는 결과에 기인되며, 세포내 칼슘저장고로부터 칼슘유리작용과는 관계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