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eomicroscope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1초

세척 방법 및 세척 시간에 따른 3D 프린팅 방식으로 제작된 임시 보철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 평가 (Evaluation of Marginal and Internal Gap of Temporary Prosthesis Fabricated by 3D Printing Method According to Rinsing Method and Rinsing Time)

  • 배지현;최재원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4_2호
    • /
    • pp.561-570
    • /
    • 2023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rinsing times and methods on the accuracy of temporary prostheses fabricated by 3D printing method. Sixty temporary prostheses were fabricated with LCD types of 3D printer(Halot-Sky, Creality, Shenzhen, China) and divided into six groups (n = 10) based on rinsing times and methods. All specimens were rinsed with 99% isopropanol alcohol for 5 and 10 min using three methods-hand washed, ultrasonic cleaning, and automated washing. All specimens were polymerized for 3 minutes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s of specimens were examined using a replica technique. The light-body silicone thickness was measured at 6 reference points(Absolute marginal discrepancy, Marginal, Chamfer, Axial, Angle, and Occlusal gap).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y a stereomicroscope. Reference point images were taken at 100× magnification and then measured using an image analysis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wo-way ANOVA, One-way ANOVA, and the Kruskal-Wallis test (p = .05).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rinsing methods and rinsing times(p < .001). In the rinsing time, the temporary prosthesis rinsed for 5 minutes group showed higher accuracy than 10 minutes group. In the rinsing method, the hand washing group showed higher accuracy than the automated washing group.

Push-out bond strength and intratubular biomineralization of a hydraulic root-end filling material premixed with dimethyl sulfoxide as a vehicle

  • Ju-Ha Park;Hee-Jin Kim;Kwang-Won Lee;Mi-Kyung Yu;Kyung-San Mi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8권1호
    • /
    • pp.8.1-8.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arameters of bonding performance to root dentin, including push-out bond strength and dentinal tubular biomineralization, of a hydraulic bioceramic root-end filling material premixed with dimethyl sulfoxide (Endocem MTA Premixed) in comparison to a conventional powder-liquid-type cement (ProRoot MTA). Materials and Methods: The root canal of a single-rooted premolar was filled with either ProRoot MTA or Endocem MTA Premixed (n = 15). A slice of dentin was obtained from each root. Using the sliced specimen, the push-out bond strength was measured, and the failure pattern was observed under a stereomicroscope. The apical segment was divided into halves; the split surface was observed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intratubular biomineralization was examined by observing the precipitates formed in the dentinal tubule. The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cipitates were evaluated with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ic (EDS)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udent's t-test followed by the Mann-Whitney U test (p < 0.05).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2 tested groups in push-out bond strength, and cohesive failure was the predominant failure type. In both groups, flake-shaped precipitates were observed along dentinal tubules. The EDS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ass percentage of calcium and phosphorus in the precipitate was similar to that found in hydroxyapatite. Conclusions: Regarding bonding to root dentin, Endocem MTA Premixed may have potential for use as an acceptable root-end filling material.

Dentinal tubule penetration of sodium hypochlorite in root canals with and without mechanical preparation and different irrigant activation methods

  • Renata Aqel de Oliveira;Theodoro Weissheimer;Gabriel Barcelos So ;Ricardo Abreu da Rosa ;Matheus Albino Souza;Rodrigo Goncalves Ribeiro ;Marcus Vinicius Reis S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8권1호
    • /
    • pp.1.1-1.11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dentinal penetration depth of 2.5% sodium hypochlorite (NaOCl) in root canals with and without preparation and different irrigant activation protocols. Materials and Methods: Sixty-three bovine mandibular incisors were randomly allocated to 6 groups (n = 10): G1, preparation + conventional needle irrigation (CNI); G2, preparation +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PUI); G3, preparation + Odous Clean (OC); G4, no preparation + CNI; G5, no preparation + PUI; G6, no preparation + OC; and CG (negative control; n = 3). Samples were filled with crystal violet for 72 hours. Irrigant activation was performed. Samples were sectioned perpendicularly along the long axis, 3 mm and 7 mm from the apex. Images of the root thirds of each block were captured with a stereomicroscope and analyzed with an image analysis softwar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by the Tukey post hoc test, and the Student's t-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5%. Results: The NaOCl penetration depth was similar when preparation wa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method of irrigation activation (p > 0.05). In the groups without preparation, G6 showed greater NaOCl penetration depth (p < 0.05). The groups without preparation had a greater NaOCl penetration depth than those with preparation (p = 0.0019). Conclusions: The NaOCl penetration depth was similar in groups with root canal preparation. Without root canal preparation, OC allowed deeper NaOCl penetration. The groups without preparation had greater NaOCl penetration than those undergoing root canal preparation.

Trematode metacercariae and adults in cyprinoid fish from Khun Thale Swamp in Surat Thani province, Thailand

  • Kanda Kamchoo;Jong-Yil Cha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1권2호
    • /
    • pp.163-171
    • /
    • 2023
  •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nfection status of trematode metacercariae and adults in cyprinoid fish from the Khun Thale Swamp in Surat Thani, Southern Thailand, with epidemiologic and faunistic viewpoints. In 2020, 577 fish in 15 species were collected in the summer (February-April) and rainy (September-November) seasons. Fish were individually examined for trematode metacercariae in the whole body and adult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using a stereomicroscope. Three species of digenetic trematode metacercariae, i.e., Haplorchis taichui, Haplorchoides mehrai, and Centrocestus formosanus, were detected in the muscle, fin, and/or scale of fish. Two species of adult flukes, including Rohdella siamensis and Helostomatis cyprinorum, were collected in the intestines. The prevalence of overall trematode infections was 32.4% (187/577 fish), which was higher in the rainy season (41.4%; 118/285) than in the summer season (23.6%; 69/292). The metacercariae of H. taichui and H. mehrai were detected in 7 fish species each, and those of C. formosanus were found only in Rasbora toneri. The aspidogastrean trematode R. siamensis (adult) was detected in Babonymus gonionotus. A digenean species, H. cyprinorum (adult), was found in Labiobarbus siamensis and Osteochilus vittatus. The present study has first confirmed that the metacercariae of heterophyid flukes, including H. taichui, H. mehrai, and C. formosanus, and adults of R. siamensis (Aspidogastrea) and H. cyprinorum (Digenea) are infected in some species of the cyprinoid fish from the Khun Thale Swamp in Surat Thani, Thailand.

Can silver diamine fluoride or silver nanoparticle-based anticaries agents to affect enamel bond strength?

  • Jaqueline Costa Favaro ;Yana Cosendey Toledo de Mello Peixoto ;Omar Geha ;Flaviana Alves Dias ;Ricardo Danil Guiraldo ;Murilo Baena Lopes ;Sandrine Bittencourt Berger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1호
    • /
    • pp.7.1-7.8
    • /
    • 2021
  • Objectives: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anticaries agents, such as experimental agents based on silver nanoparticles (SNPs) and silver diamine fluoride (SDF), on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μ-SBS) of composite resin applied to intact enamel (IE) or demineralized enamel (DE). Materials and Methods: Sixty dental enamel fragments were collected from human third molars and categorized into 6 groups (n = 10): positive control (IE), negative control (DE), IE + SDF, DE + SDF, IE + SNP and DE + SNP. Samples from DE, DE + SDF and DE + SNP groups were subjected to pH cycling; superficial microhardness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demineralization. Resin composite build-ups were applied to the samples (0.75-mm diameter and 1-mm height) after the treatments (except for IE and DE groups); μ-SBS was also evaluated. Samples were analyzed under a stereomicroscope at 40× magnification to identify failure patterns. Data were subjected to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by Tukey's and Dunnett's tests (p < 0.05).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IE, IE + SNP, DE + SDF, and DE + SNP groups. The IE + SDF and DE groups recorded the highest and the lowest μ-SBS values, respectively. Adhesive-type failures were the most frequent for all treatments. Conclusions: Anticaries agents did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μ-SBS of composite resin when it was used on IE or DE.

Evaluation of Shear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of Self-adhesive Giomer

  • Gwangsuk Kim;Juhyun Lee;Haeni Kim;Howon Park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34-442
    • /
    • 2023
  •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bonding performance of a self-adhesive giomer and compare it to a conventional flowable composite resin with regard to shear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in enamel and dentin. Healthy human premolars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s were used in the study. For shear bond strength tests, enamel and dentin specimens were prepared for the study group with self-adhesive giomer and for the control group with conventional flowable composite resin with a 5th-generation adhesive system.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measure the shear bond strength. For the microleakage tests, specimens were immersed in a 2% methylene blue solution for 24 hours, cut into sections, and evaluated with a stereomicroscope for the extent of dye penetr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the self-adhesive giomer and the conventional flowable composite resin in enamel (p = 0.091). On the contrary, in dentin, the self-adhesive giomer showed significantly lower shear bond strength (p < 0.0001). The microleakage of the self-adhesive giom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flowable composite resin (p = 0.002). Self-adhesive giomer is considered useful for restoring small cavities at the enamel level of pediatric patients by reducing chair time with the advantage of a simple bonding process. However, a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laboratory setting, further research in a clinical environment is deemed necessary.

Sealed amalgam restoration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LEAKAGE OF SEALED AMALGAM RESTORATION)

  • 이상헌;이재천;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4-61
    • /
    • 2000
  • 아말감은 널리 사용되어 온 대표적 치과재료이지만 치질과의 접착성이 없어 와동의 형태에 의해 유지되는 단점을 가진다. 아말감 수복물은 산화물에 의한 변연봉쇄가 일어나기 전까지 초기에 큰 미세누출을 보이며 수복초기에 이를 적절하게 예방하지 않으면 타액이나 미생물이 와동내에 침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복 후의 과민반응, 충전물의 용해 및 파괴, 변연 변색과 2차 우식이 유발되어, 결과적으로 수복물의 수명이 단축되며 치수 병변이 발생될 수도 있다. 최근 기존 아말감 수복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치질삭제를 줄이고 변연을 봉쇄하며 소와열구에 예방적 처치를 함께 할 수 있는 수복법이 제안되었는데 이를 이른바 sealed amalgam이라 한다. 이 술식은 예방적 확대 없이 병소만을 제거한 뒤 수복물 변연과 인접 소와열구에 치면열구전색재를 도포함으로서 소와열구의 예방적 충전은 물론 수복물 변연과 치질사이의 틈을 봉쇄하여 미세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저자는 아말감 수복후 수복물의 마무리 처리와 전색재 적용시점을 달리 하여 sealed amalgam 수복과 기존의 아말감 수복과의 미세누출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30개의 상, 하악 소구치를 준비하여 V급 와동을 소구치의 협, 설측에 형성하고 통상적 아말감 수복을 시행한 후 다음의 각 군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제 1 군 : 24시간 후 연마 (대조군) 제 2 군 : 연마하지 않음, 즉시 전색재 적용 제 3 군 : 연마하지 않음, 열순환(thermocycling) 500회 후 전색재 적용 위의 처리 후 각 군을 $5^{\circ}C$$55^{\circ}C$의 온도변화를 30초씩 번갈아 주며 총 500회의 열순환을 실시한 후 1% methylene blue 용액에 침윤시켜서 100% 습도가 유지된 $37^{\circ}C$ 항온기에 24시간 보관하였다. 치아를 레진에 매몰한 후 협설측으로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절단하여 stereomicroscope를 사용해 색소침투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미세누출은 연마하지 않고 바로 치면열구전색재를 도포한 2군이 가장 낮았고, 연마만 시행한 1군이 가장 높았다. 2. 실험군간의 미세누출 비교에서 연마만 시행한 1군은 2군에 비해 미세누출이 켰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군은 1군보다 평균미세누출이 작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군은 3군보다 평균 미세누출이 작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다양한 접착시스템을 이용하여 섬유 강화형 포스트로 수복한 치아에서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In vitro study of microleakage of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restored with different adhesive systems and fiber-reinforced posts)

  • 박준호;최유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74-81
    • /
    • 2014
  • 연구 목적: 포스트로 수복한 치아의 미세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술식이 개발되고 있고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접착시스템을 이용하여 섬유 강화형 포스트로 수복한 치아에서의 치근부 미세누출에 대해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6개의 근관치료된 상악 영구 중절치를 3가지 포스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Zirconia-glass fiber, Quarze-glass fiber, Polyethylene fiber 포스트. 포스트 공간이 형성되었고 각 포스트는 세가지 접착시스템으로 접착되었다: 3-stage total-etch adhesive, 2-stage total-etch adhesive, 1-stage self-etch adhesive. 각 시편들을 2% 메틸렌 블루 용액에 1주일 동안 담구었다. 세척한 시편을 자가중합 아크릴릭 레진에 포매하였다. 각 시편을 치근단, 중앙, 치관 부위로 수평 절단하였다. 메틸렌 블루가 침투된 각 시편의 절단부를 교합면 측에서 stereomicroscope로 측정하였다. 시료 침투량은 메틸렌 블루 침투 표면과 총 상아질 표면의 비율로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절단부위에서 모든 군들은 미세 누출을 보였다. 각 절단 부위별로 접착 시스템에 따른 포스트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All Bond 2로 접착한 3단계 접착시스템으로 처리한 치아 중앙절편에서 zirconia-glass fiber와 quarze-glass fiber 포스트 간, zirconia-glass fiber와 polyethylene fiber 포스트 간, quarze-glass fiber와 polyethylene fiber 포스트 간에 미세누출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각각의 포스트의 치근단과 치관 부위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quarze-glass fiber와 polyethylene fiber 포스트에서 치근단과 중앙 부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포스트 종류에 따른 접착 시스템 간에 미세누출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 절단 부위별로 접착 시스템에 따른 포스트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유일하게 3단계 접착시스템으로 처리한 포스트의 중앙절편에서 zirconia-glass fiber가 다른 포스트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Procera^{(R)}$ AllCeram 을 이용한 도재관의 임상적 변연적합도에 관한 연구 (The marginal fidelity of $Procera^{(R)}$ AllCeram alumina copings and crowns of patients)

  • 송영균;조인호;이종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470-478
    • /
    • 2008
  • 완전도재 수복물은 뛰어난 심미성을 가지고 있어, 환자들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재관을 제작함에 있어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정밀도 또한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특히 변연적합도는 수복물의 성공 여부에 중요한 요소이고, 이 분야에 대한 실험적 연구는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임상적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CAD/CAM 시스템의 하나인 $Procera^{(R)}$ AllCeram 시스템의 변연적합도를 실제 환자의 수복물 상에서 측정함으로써 임상에 사용되는 CAD/CAM 시스템의 변연적합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보철과에 내원한 56명, 101개의 지대치에 대해 코핑 상태와 최종수복물의 변연오차를 입체광학현미경으로 측정하고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 결과, 코핑의 변연오차 ($53.84{\pm}38.83\;{\mu}m$)보다 최종 수복물에서의 변연오차 ($45.82{\pm}30.84\;{\mu}m$)가 더 낮은 값을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각 측정 지점간 비교에서 역시 모든 변연에서 코핑 의 변연오차가 최종 수복물에서의 변연오차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구치부의 변연오차는 전치부의 변연오차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설측 변연의 경우, 근심, 원심, 순측 변연의 오차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Procera^{(R)}$ 시스템의 Allceram 관의 변연적합도는 임상적 허용 범위 내에 있었으며, 특히 도재 축성후 변연적합도 는 더 우수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연 중 설측 변연의 오차가 가장 큰 것은 주모형의 정보 입력시 순측 부위의 특성상 일어나는 오류로 사료된다. $Procera^{(R)}$ 시스템 Allceram 관 수복시 설측 변연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은 변연적합을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주모형 변연 부위의 변곡 정도에 따른 변연오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ilapia mossambica의 간흡충에 대한 방어기전 (Defence Mechanism of Java Tilapia, Tilapia mossambica, to Clonorchis sinensis)

  • 이재구;백영기;이호일;양홍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7-327
    • /
    • 1987
  • 틸라피아(Tilapia mossambica)에 대한 간흡충의 제2중간정도로서의 역할 여부를 구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우선 간흡충 유미유충의 틸라피아 치어에 대한 인공감염실험을 수행하여 그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사실을 천명한 다음 그 방어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그 체표면 점액으로부터 살충성 물질을 순수분리하여 기기분석을 통하여 그 화학적 구조를 확인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체현미경하에서 틸라피아 치어를 유미유충에 조우를 시도한 바 일반적으로 유미유충은 수분 후에 미부가 체부로부터 분리하기 시작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수가 증가하여 10여분 후에는 $80\%$에 이르렀으나 극히 소수의 유미유충은 어체표면에 부착한 채 체부만이 어체내로 침입하고 미부는 분리되었다. 2. 틸라피아 치어를 실내수조에서 유미유충에 24시간 노출시킨 바 일부 유미유충은 어체내로 침입하였으나 그 대부분이 피낭한 극소수도 4.2 시간 이내에 거의 모두 사감하였다. 3. 틸라피아의 체표면 점액의 에테르 추출물을 여러 단계의 화학적 처리를 거쳐 제3단계에서 분획한 유백색 상청액을 박막크로마토그라휘하여 얻은 2개의 반점물질을 간흡충의 탈낭유충에 in vitro에서 직접 접촉시켜 살충시험을 수행한 바 그 중에서 제1반점인 Rf. 0.2966 값의 물질이 다른 것에 비교하여 살충성의 월등하게 강력하였다. 4. 틸라피아의 체표면 점액의 에테르 유출물 66.50g으로부터 138mg의 살충성 순수물질이 회수되었으며, 그 수율은 $0.2075\%$, 그 정제도는 71배이었다. 5. 순수하게 분리된 살충성물질에 대하여 적외선, 자외선 및 핵자기공명 분광분석을 이용하여 구조확인을 하였던 바 이 물질은 linoleic acid로 판명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미루어 보아 틸라피아는 자연계에 있어서 간흡충의 제2중간숙주 역할을 할 수 없으며, 그 체표면 정액내의 살충성물질인 linoleic acid가 그 방제기전에 관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