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eoscopic or 3D imag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2초

Analysis of the Motion Picture Quality of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Images

  • Choi, Hee-Jin;Jung, Jae-Hyun;Kim, Hwi;Lee, Byoung-Ho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4권4호
    • /
    • pp.383-387
    • /
    • 2010
  • The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3D) display provides a 3D image by inducing binocular disparity for the observers who wear special glasses. With the rapid progress in flat panel display technologies, the stereoscopic 3D display is becoming a new benefit-model of the current display industry, and several kinds of commercial stereoscopic 3D products have been released and are attracting people. Nowadays, the motion picture quality of the 3D image becomes as important as resolution or luminance since most of the commercial 3D products are 3D televisions or 3D monitors which are required to display a clear motion 3D image. In this paper, an analysis and simulation of the motion picture quality of stereoscopic 3D image is proposed, and a comparison of the motion picture performance among the current stereoscopic 3D technologies is also provided.

영상 기반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대화식 3차원 입체 영상 저작 시스템 (Interactive 3D Stereoscopic Image Editing System using Image-based modeling)

  • 윤창옥;윤태수;이동훈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10권2호
    • /
    • pp.53-66
    • /
    • 2006
  • 최근 몰입도가 높은 가시화 기법 중 하나인 3차원 입체영상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2차원 영상과는 달리 3차원 입체 영상은 3차원의 기하정보가 존재해야만 영상 생성이 가능하다. 3차원 기하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2차원 영상을 이용한 입체 영상 저작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 기반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한 장의 실사 영상으로부터 3차원 입체 영상 생성하기 위한 3차원 입체 영상 저작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Adobe Photoshop(R)의 Plug-in형태로 개발함으로써 범용성과 확장성을 고려하였고 몰입감이 높은 입체 영상의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대화식 3차원 입체 영상 미리 보기 기능을 제공한다.

  • PDF

스테레오 3D 영상 스케일링에 대한 기하학적 분석 및 anti-aliasing 필터 (Geometric analysis and anti-aliasing filter for stereoscopic 3D image scaling)

  • 김욱중;허남호;김진웅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38-649
    • /
    • 2009
  • 최근 들어 다양한 스테레오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시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임의의 스테레오 3D 영상에 대한 효과적인 크기 변환 방법, 즉 스케일링(scaling)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CG 등을 통하여 생성된 경우와 같이 장면의 기하학적 정보를 완벽히 파악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확한 스테레오 3D 영상의 스케일링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제한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은 좌우 영상에 대하여 적절한 2D 스케일링을 수행하고, 그 결과로 적절한 스테레오 3D 영상스케일링이 발생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2D 영상 스케일링을 통한 스테레오 3D 영상 스케일링에 있어서, 양안시(binocular vision) 모델에 근거한 기하학적 분석과 주파수 변화 분석을 제시한다. 기하학적 분석을 통해서는 스테레오 3D 영상에서 발생 가능한 왜곡들에 대해서 설명하고, 주파수 변화 분석을 통해서는 디지털 신호의 스케일링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aliasing 왜곡 방지 방법에 대해서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주관적 화질 평가 결과 샘플링 이론 (sampling theory)에만 근거한 필터링 방식에 비해 화질 왜곡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다양한 해상도를 지니는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스테레오 3D 영상 재생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웹 환경에서의 입체적 가시화를 위한 3-D 가상현실 기법의 적용 (STUDY ON 3-D VIRTUAL REALITY FOR STEREOSCOPIC VISUALIZATION ON THE WEB)

  • 이장훈;박인철;김정훈;김병수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0-35
    • /
    • 2011
  • In this paper, our effort to apply 3-D Virtual Reality system for stereoscopic visualization of mesh data on the web is briefly described. This study is an extension of our previous and on-going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n automatic grid generation program specialized for wing mesh, named as eGWing. The program is developed by using JAVA programming language, and it can be used either as an application program on a local computer or as an applet in the network environment. In this research advancing layer method(ALM) augmented by elliptic smoothing method is used for the structured grid generation. And to achieve a stereoscopic viewing capability, two graphic windows are used to render its own viewing image for the left and right eye respectively. These two windows are merged into one image using 3D monitor and the viewers can see the mesh data visualization results with stereoscopic depth effects by using polarizing glasses. In this paper three dimensional mesh data visualization with stereoscopic technique combined with 3D monitor is demonstrated, and the current achievement would be a good start-up for further development of low-cost high-quality stereoscopic mesh data visualization system which can be shared by many users through the web.

영상 운동 분류와 키 운동 검출에 기반한 2차원 동영상의 입체 변환 (Stereoscopic Video Conversion Based on Image Motion Classification and Key-Motion Detection from a Two-Dimensional Image Sequence)

  • 이관욱;김제동;김만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0B호
    • /
    • pp.1086-1092
    • /
    • 2009
  • Stereoscopic conversion has been an important and challenging issue for many 3-D video applications. Usually, there are two different stereoscopic conversion approaches, i.e., image motion-based conversion that uses motion information and object-based conversion that partitions an image into moving or static foreground object(s) and background and then converts the foreground in a stereoscopic object. As well, since the input sequence is MPEG-1/2 compressed video, motion data stored in compressed bitstream are often unreliable and thus the image motion-based conversion might fail. To solve this problem, we present the utilization of key-motion that has the better accuracy of estimated or extracted motion information. To deal with diverse motion types, a transform space produced from motion vectors and color differences is introduced. A key-motion is determined from the transform space and its associated stereoscopic image is generated. Experimental results validate effectiveness and robustness of the proposed method.

3DTIP: 한국 고전화의 3차원 입체 Tour-Into-Picture (3DTIP: 3D Stereoscopic Tour-Into-Picture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 조철용;김만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16-62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인물, 배, 풍경 등으로 구성되는 한국 고전화의 3D 입체 Tour-Into-Picture를 제안한다. 기존의 TIP 기법은 2D 영상 또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과는 달리, 제안하는 TIP는 3차원 입체 콘텐츠를 제공한다. 따라서 한 장의 영상 내부를 항해하면서 입체로 시청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제안 방법은 첫째 전경 마스크, 배경영상, 및 깊이맵을 생성한다. 다음에는 영상 내부를 항해하면서 투영 영상들을 획득한다. 마지막으로 전경객체에서 발생하는 카드보드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템플릿 및 로스 텍스처 필터 기반 깊이맵 생성을 새로이 제안한다. 제안 방법을 조선시대의 작품인 신윤복의 '단오풍정'과 김홍도의 '무이귀도'에 적용하였고, 입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보다 실감 있는 콘텐츠를 제공한다.

공간표시 디스플레이 연구 및 개발 동향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in Three-dimensional (3D) Displays)

  • 조성목;황치선;최지훈;김용해;전상훈;최경희;김주연;양종헌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5권4호
    • /
    • pp.65-80
    • /
    • 2020
  • In this article, we review the study trends of three-dimensional (3D) displays that can display stereoscopic images from the perspective of a display device. 3D display technology can be divided into light field, holographic, and volume displays. Light field display is a display that can reproduce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light or 'ray' in each pixel. It can display stereoscopic images with less information than a holographic display and does not require coherence of the light sourc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commercialized before the holographic display. Meanwhile, the holographic display creates a stereoscopic image by completely reproducing the wavefront of an image using diffraction in terms of wave characteristics of light. This technology is considered to be able to obtain the most complete stereoscopic image, and the digital holographic display using a spatial light modulator (SLM) is expected to be the ultimate stereoscopic display. However, the digital holographic display still experiences the problem of a narrow viewing angle due to the finite pixel pitch of the SLM. Therefore,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at solving this problem. Volumetric display is a technology that directly creates a stereoscopic image by forming a spatial pixel, which is known as a volumetric pixel, in a physical space, and has a significant advantage in that it can easily solve the problem of the viewing angle. This technology has already been tested for commercial purposes by several leading companies.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recent research trends regarding these 3D displays and near-eye display that is emerging as a significant application field of these technologies.

PARALLAX ADJUSTMENT FOR REALISTIC 3D STEREO VIEWING OF A SINGLE REMOTE SENSING IMAGE

  • Kim, Hye-Jin;Choi, Jae-Wan;Chang, An-Jin;Yu, Ki-Y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452-455
    • /
    • 2007
  • 3D stereoscopic viewing of large scale imagery, such as aerial photography and satellite images, needs different parallaxes relative to the display scale. For example, when a viewer sees a stereoscopic image of aerial photography, the optimal parallax of its zoom-in image should be smaller than that of its zoom-out. Therefore, relative parallax adjustment according to the display scale is required. Merely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stereo images is not appropriate because the depths of the whole image are either exaggerated or reduced entirely. This paper focuses on the improving stereoscopic viewing with a single remote sensing image and a digital surface model (DSM). We present the parallax adjustment technique to maximize the 3D realistic effect and the visual comfort. For remote sensing data, DSM height value can be regarded as disparity. There are two possible kinds of methods to adjust the relative parallax with a single image performance. One is the DSM compression technique: the other is an adjustmen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original image and its stereo-mate. In our approach, we carried out a test to evaluate the optimal distance between a single remote sensing image and its stereo-mate, relative to the viewing scale. Several synthetic stereo-mates according to certain viewing scale were created using a parallel projection model and their anaglyphs were estimated visually. The occlusion of the synthetic stereo-mate was restored by the inpainting method using the fields of experts (FoE) model. With the experiments using QuickBird imagery, we could obtain stereoscopic images with optimized parallax at varied display scales.

  • PDF

사용자 불편함 개선을 위한 입체 영상 피로도 지수 측정 (Measurement of Level of Stereoscopic Visual Fatigue for User Discomfort Improvement)

  • 김종학;김정훈;함헌호;조준동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8권10호
    • /
    • pp.20-24
    • /
    • 2011
  • 최근 다양한 3D 콘텐츠가 개발됨에 따라, 극장이나 자택에서 3D 안경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입체 영상이 피로감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개발자들도 특히 어린이나 임산부 등에게는 장시간 시청을 지양할 것을 권고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용자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디스페리티-맵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영상 피로도 지수 측정을 제안하였다. 영상 피로도 지수 측정은 입체 영상의 피로도를 발생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요인인 두 눈으로 보는 차이를 이용하였다. 이는 입체 영상을 생성하거나 보정, 또는 시청할 때 참조하여 사용자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디스페리티-맵을 얻기 위해 실시간 처리에 적합한 Census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3차원 입체영상에서 양선형 보간법을 이용한 키스톤 왜곡 보정 (A Correction of the Keystone Distortion Using the Bilinear Interpolation Method in 3D Stereoscopic images)

  • 이승우;송영준;김남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24-527
    • /
    • 2006
  • 본 논문은 영상에 발생하는 키스톤 왜곡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 있다.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2차원 영상 획득 과정에서 발생하는 키스톤 왜곡을 양선형 보간법을 사용하여 최대한 제거시킨다. 보통 2차원 영상에서의 키스톤 왜곡은 광학적인 장비를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으나, 효율성이나 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했을 때 영상처리 방법을 사용하면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왜곡이 제거된 2차원 영상을 사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하면 더 선명하고 왜곡이 없는 입체영상을 획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