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eomicroscope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2초

Self-etching primer/adhesive를 사용한 교정용 브라켓의 접착시 오염이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tamination on bonding of orthodontic brackets with a self-etching prirneriadhesive)

  • 김유신;이형순;이현정;전영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9-447
    • /
    • 2004
  • 이 연구는 self-etching primer와 adhesive를 사용하여 법랑질 표면에 교정용 브라켓을 접착할 때 수분과 타액, 그리고 혈액에 의한 오염이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96개의 발거된 치아를 4개의 군으로 나누어서 self-etching primer와 adhesive를 사용하여 다음의 4가지 방법에 따라 교정용 브라켓을 접착하였다 첫 번째 군은 치면을 건조시킨 상태에서 부착하였고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군은 각각 증류수, 인공타액. 혈액을 적용한 후 브라켓을 접착하였다 각 시편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debonding 후에 브라켓과 치아 표면은 stereomicroscope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각 군에서 4개씩의 시편을 선택하여 표면처리된 법랑질 표면과 접착계면을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건조군과 증류수군의 전단결합강도는 각각 $15.22{\pm}2.86$ MPa과 $160.20{\pm}3.85MPa$로 혈액군의 전단결합강도$(12.50{\pm}2.94MPa)$보다 높았다.(P<0.05). 건조군과 증류수군, 그리고 인공타액군간에는 전단결합강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p>0.05). 혈액군은 다른군에 비해서 debonding 후 법랑질 표면에 잔류한 레진의 양이 더 적었다.(p<0.06). self-etching primer로 처리된 치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소견에서 건조군과 증류수군의 치면에서는 인공타액군과 혈액군에 비해서 더욱 뚜렷한 산부식 구조를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self-etching primer/adhesive를 사용한 교정용 브라켓의 접착시 수분이나 타액의 오염은 결합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혈액으로 오염시에는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지만. 임상적으로 유용한 최소 결합강도(5.9-7.8 MPa) 이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편 제작 방법이 지르코니아 코어와 비니어링 세라믹의 미세 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ecimen preparation method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veneering ceramic to zirconia)

  • 김기연;여인성;김성훈;한중석;이재봉;양재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14-119
    • /
    • 2011
  • 연구 목적: 미세 인장결합강도 측정을 위한 시편 제작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결합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원통 모양의 지르코니아 블럭을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이용해 디스크 형태로 자른 후 소결하였다. 소결된 지르코니아 디스크에 소성시 수축을 고려한 적당한 크기의 틀을 제작하여 LAVA ceram (3M ESPE, Seefeld, Germany) 도재를 축성한 후 소성하였다. 먼저 그룹 1은 디스크 모양의 시편을 충분히 물을 뿌려가며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이용하여 $1{\times}1{\times}7\;mm^3$의 막대기 모양으로 저속에서 절단하였다 (n = 15). 그룹 2는 같은 방법으로 $1.2{\times}1.2{\times}7\;mm^3$로 자른 후 두꺼운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이용해 $1{\times}1{\times}7\;mm^3$로 트리밍하였다 (n = 15). 그 후 특별히 제작된 지그에 각각의 시편을 core-veneer의 접착면이 오염되지 않도록 조심히 접착한 후 미세 인장결합강도 측정기 (Instron 8848, $Instron^{(R)}$ Co., Norwood, USA)를 이용하여 미세 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이 끝난 시편은 파절면을 stereomicroscope (MZ6, Leica Microsystems GmbH, Wetzlar, Germany) 로 30배 확대 관찰하여 파절의 종류를 구분하였다. 결과: 지르코니아 코어와 비니어링 세라믹 간의 평균 미세 인장결합강도는 절단만 시행한 그룹은 $28.8{\pm}7.0\;MPa$, 절단 후 트리밍을 한 그룹은 $11.0{\pm}33\;MPa$로 절단후 트리밍을 한 시편이 유의성 있게 결합강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P=.00). 결론: 미세 인장결합강도 측정을 위한 시편 제작 시 가능한 한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고 미세 시편을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접착강화제 도포후 인공타액에 오염된 표면의 처리방법에 따른 복합레진의 번연누출과 전단결합강도 (MARGINAL MICROLEAKAGE AND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TREATMENT METHODS OF ARTIFICIAL SALIVA-CONTAMINATED SURFACE AFTER PRIMING)

  • 조영곤;고기종;이석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1호
    • /
    • pp.46-55
    • /
    • 2000
  • During bonding procedure of composite resin, the prepared cavity can be contaminated by saliva. In this study, marginal microleakage and shear bond strength of a composite resin to primed enamel and dentin treated with artificial saliva(Taliva$^{(R)}$) were evaluated. For the marginal microleakage test,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in the buccal surfaces of fifty molars. The sample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5 groups with 10 samples in each group. Control group was applied with a bonding system (Scotchbond$^{TM}$ Multi-Purpose plus) according to manufacture's directions without saliva contamination.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contaminated with artificial saliva for 30 seconds after priming: Experimental 1 group ; artificial saliva was dried with compressed air only, Experimental 2 group ; artificial saliva was rinsed and dried. Experimental 3 group ; cavities were etched with 35% phosphoric acid for 15 seconds after rinsing and drying artificial saliva. Experimental 4 group ; cavities were etched with 35% phosphoric acid for 15 seconds and primer was reapplied after rinsing and drying artificial saliva. All the cavities were applied a bonding agent and filled with a composite resin (Z-100$^{TM}$). Specimens were immersed in 0.5% basic fuschin dye for 24 hours and embedded in transparent acrylic resin and sectioned buccolingually with diamond wheel saw. Four sections were obtained from one specimen. Degree of marginal leakage was scored under stereomicroscope and their scores were averaged from four sec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Kruscal-Wallis test and Fisher's LSD. For the shear bond strength test, the buccal or occlusal surfaces of one hundred molar teeth were ground to expose enamel(n=50) or dentin(n=50) using diamond wheel saw and its surface was smoothed with Lapping and Polishing Machine(South Bay Technology Co., U.S.A.). Samples were divided into 5 groups. Treatment of saliva-contaminated enamel and dentin surfaces was same as the marginal microleakage test and composite resin was bonded via a gelatin capsule.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for 48 hours. The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AGS-1000 4D, Shimaduzu Co., Japan) with a crosshead speed of 5 mm/minute. Failure mode of fracture sites was examined under stereomicroscope.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and Tukey's studentized rang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Enamel marginal microleaka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2. Dentinal marginal microleakages of control, experimental 2 and 4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experimental 1 and 3 groups (p<0.05). 3. The shear bond strength to enamel was the highest value in control group (20.03${\pm}$4.47MPa) and the lowest value in experimental 1 group (13.28${\pm}$6.52MP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1 group and other groups (p<0.05). 4. The shear bond strength to dentin was higher in control group (17.87${\pm}$4.02MPa) and experimental 4 group (16.38${\pm}$3.23MPa) than in other groups, its value was low in experimental 1 group (3.95${\pm}$2.51 MPa) and experimental 2 group (6.72${\pm}$2.26MPa)(p<0.05). 5. Failure mode of fractured site on the enamel showed mostly adhesive failures in experimental 1 and 3 groups. 6. Failure mode of fractured site on the dentin did not show adhesive failures in control group, but showed mostly adhesive failure in experimental groups. As a summary of above results, if the primed tooth surface was contaminated with artificial saliva, primer should be reapplied after re-etching it.

  • PDF

세 가지 다른 인레이 와동 형태가 CEREC3 CAD/CAM의 변연 및 내면 간극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REE DIFFERENT PREPARATION DESIGNS ON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S OF CEREC3 CAD/CAM INLAYS)

  • 서덕규;이영아;이윤;노병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3호
    • /
    • pp.177-183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다른 치아 삭제 형태에 따라 제작된 CEREC3 CAD/CAM의 인레이의 변연 및 내면 간극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었다. CEREC3 인레이의 제작을 위해 다음의 제시된 방법에 따라 각 군당 10개의 시편을 준비 하였다. 제 I 군-기능 교두를 포함하는 전통적 방식의 capping과 shoulder margin, 제 II 군-교두를 수평으로 평평하게 삭제하는 단순화된 와동 형태, 제 III 군-교두의 완전한 삭제와 shoulder margin을 갖는 가장 단순화된 형태로 세 군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CEREC3로부터 제작된 인레이를 대응치아에 접착시킨 후, 치아 교합면의 중심을 지나게 협설면 방향으로 microsaw를 이용하여 절단하였다. 이후 Stereomicroscope을 사용하여 20배율에서 확대 영상을 촬영하였다. 그리고 미리 정해놓은 marginal, axial, angle, Horizontal 기준점에서 Leica application suit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편과 치아 사이의 변연 및 내면 간극을 측정하였다.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같은 기준 지점에서 세 군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각 군 안에서 여러 지점 사이의 차이 또한 알아보았다. Tukey's test로 95% 유의수준에서 사후 검정하였다. 세 군 모두에서 변연 부위에서 간극이 가장 작았으며, 변연 간극은 제 I 군 $80.0-97.8{\mu}m$, 제 II 군$42.0-194.8{\mu}m$, 제 III 군 $51.0-80.2{\mu}m$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내면 간극은 제 I 군 $90.5-304.1{\mu}m$, 제 II 군 $80.0-274.8{\mu}m$, 제 III 군 $79.7-296.7{\mu}m$의 범위를 나타냈고 horizontal wall 부위에서 가장 큰 간극을 보였다. CEREC3 CAD/CAM시스템을사용한 인레이 제작에 있어서 새롭게 제안된 두 가지의 단순화된 와동 형태는 변연 및 내면 간극이 전통적인 교두 피개 와동 형태보다 우수하지 않았다.

레진 시멘트와 코발트 크롬 합금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다양한 프라이머들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imers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resin cements to cobalt-chromium alloy)

  • 정홍택;;박진홍;신주희;이정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95-101
    • /
    • 2019
  • 목적: 레진 시멘트와 코발트 크롬 합금 간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다양한 프라이머들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에서는 4개의 프라이머(Universal primer, Metal primer II, Alloy primer, and Metal/Zirconia primer)와 2개의 레진 시멘트(Panavia F2.0, G-CEM LinkAce)를 사용하였고, 길이 6 mm, 폭 1 mm, 두께 1 mm의 150개의 코발트 크롬 빔들이 캐스팅 과정을 통해 제작되었다. 150개의 코발트 크롬 빔들을 프라이머와 레진 시멘트의 종류에 따라 프라이머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을 포함하여 10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금속과 레진시멘트를 산화알루미늄($125{\mu}m$ 크기)으로 샌드블라스팅 처리한 후 실리콘 틀을 이용하여 접착시켰다. 실험 전에, 입체현미경(stereomicroscope)을 이용하여 모든 금속-레진 빔들을 검사하였고, 미세인장결합강도 실험을 시행하였다. 통계적인 평가에는 one-way ANOVA와 Tukey's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모든 그룹들의 평균 미세인장결합강도는 20 - 28 MPa이었으며,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anavia F2.0과 G-CEM LinkAce 그룹 모두에서 접착 파절과 응집 파절이 동시에 나타나는 혼합 파절이 가장 흔하게 일어난 파절 양태였다. 결론: 모든 실험군들의 미세인장결합강도는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본 실험에서는 프라이머의 사용이 Panavia F2.0 및 G-CEM LinkAce 레진시멘트와 코발트 크롬 합금 사이의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Tricalcium Silicate-Based 치수복조재에 대한 수 종 수복재의 전단결합강도 비교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of Different Restorative Materials to Tricalcium Silicate-Based Pulp Capping Materials)

  • 정화경;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00-20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Tricalcium silicate를 기반으로 한 3종의 치수복조재(Theracal $LC^{TM}$, $Biodentine^{TM}$, $ProRoot^{TM}$ white MTA)와 임상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복재인 복합레진, 레진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그리고 전통적인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간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심구를 가진 아크릴 레진 블록 90개를 제작하고 각각 30개씩 3종의 치수복조재로 중심구 안에 채운 다음, 다시 무작위로 10개씩 하위 군을 나누어 치수복조재 상방에 복합레진, 레진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전통적인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를 적용하여 총 9개 군으로 이루어진 시편을 제작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해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뒤, 입체현미경을 사용해 파절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Theracal $LC^{TM}$-복합레진 군이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Theracal $LC^{TM}$-전통적인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군이 가장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냈다. 복합레진이 수복재로 선택된 군들이 다른 수복재 군에 비해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전통적인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가 수복재인 경우 $Biodentine^{TM}$이 다른 치수복 조재 군들에 비해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냈다.

S-PRG 필러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의 전단결합강도 및 미세누출 (Shear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of a New Self-etch Sealant Containing S-PRG filler)

  • 안진선;이주현;서현우;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47-35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S-PRG 필러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BeautiSealant)의 법랑질 전단결합강도 및 미세누출을 평가함에 있다. 45개의 소구치를 실험대상으로 사용하였으며, 자가부식 프라이머 도포 후 BeautiSealant를 적용한 군(SEPBS), 인산 부식 후 BeautiSealant를 적용한 군(AEBS), 인산 부식 후 $Clinpro^{TM}$ sealant를 적용한 군(AECP)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전단결합강도 측정을 위해 치면열구전색제 블록을 법랑질 표면에 적용하였고, 미세누출을 평가하기 위해 소구치의 소와열구에 치면열구전색제를 도포하였다. 전단결합강도와 관련하여 SEPBS군은 AEBS, AECP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으나(p < 0.05), AEBS군과 AECP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미세누출과 관련하여 3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High Prevalence of Haplorchis taichui, Phaneropsolus molenkampi, and Other Helminth Infections among People in Khammouane Province, Lao PDR

  • Chai, Jong-Yil;Han, Eun-Taek;Shin, Eun-Hee;Sohn, Woon-Mok;Yong, Tai-Soon;Eom, Keeseon S.;Min, Duk-Young;Um, Jin-Young;Park, Min-Sung;Hoang, Eui-Hyug;Phommasack, Bounlay;Insisiengmay, Bounnaloth;Lee, Soon-Hyung;Rim, Han-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243-247
    • /
    • 2009
  • The prevalence of liver and intestinal helminth infections, including Opisthorchis, Haplorchis, Phaneropsolus, hookworms, Enterobius, and Taenia, was surveyed in Khammouane province, Lao PDR. Fecal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1,242 people (590 men and 652 women) in 3 Mekong riverside villages and were examined by the Kate-Katz thick smear technique. The overall helminth egg positive rate was 81.1%. The positive rate for small trematode eggs, including Opisthorchis viverrini, heterophyids, and lecithodendriids, was 81.1% and the positive rate for hookworms was 6.7%. To obtain adult worms, 35 people who were positive for small trematode eggs were treated with 20-30 mg/kg praziquantel and 10-15 mg/kg pyrantel pamoate, and then purged. Diarrheic stools were collected from 33 of these people and searched for helminth parasites using a stereomicroscope. Mixed infections with various helminths (Haplorchis taichui, Haplorchis yokogawai, Prosthodendrium molenkampi, Phaneropsolus bonnei, echinostomes, hookworms, Trichostrongylus spp., Trichuris trichiura, Enterobius vermicularis, and/or Taenia saginata) were found. The total number of helminth specimens collected was 20,907 (approximately 634 per person). The most common species was H. taichui, followed by P. molenkampi, 0. viverrini, P. bonnei, E. vermicularis, hookworms, and Trichostrongylus spp. These results show that diverse species of intestinal nematodes, trematodes, and cestodes are infecting humans in Khammouane province, Lao PDR.

생쥐 난자성숙에 미치는 $Ca^{++}$ Ionophore와 $Ca^{++}$ Channel Blocker의 영향 (Effect of $Ca^{++}$ Ionophore and $Ca^{++}$-Channel Blocker on the Mouse Oocyte Maturation)

  • 배인하;김현숙;김문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9권2호
    • /
    • pp.105-116
    • /
    • 1992
  • The present study was examined to clarify the role of calcium ion as a factor for the maturation of mouse oocytes. Follicles and cumulus-enclosed oocytes were isolated with two sharp needles under a stereomicroscope from female mouse (ICR) ovaries which were treated PMSG 5 IU 45-46 hours previously. Isolated follicles and cumulus-enclosed oocytes were cultured for 14-16 hours in an organ culture system at $37^{\circ}C$, 5% $CO_2$ in air and 100% humudified in incubator. MHBS was the basic medium used from which A23187, verapamil, $NiCl_{2.}$ $6H_2O$ and $LaCl_{3.}$ $7H_2O$ were added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groups. In follicle- or cumulus-enclosed oocytes wre cultured in these differently treated media.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1. The calcium ionophore A23187 directly or indirectly seems to stimulate GVBD of follicle-enclosed mouse oocytes. Increasing concentration of ionophore A23187 1ed to an increase in oocytes degeneration from the cumulus-enclosed mouse oocytes. 2. The organic $Ca^{++}$ channel blocker, verapamil does not induce GVBD of follicle-enclosed mouse oocytes. Specially, higher dose of 1 mM verapamil induced GVBD of follicle-enclosed mouse oocytes. However, cytoplasm of GVBD oocytes in 1 mM verapamil treated groups appeared shrunk. In the cumulus-enclosed oocytes, polar body formation was reduced in verapamil treated groups and degeneration increased. Verapamil inhibit oocyte maturation (polar body formation). 3. The $Ca^{++}$ inhibitor, Nickel ($NiCl_{2.}$ $6H_2O$) inhibits maturation of the follicle-enclosed oocytes. In the cumulus-enclosed oocytes the progression to MII (PB formation) was reduced and degeneration of mouse oocyte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Ni^{++}$ increase. The results indicates that nickel act as an inhibitor of calcium. 4. The $Ca^{++}$ inhibitors, Lanthanum ($LaCl_{3.}$ $7H_2O$) has shown different effect from that of nickel. In follicle-enclosed oocytes, 0.01mM lanthanum induced maturation of mouse oocytes. Polar body formation was reduced in the cumulus-enclosed oocytes all lanthanum treated group.

  • PDF

포졸란 시멘트를 기반으로 하는 근관전색제의 치근단부 미세누출 평가 (Microleakage Assessment of a Pozzolan Cement-based Mineral Trioxide Aggregate Root Canal Sealer)

  • 김미준;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0-27
    • /
    • 2017
  • 본 연구는 포졸란 시멘트를 기반으로 하는 근관전색제인 Endoseal MTA (Maruchi, Wonju, Korea)를 근관전색제와 근관충전제로 사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치근단부 미세누출을 기존의 근관전색제인 AH $Plus^{(R)}$ (Dentsply DeTrey, Konstanz, Germany)와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만곡되지 않은 영구 전치를 3개의 실험군(A군, E1군, E2군)으로 나누고 A군은 AH $Plus^{(R)}$와 gutta-percha (GP), E1군 은 Endoseal MTA와 GP, E2군은 Endoseal MTA 단독으로 충전하였다. 충전이 완료된 치아는 완전한 경화를 위해 24시간동안 멸균 증류수에 보관하였고 염색액 누출을 위해 치근단 부위를 0.2% 로다민 B 염색 용액에 24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입체 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3개의 실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Endoseal MTA는 GP의 사용에 관계 없이 AH $Plus^{(R)}$와 유사한 밀폐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Endoseal MTA의 근관전색제 및 근관 충전제로써 유용한 사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