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wartia koreana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7초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차나무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Theacease))

  • 권혜진;송호경;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3-250
    • /
    • 2008
  • 한국 특산종인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의 분류학적 위치를 재검토하기 위해, 노각나무와 근연 분류군의 외부형태와 ITS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노각나무는 일본에 분포하는 S. pseudocamellia와 외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였으나, 노각나무는 잎이 대형이고 소화경의 길이가 2.5 cm 이상인 점에서 S. pseudocamellia와 구별되었다. ITS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노각나무는 S. pseudocamellia와 별개의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외부형태 및 ITS 염기서열 결과는 노각나무가 S. pseudocamellia와 다른 별개의 한국 특산종임을 지지해 주었다.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군락의 식생구조와 생태특성 (Vegetation Structures and Ecological Properties of Sterwartia koreana Community)

  • 권혜진;송호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296-304
    • /
    • 2008
  • 우리나라 노각나무 자생지 가운데 8개 지역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방형구법을 사용하여 구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각나무군락은 고로쇠나무하위군락, 소나무하위군락, 사람주나무하위군락, 노각나무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노각나무는 주로 계곡 주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였으며, 토양특성은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치환성 K, 치환성 Ca, 치환성 Mg, 양이온치환용량(CEC)의 함량이 14.31~34.27%, 0.33~0.77%, 7.83~22.88(mg/kg), 0.23~1.07(me/100g), 0.29~2.93(me/100g), 0.33~1.49(me/100g), 10.47~22.48(me/100g)이며, pH는 4.65~4.96으로 약산성토양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로쇠나무하위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높고, 전질소, 치환성 Ca, Mg의 함량이 높은 입지에 분포하였으며, 소나무하위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낮고, 전질소, 치환성 Ca, Mg의 함량이 가장 낮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각나무의 분포(分布)와 생태(生態)(I) 희방사(熹坊寺)와 속리산(俗離山)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f Distribution and Communities Stewartia koreana (I) - Temple Huibang and Mt. Sogri -)

  • 김지문;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1-17
    • /
    • 1981
  • 본(本) 조사(調査)는 1978년(年) 9월(月)과 1980년(年) 10월(月)에 노각나무 자생지중(自生地中) 희방사(熹坊寺)와 속리산(俗離山)의 식생(植生)을 조사(調査)한 것으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희방사(熹坊寺) 지역(地域)의 임상식물중(林床植物中) 상대(相對) 우점치(優占値)가 높은 종은 실새풀, 조릿대, 비목나무, 생강나무등이다. 2. 속리산(俗離山) 지역(地域)의 임상식물중(林床植物中) 상대(相對) 우점치(優占値)가 높은 종은 조릿대, 좁은단풍등이다. 3. 노각나무 자생지(自生地)의 임상식물중(林床植物中) 상대우점치(相對優占値)가 높은 종은 조릿대, 좁은단풍나무, 실새풀등이다. 4. 희방사(熹坊寺) 지역(地域)의 관목시하(灌木尸下) 임상식물(林床植物)은 조릿대, 실새풀이 73%를, 속리산(俗離山) 지역(地域)은 조릿대가 93%를 차지하고 있어 노각나무의 천연경신(天然更新)에 중요(重要)한 종(種)이다. 5. 희방사(熹坊寺) 지역(地域)에서 조릿대는 표고(標高) 700m 까지, 실새풀은 표고(標高) 800m 에서 우점종(優占種)을 이루었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hyperoside and isoquercitrin in methanolic extract of Stewartia koreana leaves using HPLC-DAD

  • Ju-Yeong Kang;Yu Hwa Kim;Youngdae Yoon;Bong-Gyu Kim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36-446
    • /
    • 2023
  • Since Stewartia koreana leaves are registered with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s edible herbal materials, they are used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cosmetics, and medicines.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n analysis method that can simultaneously analyze two indicators, hyperoside (quercetin 3-O-galactoside) and isoquercitrin (quercetin 3-O-glucoside) contained in the leaves of S. koreana using HPLC-DAD. In accordance with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s health functional food guidelines, the analysis method was verified for specificity, accuracy, precision, limit of quantification, and linearity. The analysis method established in this study showed more than 0.9989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r2) for the calibration. The total recovery rates of isoquercitrin and hyperoside were 100.55 and 98.87% with 0.14-0.78 and 0.47-0.67% of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new analytical method would be applied to standardize raw materials and high value-added products originated from the leaves of the S. koreana in the future.

Antioxidant Flavonoids from the Twigs of Stewartia koreana

  • Lee, Sa-Im;Yang, Jae-Heon;Kim, Dae-Keu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8권2호
    • /
    • pp.191-196
    • /
    • 2010
  • In the course of screening for antioxidant compounds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1,1-diphenyl- 2-picrylhydrazyl (DPPH), a total extract of the twigs of Stewartia koreana (Theaceae) was found to show potent antioxidant activity. Subsequent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led to the isolation of six phenolic compounds, ampelopsin (1), catechin (2), proanthocyanidin-A2 (3), fraxin (4), (2R, 3R)-taxifolin-3-${\beta}$-D-glucopyranoside (5), and (2S, 3S)-taxifolin-3-${\beta}$-D-glucopyranoside (6), as active principles.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by spectroscopic studies. Compounds 1-6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Among them, three compounds 1-3 showed the significant antioxidative effects on DPPH, and riboflavin originated superoxide quenching activity. In riboflavin-nitrobluetetrazolium (NBT)-light system, compound 1 showed better superoxide quenching activity than vitamin C.

Methanol Extracts of Stewartia koreana Inhibit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Gene Expression by Blocking NF-κB Transactivation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 Lee, Tae Hoon;Kwak, Han Bok;Kim, Hong-Hee;Lee, Zang Hee;Chung, Dae Kyun;Baek, Nam-In;Kim, Jiyo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3권3호
    • /
    • pp.398-404
    • /
    • 2007
  •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re involved in various pathophysiological processes such as inflammation and carcinogenesis. In a search for inhibitors of COX-2 and iNOS production we found that extracts of Stewartia koreana strongly inhibited NO and $PGE_2$ production in LPS-treated macrophage RAW 264.7 cells. We have now shown that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iNOS and COX-2 are reduced by the Stewartia koreana extract (SKE). SKE inhibited expression of an NF-${\kappa}B$ reporter gene in response to LPS, and gel mobility shift assays revealed that SKE reduced NF-${\kappa}B$ DNA-binding activity. The extract also inhibited LPS-induced phosphorylation of $I{\kappa}B-{\alpha}$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p65.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reduced the symptoms of arthritis in a collagen-induced arthritic mouse mod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ewartia extracts contain potentially useful agent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노각나무 천연집단의 특성 및 성숙목의 맹아지 삽목증식 (Vegetative Propagation of Stewartia koreana through Cuttings of Mature Sprouts)

  • 김기철;이성규;이갑연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85-88
    • /
    • 2001
  • 차나무과에 속하는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는 내음성이 강하고 공해에 잘견디는 수종으로서 6월말부터 8월에 걸쳐 흰색의 동백꽃 모양의 꽃이 피고, 수피의 모양이 모과나무의 수피와 비슷한 홍황색의 광택이 나는 비단과 같은 얼룩무늬 수피를 가지고 있어 멀리서 보아도 눈에 띄일 정도로 아름다운 모습을 지녔으며, 가을에는 단풍의 아름다움도 커 조경 및 원예적 가치가 높은 수종이다.(중략)

  • PDF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Nakai)의 cDNA library 제작 및 EST 분석 (Construction of a Full-length cDNA Library from Korean Stewartia (Stewartia koreana Nakai) and Characterization of EST Dataset)

  • 임수빈;김준기;최영인;최선희;권혜진;송호경;임용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2호
    • /
    • pp.116-12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한국 특산종인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Nakai)의 EST library를 제작하고 서열을 분석하였다. 노각나무의 유엽을 재료로 cDNA library 만들었고 1,392개의 cDNA에 대한 부분 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EST와 unigene 서열의 분석은 컴퓨터를 기반으로한 filtering과 수작업 그리고 NCBI의 BLAST 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벡터 서열과 100bp 이하의 서열을 제거한 후 1,301개의 EST를 분석하였다. 전체 150개의 contig와 743개의 singleton을 분리하여 총 893개의 unigene을 분리해냈으며 서열 분석을 통해 95개의 microsatellite를 확인하였다. NCBI 데이터베이스의 BLASTX로 상동성을 검색한 결과 EST의 65%는 기능을 알고 있는 유전자와 11.6%의 EST는 아직까지 기능이 보고되지 않은 유전자와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남아 있는 23.2%의 EST는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보고된 유전자와 상동성을 보이지 않는 유전자로 밝혀졌다.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유사성 기반 기능 분석은 노각나무의 EST가 포도나무와 포플러와 높은 유사성을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기능에 따른 분류에 있어 molecular function은 nucleotide binding, biological process는 transport, cellular component는 plastid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왔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EST 자료는 노각나무의 새로운 유전자원에 대한 연구의 기본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노각나무 가지의 Dihydrochalcone 성분 (Dihydrochalcone Components from the Twigs of Stewartia koreana)

  • 안달래;이사임;양재헌;임종필;전훈;은재순;김학용;이재혁;박정숙;김대근
    • 생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9-232
    • /
    • 2011
  • Three dihydrochalcon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twigs of Stewartia koreana (Theaceae) through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phloridizin, 2',4,4'-trihydroxy-6'-methoxydihydrochalcone and confusoside, respectively, by spectroscopic analysis. These compounds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지리산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s of Stewartia koreana Forest in Mt. Jirisan)

  • 권혜진;권재환;정혜란;이지혜;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25-735
    • /
    • 2011
  • 본 연구는 지리산지역의 노각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식생과 토양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구배분석을 실시하였다. 노각나무림은 노각나무-졸참나무군락, 노각나무-신갈나무군락, 노각나무전형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노각나무-졸참나무군락은 서어나무아군락과 전형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노각나무는 해발고 409m에서 최고 1,604m까지 자생하였다. 노각나무군락의 중요치 분석결과 노각나무가 75.47%로 가장 높았으며, 졸참나무 21.83%, 신갈나무 18.65%, 당단풍나무 18.19%, 철쭉 10.56%, 때죽나무 10.36% 순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의 토양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유기물함량 3.15~39.1%, 전질소함량 0.37~11.7%, 유효인산함량 0.9~45.4mg/kg, 치환성 양이온 $K^+$ $0.09{\sim}1.48cmol^+/kg$, 토양 수분 19.28~55.47%, 토양 pH는 4.08~5.6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DCCA ordination을 이용한 노각나무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해발고에 의해 노각나무-신갈나무군락, 노각나무전형군락, 노각나무-졸참나무전형아군락, 서어나무아군락 순으로 분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