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eoscopic display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42초

입체 시력이 양호한 사람과 불량인 사람간의 입체시 융합 가능 영역 비교 (Comparison of Stereoscopic Fusional Area between People with Good and Poor Stereo Acuity)

  • 강현구;홍형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1-68
    • /
    • 2016
  • 목적: 이 연구는 입체 영상 장비를 시청시 입체 시력이 양호한 사람과 불량인 사람 간에 입체시 융합 가능 영역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함이다. 방법: 입체시가 가능한 39명(남 18명 여 21명, $23.6{\pm}3.15$세)을 대상으로 random dot stereo butterfly 측정법을 사용하여 입체 시력을 검사하였다. 입체맹인 피검자는 포함되지 않았다. 입체 시 융합 가능 영역은 안경방식 3D TV를 이용하여 수평 시차를 다르게 하여 측정하였다. 입체시력이 60 arc sec 미만을 입체 시력 양호의 기준으로 하여, 입체시력 양호군과 입체시력 불량 군으로 나누었다. 측정 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입체 시력 측정 결과에서, 피검자 중 26명을 입체시력 양호군, 13명을 입체시력 불량 군으로 나누었다. 주시점 보다 원거리 입체시 자극이 있는 경우, 입체 시력이 불량인 군의 수평 시차의 경계는 입체 시력이 양호한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작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주시점 보다 근거리 입체시 자극이 있는 경우,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입체 영상 장비를 시청시 입체 시력이 불량인 군의 입체시 융합 가능 영역은 양호한 군과 비교하여 입체 영상 장비 뒤쪽 방향에서 좁았다. 그러므로 입체 영상 장비를 시청시할 때 입체 시력이 불량한 피검자는 양호한 피검자에 비교하여, 원거리에서 융합된 영상을 인지하기 힘들 것이다.

View Point Tracking for Parallax Barrier Display Using a Low Cost 3D Imager

  • 위성민;김동욱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05-114
    • /
    • 2008
  • We present an eye tracking system using a low cost 3D CMOS imager for 3D displays that ensures a correct auto stereoscopic view of position- dependent stereoscopic 3D images. The tracker is capable of segmenting the foreground objects (viewer) from background objects using their relative distance from the camera. The tracker is a novel 3D CMOS Image Sensor based on Time of Flight (TOF) principle using innovating photon gating techniques. The basic feature incorporates real time depth imaging by capturing the shape of a light-pulse front as it is reflected from a three dimensional object. The basic architecture and main building blocks of a real time depth CMOS pixel are described. For this application, we use a stereoscopic type of display using parallax barrier elements that is described as well.

  • PDF

User experience and multi-purposing of stereoscopic content

  • Kawai, Takashi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095-1098
    • /
    • 2009
  • Stereoscopic (3D) content must be viewable in a variety of visual environments, from 3D theaters to 3D mobile displays. However, the depth sensations provided by 3D media are affected by the viewing conditions, such as screen size, viewing distance, and other factors. This user experience (UX) aspect makes it difficult to create multi-purpose 3D content. This paper describes two study cases in which the authors have focused on the UX and the multi-purposing of 3D content. The first case is an evaluation of 3D image quality on a mobile display. The second case is a trial development of a scalable 3D conversion process.

  • PDF

Auto-stereoscopic 60 view 3D using slanted Lenticular lens array

  • Im, Hee-Jin;Lee, Byung-Joo;Hong, Hyung-Ki;Shin, Hyun-H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7년도 7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제7권2호
    • /
    • pp.1500-1503
    • /
    • 2007
  • Auto-stereoscopic 3D of 60-view number is made using slanted lenticular lens array and LCD of 15.1 inch diagonal size and 3200 by 2400 pixel numbers. Due to its large view number, smooth motion parallax is observed and the visual fatigue is reduced.

  • PDF

Compatibility of LCD Monitors with Frame-Sequential Stereoscopic 3D Visualisation

  • Woods, Andrew J.;Yuen, Ka Lu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98-102
    • /
    • 2006
  • Historically, LCD monitors have not been able to be used for frame-sequential stereoscopic 3D visualisation due to their slow pixel response rate. With LCD pixel response rates now in the single-digit millisecond range it is natural to ask whether it is now possible to achieve frame-sequential stereoscopic 3D viewing on LCDs.

  • PDF

A full-color anaglyph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using active color filter glasses

  • Kim, Jong-Hyun;Kim, Young-Hoon;Hong, Ji-Soo;Park, Gil-Bae;Hong, Kee-Hoon;Min, Sung-Wook;Lee, Byoung-Ho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12권1호
    • /
    • pp.37-41
    • /
    • 2011
  • Presented herein is a novel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3D) display system with active color filter glasses. This system provides full-color 3D images by applying the time-multiplexing technique on the original anaglyph method. By switching between the opposite anaglyph statuses, a full-color anaglyph is presented. A liquid crystal panel from a 3D monitor serves as an active color filter operating at 120 Hz. A display panel and a color filter are connected to one graphic card as a dual-link system, for synchronization. To test the quality of this system, a left/right-eye image separation test and an experiment with stereoscopic images were carried out. Although there was some crosstalk and blur, the system, as expected, provided full-color 3D display. This system overcomes a monochromatic 3D image, which is the major weakness of the original anaglyph system.

3D Display: From Autostereoscopic to True 3D

  • Qibin, Feng;Guoqiang, Lv;Yuehui, Hu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39-142
    • /
    • 2008
  • Developing from stereoscopic to autostereoscopic, researchers on display technology are trying to provide more depth cues to viewer, leading to the advent of true 3D display. Volumetric 3D displays seem to be practical technology at present. Ultimate display will function like human vision system, with characteristics of providing all depth cues and free interaction.

  • PDF

3D Display in Mobile Applications

  • Nam, Hui;Kim, Beom-Shik;Park, Chan-Young;Gu, Ja-Seng;Chung, Ho-Kyoo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561-1564
    • /
    • 2006
  • SDI has been developing mobile 3D display for years. For mobile applications, we adapted parallax barrier method. We have developed auto stereoscopic swing 3D display in which people can 3D image in both portrait and landscape mode. Furthermore to increase 3D resolution, we have developed a high resolution 3D display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ing parallax barrier method

  • PDF

동적 실물영상투사 카멜레온(다변) 멀티 서피스 콘텐츠 연구 (Development of Chameleonic Multi-Surface Display with Dynamic Projection Mapping)

  • 홍성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23-132
    • /
    • 2017
  • 물리적 디스플레이 기술은 인간이 열망하는 궁극의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전 세계가 레이저, 플라즈마 및 반사판 등을 이용한다. 또한 양한 입체 디스플레이 기술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나 광학식으로 인한 주변광의 영향, 밝기 등으로 온전한 물리적 표현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광학식과는 다른 물리적 변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문화 감성적인 측면의 접근법으로 다가선다. 2차원 평면적인 디지털 사이니즈의 한계를 극복하여 물리적으로 다변화되는 스크린 위에 동적 영상을 투사하여 3차원 실감 입체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카멜레온(다변)형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영상, 전시 및 공연에 적용이 가능한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프로젝션 기술을 이용한 3차원 입체영상 표시 (3-D image display by use projection technique)

  • 박상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65-66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등의 매체에서 2차원 적으로 보이는 컨텐츠를 프로젝션 도구를 사용해서 3차원 입체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연구를 했다. 이를 위해 4장의 브라운 유리를 피라미드 모양으로 구성했고, PC로부터 출력되는 4대의 LCD 모니터 화면을 역 피라미드 모양의 거울 4면으로 각각 프로젝션 시켜서 거울의 중심부에 3차원 입체 영상이 나타나게 시스템을 구성했다. 실험은 태블릿 PC와 서버측 PC(데스크탑 PC)를 무선으로 연동시켜, 태블릿 PC에서 선택한 콘텐츠가 서버측 PC에서 실행되어 역 피라미드형 거울의 중심부에 3차원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했다. 실험결과 관찰자의 관찰 각도에 따라서 조금 차이가 나지만 2차원 컨텐츠를 3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