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ol biosynthesis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9초

2013년 경북 상주지역 감나무로부터 분리한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탄저병균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Sensitivity to Sterol Biosynthesis Inhibitor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d from Persimmon in 2013 in Sangju, Gyeongsangbukdo)

  • 임태헌;이동운;권오경;한상섭;차병진;송인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2-278
    • /
    • 2015
  •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탄저병균은 우리나라 감 재배지 주요 병의 하나이다. 2013년 상주 지역 감(Diosprosi kaki) 과원에서 C. gloeosporioides에 의하여 감염된 신초, 과일 및 잎으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여 prochloraz manganese complex, tebuconazole, mancozeb+myclobutanil, fluquinconazole+prochloraz, tebuconazole+tolyfluanid 등 총 5종의 살균제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67 균주 모두 공시 약제의 포장적용 농도에서 균사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Tebuconazole의 $EC_{50}$값의 범위는 $0.02-1.04{\mu}g/ml$이었으며 평균 $0.31{\mu}g/ml$이었다. Pochloraz manganese complex의 $EC_{50}$값의 범위는 $0.02{\sim}0.23{\mu}g/ml$이었으며 평균 $EC_{50}$값은 $0.078{\mu}g/ml$이었다. Fluquinconazole+Prochloraz(FP)에 대한 $EC_{50}$값을 조사한 결과, 평균 $0.029{\mu}g/ml$이었다. $EC_{50}$값에 기초한 약제간 상관계수 r은 tebuconazole과 prochloraz manganese complex간에는 0.42이었으며, prochoraz manganese complex와 FP 합제 간에는 0.44, tebuconazole과 FP 합제 간은 0.27이었다.

DNA Polymorphisms in SREBF1 and FASN Genes Affect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Cattle (Hanwoo)

  • Bhuiyan, M.S.A.;Yu, S.L.;Jeon, J.T.;Yoon, D.;Cho, Y.M.;Park, E.W.;Kim, N.K.;Kim, K.S.;Lee, J.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6호
    • /
    • pp.765-773
    • /
    • 2009
  •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factor 1 (SREBF1) and fatty acid synthase (FASN) gen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biosynthesis of fatty acids and cholesterol, and in lipid metabolism. This study used polymorphisms in the intron 5 of bovine SREBF1 and in the thioesterase (TE) domain of FASN genes to evaluate their associations with beef fatty acid composition. A previously identified 84-bp indel (L: insertion/long type and S: deletion/short type) of the SREBF1 gene in Korean cattle ha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the concentration of stearic (C18:0), linoleic (C18:2)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The stearic acid concentration was 6.30% lower in the SS than the LL genotype (p<0.05), but the linoleic and PUFA contents were 11.06% and 12.20% higher in SS compared to LL (p<0.05). Based on the sequence analysis, fiv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g.17924G>A, g.18043C>T, g.18440G>A, g.18529G>A and g.18663C>T in the TE domain of the FASN gene were identified among the different cattle breeds studied. Among these, only g.17924 G>A and g.18663C>T SNPs were segregating in the Hanwoo population. The g.17924G>A SNP is a non-synonymous mutation (thr2264ala) an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ontents of palmitic (C16:0) and oleic acid (C18:1). The oleic acid concentration was 3.18% and 2.79% higher in Hanwoo with the GG genotype than the AA and AG genotypes, respectively (p<0.05), whereas the GG genotype had 3.8% and 4.01% lower palmitic acid than in those cattle with genotype AA and AG, respectively (p<0.05). Tissue expression data showed that SREBFI and FASN genes were expressed in a variety of tissues though they were expressed preferentially in different muscle tissues. In conclusion, the 84-bp indel of SREBF1 and g.17924G>A SNP of the FASN gene can be used as DNA markers to select Hanwoo breeding stock for fatty acid composition.

Prochloraz 와 Triadimefon의 사과나무 부란병균(腐爛病菌)에 대(對)한 작용기작(作用機作) (Mechanism of Action of Prochloraz and Triadimefon on Valsa ceratosperma)

  • 홍종욱;이동진;김장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70-277
    • /
    • 1989
  • 사과나무 부란병균(腐爛病菌)(Valsa ceratosperma)에 대(對)한 항균력(抗菌力)이 인정된 prochloraz 및 triadimefon의 ergosterol 생합성(生合成) 과정(過程)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다음과 같다. Triadimefon 및 prochloraz를 처리(處理)하지 않은 무처리구(無處理區)에서는 시간(時間)이 경과함에 따라 ergosterol의 생합성(生合成)이 계속되어 약제처리(藥劑處理) 후(後) 19시간(時間) 후(後)에 각각(各各) 65.0 및 66.0%이던 것이 168시간(時間) 후(後)에는 각각(各各) 70.3, 70.2%로 증가(增加)되었고, 24-methylenedihydrolanosterol의 경우는 10.1 및 11.6%에서 6.4 및 8.0%로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감소(減少)하였다. 반면(反面)에 triadimefon 10ppm 처리시(處理時)는 ergosterol의 함량(含量)은 60.8%에서 40.0%로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감소(減少)되었고 24-methylenedihydrolanosterol은 17.5%에서 37.6%로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prochloraz 5ppm 처리시(處理時)는 ergosterol은 56.5%에서 37%로 감소(減少)되었고 24-methylenedihydrolanosterol은 19.6%에서 41.0%로 증가(增加)되었다. Ergosterol의 함량(含量)은 약제(藥劑)의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그리고 처리(處理) 후(後) 경과시간(經過時間)이 길수록 감소(減少)되였고 상대적(相對的)으로 24-methylenedihydrolanosterol은 증가(增加)되었다. 따라서 Valsa ceratosperma에서 이들 두 약제(藥劑)는 C-14의 demethylation을 저해(沮害)하여 ergosterol의 생합성과정(生合成過程)을 저해(沮害)하는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 PDF

제조방법에 따른 떫은감 (Diosyros kaki Thumb.)의 대사체 프로파일링과 중성지질/콜레스테롤 대사 관련 유전자발현 연구 : in vitro 및 in vivo 연구 (Metabolites profiling and hypolipidemic/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persimmon (Diosyros kaki Thumb.) by different processing procedures: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 박수연;오은경;임예니;신지윤;정희아;박송이;이진희;최정숙;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4호
    • /
    • pp.275-286
    • /
    • 2018
  • 본 연구는 떫은감 청도반시의 분말을 열수 추출하고 칼럼 추출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PWE와 TEP에 대한 대사체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유리지방산을 처리한 HepG2 세포와 식이로 고지혈증을 유도한 Wistar계 흰쥐의 간조직을 사용하여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대사체 분석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과 액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PLS-DA 분석과 heatmap 분석을 실시한 결과 PWE는 떫은감 분말과 비교적 유사한 대사체 프로파일을, 그리고 TEP는 떫은감 분말과 매우 다른 대사체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포실험과 또한 세포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된 동물실험에서 PWE와 TEP는 모두 SREBP1c와 FAS 유전자 발현을 감소하여 간의 지방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콜레스테롤 축적을 억제하는 효능은 PWE에 비해 TEP에서 우세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특별히 TEP는 SREBP2, HMGCR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LDLR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EP는 탄닌 중 Gallic acid 그리고 장쇄지방산아미드인 Oleamide와 Palmitamide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므로, 향후 이들 성분과 타깃 유전자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스템네트워크로 나타내어 대사체 프로파일에 따른 지질 및 콜레스테롤 대사 간 상호 영향을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Disinfection of Fusarium-infected Rice Seeds by Prochloraz and Gaseous Chlorine Dioxide

  • Jeon, Young-ah;Lee, Young-yi;Lee, Ho-sun;Sung, Jung-sook;Lee, Seokyoung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25-25
    • /
    • 2014
  • Three species of Fusarium, F. fujikuroi, F. verticillioides and F. proliferatum,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bakanae disease of rice [1, 2]. F. fujikuroi infects rice flowers and survive in endosperm and embryo of the seeds. Infected seed is an important source of primary inoculum of pathogens [3]. Seeds of rice (Oryza sativa cv. Boramchan) collected from bakanae-infected field were found to be 96% infected with Fusarium sp., 52% with F. fujikuroi, 42% with F. verticillioides, and 12% with F. proliferatum as determined by incubation method and species-specific PCR assays. F. fujikuroi was detected at lemma/palea, endosperm and embryo whereas F. verticillioides and F. proliferatum were recovered only from lemma/palea by means of component plating test. Seed disinfec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control bakanae disease and prochloraz has been most widely used for rice seeds. Two chemicals formulated with prochloraz (PC 1) and prochloraz + hexaconazole (PC 2) that inhibit biosynthesis of ergosterol strongly reduced the incidence of Fusarium spp. on selective media to 4.7% and 2.0%, respectively. Disease symptoms of rice seedlings in nursery soil were alleviated by chemical treatment; seedlings with elongated leaves or wide angle between leaf and stem were strikingly reduced from 15.6 to 3.2% (PC 1) and 0 (PC 2), stem rots were reduced from 56.9 to 26.2% (PC 1) and 32.1% (PC 2), and normal seedling increased from 0.4 to 13.3% (PC 2). Prochloraz has some disadvantages and risks such as the occurrence of tolerant pathogens [4] and effects on the sterol synthesis in animals and humans [5].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disinfection method that do not induce fungal tolerance and are safe to humans and animals. Chlorine dioxide ($ClO_2$), that is less toxic, produces no harmful byproducts, and has high oxidizing power,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at disinfection of several phytopathogenic fungi including Colletotrichum spp. and Alternaria spp. [6]. Gaseous $ClO_2$ applied to rice seeds at a concentration of 20 ppm strongly suppressed mycelial growth of Fusarium fujikuroi, F. verticillioides and F. proliferatum. The incidence of Fusarium spp. in dry seed with 8.7% seed moisture content (SMC) tended to decrease as the concentration of $ClO_2$ increased from 20 to 40 ppm. Applying 40 ppm $ClO_2$ at 90% relative humidity, incidence was reduced to 5.3% and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 of disease symptoms on MS media. In nursery soil, stem rot was reduced from 56.9 to 15.4% and the number of normal seedlings increased from 0.4 to 25.5%. With water-soaked seeds (33.1% SMC) holding moisture in the endosperm and embryo, the effectiveness of disinfection using $ClO_2$ increased, even when treated with only 20 ppm for four hours. This suggests that moisture was a key element for action of $ClO_2$. Removal of the palea and lemma from seed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incidence of Fusarium spp. to 3.0%. Seed germination appeared to decrease slightly by water-soaking at $30^{\circ}C$ because of increased SMC and by physical damage of embryos from hull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gaseous $ClO_2$ was effective as a means to disinfect rice seeds infected with Fusarium spp. and that moisture around the pathogens in the seed w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action of $ClO_2$. Further investigations should be conducted to ascertain the best conditions for complete disinfection of Fusarium spp. that infect deep site of rice seeds.

  • PDF

고추 탄저병균의 포자 발아와 부착, 균사 생장에 미치는 화합물의 활성 검정법 확립 및 살균제의 효과 (Development of assay method for the activities of new compounds, and the effect of several fungicides against spore germination, adhesion, and myceial growth of Colletotrichum sp. causing red pepper anthracnose)

  • 김재정;김준태;박성우;박은숙;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9-168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microtiter plate를 이용하는 실내 검정법을 이용하여 고추 탄저병균의 기주체 침입 초기에 볼 수 있는 형태 변화인 포자 발아 및 부착과 균사 생장에 미치는 다양한 화합물의 활성을 대량으로 검정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였고, 기존의 몇 가지 살균제가 가지는 고추 탄저병균의 초기 형태 분화 에 대한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실내 검정법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MTT와 propanol 처리, 접종하는 포자의 농도, 배양 시간들이 병원균의 흡광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TT를 12 시간, propanol을 1 시간 처리하였을 때, 그리고 JC24 의 포자를 $1\times10^5$개/mL의 농도로 접종하고 36 시간 배양하였을 때, 병원균의 흡광도가 일관성 있고 높게 나타났다. 살균제의 작용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6종의 보호용 살균제, 6종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 살균제, 1종의 호흡저해제를 선발하여 microtiter plate 대량 검정 방법에서 효과를 조사하였다. 보호용 살균제 중에서 mancozeb, chlorothalonil, dithianone 등은 $6.25{\mu}g/mL$ 처리구에서도 포자의 발아, 부착과 균사의 생장을 모두 80% 이상 억제하였으나, propineb, iminoctadine, fluazinam 등은 $100{\mu}g/mL$의 처리를 2 시간만에 세척하였을 때 흡광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포자 부착 억제 효과는 적었다. 6종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 중에서 hexaconazole, tebuconazole, myclobutanil 등은 포자의 발아와 균사 생육을 억제하고, 세척할 경우 JC24의 생육 억제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아 부착 억제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Nuarimol 은 $100{\mu}g/mL$로 처리한 고농도에서만 부착에 대한 억제 효과가 54.7%로 다른 억제 효과보다 우수하였으나, $6.25{\mu}g/mL$의 저농도로 처리하였을 때는 부착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Kresoxim-methyl은 6.25와 $100{\mu}g/mL$의 농도에서 포자 부착에 대한 억제율이 27.3%와 54.4%로 나타났는데, 처리하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효과도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때 microtiter plate를 사용하여 병원균이 식물체를 침입하는 초기에 나타나는 포자 발아와 부착, 그리고 균사 생장을 검정할 수 있었으며, 본 실험 방법을 통하여 Kresoxim-methyl은 탄저병균의 포자 부착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