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icky trap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6초

온실재배 토마토에 발생하는 가루이류에 대한 황색점착트랩 방제효과 (Effect of Yellow Sticky Trap for Controlling Whitefly on Tomato Cultivated in Greenhouse)

  • 박종호;홍성준;한은정;심창기;이민호;김민정;김용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43-654
    • /
    • 2012
  • 본 실험은 점착트랩을 이용하여 토마토에 나타나는 가루이류에 대한 방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는 두 종 모두 성충 대부분이 백색과 청색보다 황색 트랩에 포획되었다. 토마토 주위에 높이별로 점착트랩을 설치하였을 때 담배가 루이가 포획된 마릿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온실가루이는 상단에 설치한 트랩에 더 많이 포획되었다. 온실가루이는 기주가 어릴 때 트랩에 더 유인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에 대한 황색점착트랩의 유인력은 천적인 담배가루이좀벌과 온실가루이좀벌에 대한 트랩의 유인력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토마토유묘가 있는 스크린케이지 안에 황색점착트랩을 설치한 결과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 밀도가 80% 이상 감소하였다. 방제용 점착트랩을 설치한 토마토재배 온실의 가루이밀도가 무처리온실에 비해 3분의 1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가지에서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효과 (Control Effects of Bemisia tabaci on Eggplant using Sticky Trap)

  • 김주;최인영;이장호;김주희;임주락;정성수;김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59-772
    • /
    • 2017
  • 본 연구는 가지에서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을 찾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끈끈이트랩의 색상별 담배가루이 유인 효과는 황색트랩에서 유인 효과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연두색, 주황 순이었다. 그러나 백색, 청색, 적색, 흑색과 녹색의 끈끈이트랩에서는 담배가루이 유인 효과가 떨어졌다. 끈끈이트랩 효율성 증진을 위해 글리세린에 첨가한 당 종류별 담배가루이 유인 효과는 포도당과 과당을 첨가한 끈끈이트랩에서 유인 효과가 높았으며, 다음은 올리고당이었다. 그러나 물엿, 설탕, 무처리에서는 담배가루이 유인 효과가 낮았다. 끈끈이트랩의 설치 위치에 따른 담배가루이 유인 효과는 가지 정단부에 설치하는 방법이 담배가루이가 유인되는 채집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지제부 30 cm 위에서 다음으로 많았다. 또한,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가지 담배가루이 방제 시 최적 설치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끈끈이트랩을 1~40개까지 설치하고 담배가루이 발생밀도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끈끈이트랩 설치 개수에 따른 담배가루이 유인효과는 끈끈이트랩 설치 수가 증가할수록 가지 잎의 담배가루이 성충 및 약충 발생밀도는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끈끈이트랩 설치 개수에 따른 가지 생육상황은 끈끈이트랩 설치 수가 증가할수록 가지 초장, 엽장, 절수 등의 생육이 양호한 경향이었다. 가지 수확 시기별로는 생육 초기에 수량 및 과 특성은 끈끈이트랩 수가 증가할수록 과수, 상품률 등이 증가한 경향이었으나 생육 후기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따라서 끈끈이트랩은 생육 초기 담배가루이 발생밀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블루베리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특성 및 황색끈끈이트랩의 산란 억제효과 (Characteristic of Oviposition and Effect of Density Suppression by Yellow-colored Sticky Trap on Ricania shantungensis (Hemiptera: Ricaniidae) in Blueberry)

  • 김동환;김형환;양창열;강택준;윤정범;서미혜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1-285
    • /
    • 2016
  • 블루베리에서의 갈색날개매미충 산란특성과 산란량 감소를 위한 황색끈끈이 트랩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관상부, 중부, 하부에서의 갈색날개매미충 난괴 발생율은 각각 56.6~60.2%, 23.8~28.1%, 11.7~19.7%로 반 이상이 상부에 집중 분포하였다. 난괴가 한 개만 발생한 가지비율이 50.9%로 가장 높았으며 난괴수가 2개인 가지비율은 20.5%로 다음으로 높았고, 3개와 4개 이상인 가지비율은 각각 14.6%, 14.0%였다. 황색끈끈이트랩을 1개월간 설치한 결과 갈색날개매미충 유살량은 트랩 당 평균 17.1마리였고, 주당 난괴수는 트랩처리구와 무처리구 각각 0.4, 1.3으로 황색끈끈이트랩을 설치 할 경우 무처리구에 비해 산란량이 1/3로 감소하였다. 즉 황색끈끈이트랩 설치로 갈색날개매미충 산란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거베라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일주활동과 황색 끈끈이트랩 높이별 부착수 비교 (Diel Flight Activity of Liriomyza trifolii(Burgess) and Heights of Yello Sticky Traps in Gerbera)

  • 송정흡;강상훈;이미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53-156
    • /
    • 2000
  • 잎굴파리를 예찰할 때 이용하는 황색 끈끈이 트랩의 최적 설치 높이를 밝히기 위하여 트랩을 3단계의 높이로 설치하여 4회에 걸쳐 높이별 부착수를 조사하였다. 거베라에서 트랩의 설치 높이는 작물과 같은 높이로 설치했을 때가 그 위 30cm, 60cm에 설치했을 때보다 잎굴파리의 유인량이 많았다. 시간대별 잎굴파리의 행동향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황색 끈끈이 트랩을 작물높이에 설치한 후 1시간과 2시간 간격으로 일주활동을 조사하였다. 5월 조사에서 08~10시와 14~18시에 두 번의 피크가 나타났으며 7월 조사에서는 08시까지 잡힌 잎굴파리가 가장 많았고, 10월 조사에서는 12~14시에 가장 많이 잡혔다 잎굴파리의 배행활동에는 온도뿐만 아니라 일사강도 등 다른 환경요인도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황색 끈끈이트랩에는 암컷보다 수컷이 트랩의 높이나 시간에 관계없이 더 잘 유인되었다.

  • PDF

트랩 종류와 수간내 위치가 광릉긴나무좀, Platypus koryoensis(딱정벌레목: 긴나무좀과) 포획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rap Type and Location on Tree Trunk on Platypus koryoensis (Coleoptera: Platypodidae) Trapping)

  • 김준헌;이정수;박일권;최원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45-149
    • /
    • 2010
  • 참나무시들음병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 (Platypus koryoensis (Murayama)) (Coleoptera: Platypodidae) 모니터링에 활용 가능한 트랩 종류, 색, 설치위치가 포획수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조사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에서 수행되었으며 끈끈이 평판 트랩과 다중깔때기 트랩 두 종류 트랩이 이용되었다. 조사된 두 트랩의 종류는 광릉긴나무좀 포획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끈끈이 평판 트랩의 경우 노란색, 검정색, 흰색, 투명색으로 시험한 결과 트랩색이 광릉긴나무좀 포획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끈끈이 평판 트랩과 다중깔때기 트랩 모두 수간내 경사 위쪽과 아래쪽에 설치된 경우, 산의 경사 위쪽에 설치한 트랩에 유의하게 많은 수의 광릉긴나무좀이 포획되었다. 이는 두 가지 트랩이 모두 광릉긴나무좀 모니터링 및 방제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버섯파리류 예찰을 위한 끈끈이트랩의 최적 설치위치 (Optimal height of installing sticky traps for monitoring fungus gnats)

  • 윤정범;김형환;김동환;양창열;서미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7-60
    • /
    • 2018
  • 버섯과 배지에 피해를 주는 긴수염버섯파리와 원예작물의 뿌리를 가해하는 작은뿌리파리 같은 버섯파리류의 성충 발생예찰에 끈끈이트랩이 사용되고 있으며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예찰은 살충제 및 친환경 방제 수단의 투입을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측도이기도 하다. 다양한 색상의 끈끈이트랩은 간편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버섯파리류의 성충을 비롯한 비행 능력이 있는 대부분의 해충 예찰에 이용된다. 버섯파리류 성충 예찰에는 황색 끈끈이트랩이 가장 효과적이며, 예찰뿐만 아니라 대량유살을 통한 방제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버섯재배사와 원예작물 재배지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버섯파리류 성충의 효과적인 예찰 및 방제를 위한 끈끈이트랩의 최적 설치위치를 검토한 결과,양송이와 느타리버섯은 2단 베드에, 톱밥표고버섯은 베드 위 100 cm에, 수경재배 딸기는 베드 하단에, 수경재배 토마토는 베드 위 20 cm에 설치하였던 끈끈이트랩에서 버섯파리류 유인수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버섯파리류 성충의 효율적인 예찰 및 방제를 위해서 작물의 재배형태나 환경에 따라 끈끈이트랩의 설치 위치를 달리하여야 되는 것을 시사했다.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솔껍질깍지벌레(Homoptera: Margarodidae) 예찰 (Monitoring of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Margarodidae) Using Yellow Sticky Trap)

  • 이창준;김동수;정영학;이상명;이석준;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43-149
    • /
    • 2018
  • 솔껍질깍지벌레(Matsucoccus thunbergianae)는 우리나라 곰솔(Pinus thunbergiane)림의 주요 해충중의 하나이다. 솔껍질깍지벌레는 단목(丹木)마다 밀도에 차이가 있고, 수관 내 가지별로도 밀도차이가 있어 예찰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솔껍질깍지벌레의 분포나 발생을 예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곰솔림에서 끈끈이 트랩에 유인된 솔껍질깍지벌레 수컷 성충의 밀도와 가지 내 약충의 밀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끈끈이트랩에 유인된 솔껍질깍지벌레 수컷성충의 밀도는 곰솔의 상층부가 하층부보다 높았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곰솔 가지의 단위면적당 솔껍질깍지벌레 밀도는 흉고직경이 클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1~2.5 cm 사이의 굵기내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곰솔 가지의 방향이 지면을 향하는 쪽이 반대 방향을 향하는 쪽에 비하여 솔껍질깍지벌레의 밀도가 높았다. 솔껍질깍지벌레의 예찰에 끈끈이 트랩의 사용을 제안하며, 가지에서의 밀도는 2~2.5 cm 굵기의 가지를 선택하여 지면쪽의 밀도 조사를 추천한다.

제주지역 무에서 벼룩잎벌레와 무잎벌의 색트랩과 집합페로몬에 대한 반응과 연중 발생특성 (Responses of Phyllotreta striolata and Athalia rosae ruficornis to Colored-sticky Traps and Aggregation Pheromone and Seasonal Fluctuations in Radish Fields on Jeju Island)

  • 송정흡;양영택;양철준;최병렬;좌창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89-294
    • /
    • 2015
  • 벼룩잎벌레(Phyllotreta striolata)와 무잎벌(Athalia rosae ruficornis)는 제주지역 무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본 연구는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의 트랩 색(황색과 청색)과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6R,7S)-himachala-9,11-diene과 기주식물 휘발성 물질인 allyl isothiocyanate의 혼합물을 이용 두 해충의 발생을 간편하게 예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벼룩잎벌레는 트랩 색에 관계없이 집합페로몬이 부착된 점착트랩에 더 많은 성충이 유인되었으며, 무잎벌은 황색점착트랩이 청색트랩보다 더 많이 유인되었고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은 유인량에 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을 부착한 황색점착트랩을 이용하면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 발생을 효율적으로 예찰할 수 있었다. 점착트랩의 높이는 기주식물에 가까울수록 두 해충의 유인수가 많아 기주식물 상단 10 cm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벼룩잎벌레와 무잎벌의 연간 발생피크는 각각 3회와 5회정도 나타났으며, 두 해충의 첫 주발생시기는 벼룩잎벌레는 3월중하순, 무잎벌은 4월 중하순이었다.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의 연간 발생특성을 이용하면 두 해충의 무에서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설 고추재배지에서 꽃노랑총채벌레 집합페로몬과 식물 휘발성 유인제 효능의 한계성 (Limitation in Attraction Efficacy of Aggregation Pheromone or Plant Volatile Lures to Attract the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Infesting the Hot Pepper, Capsicum annuum, in Greenhouses)

  • 김철영;권기면;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69-377
    • /
    • 2021
  •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방제 전략 가운데 하나로 대량유살 기술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 해충에 적용되는 상용유인제의 효능을 시설 고추재배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총채벌레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점착트랩의 경우 청색과 황색 색상에 따른 유인력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트랩의 위치는 큰 변수로서 기주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포획 밀도가 높았다. 또한 상하 위치도 중요한 변수로서 기주 작물 수관 부위에서 가장 높은 포획 밀도를 보였다. 이를 기준으로 황색 점착 트랩을 설치한 경우 전체 총채벌레 밀도의 약 1%를 유살하였다. 이러한 낮은 유살 능력을 높이기 위해 상용유인제를 황색트랩에 추가하였다. 집합페로몬 또는 식물 휘발성 유인제(4-methoxybenzaldehyde) 성분의 두 가지 상용유인제 추가 처리는 황색트랩 단독 처리에 비해 크게 유인력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Y-튜브 실내 행동분석은 집합페로몬과 식물 휘발성 유인제(methyl isonicotinate)들이 각각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서 높은 유인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이들 유인물질 은 기주 고추 꽃보다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유인력을 나타냈다. 이는 꽃이 없는 시설 대파(Allium fistulosum) 재배지에서는 상용유인제 추가 처리가 황색트랩 단독 처리보다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하여 높은 유인력을 가지는 것을 미뤄 이 곤충의 꽃에 대한 높은 선호성을 뒷받침하였다. 본 연구는 꽃노랑총채벌레에 사용되는 상용유인제들의 한계성을 지적하며 추후 고추 꽃을 중심으로 새로운 유인물질의 탐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