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phanandra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18초

답압으로 훼손된 임간나지의 임상식생 복원에 관한 연구(II) -자생 수종선발을 위한 생장력 비교- (Studies on Restoraation of Forest-Floor Vegetation Devastated by Recreational Trampling(II) -A Comparison of Growth for Selection of Native Tree Species-)

  • 오구균;우보명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61
    • /
    • 1993
  • Seeding treatment was used for 2 years at an artificial bare ground for selecting tree species suitable for forest-floor revegetation. 2 ${\times}$2${\times}$2 factorial experiment was used with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for 19 native tree species an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Native species suitable for restoration of bareland under 75% shading in central part of Korea were Styrax japonica, Styrax obassia, Smilax china, Callicarpa japonica, Stephanandra incisa, Viburnum dilatatum for. pilosulm, Magnolia sieboldii, Cornus kousa, Celastrus orbiculata, etc.. Especially, Magnolia sieboldii, Stephanandra incisa and Stryrax obassia were tolerant for forest-floor with hardened woil surface and Callicarpa japonica, Viburnum dilatatum for. pilosulum, Euonymus sieboldianus and Philadelphus schrenkii were suitable for softened soil surface with straw-mat mulching. 2. It is necessary to break seed dormancy to accelerate germination in case of Styrax obassia, Styrax japonica, Viburnum dilatatum for. pilosulum, Smilax china and Stephanandra incisa.

  • PDF

한국산(韓國産) 장미과(科) 활엽수재(闊葉樹材)의 천공(穿孔)을 지니는 방사조직(放射組織) 세포(細胞) (Perforated Ray Cells in Korean Rosaceae)

  • 엄영근;정연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432-436
    • /
    • 1995
  • 본(本) 연구(硏究)는 국산(國産) 장미과(科)의 찔레꽃, 덩굴장미, 해당화, 공조팝나무 및 국수나무에 있어서 목부(木部) 방사조직(放射組織)내에 천공(穿孔)을 지니는 방사조직(放射組織) 구성세포(構成細胞)가 존재(存在)함을 처음으로 보고(報告)하는 것으로 이들 방사조직(放射組織) 세포(細胞)의 천공(穿孔)은 도관요소(導管要素)에 발달(發達)하는 천공(穿孔)과 동일(同一)하게 단일천공(單一穿孔)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나도국수나무족(장미과)의 분류: 나도국수나무속 (Taxonomy of tribe Neillieae (Rosaceae): Neillia)

  • 오상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3-32
    • /
    • 2016
  • 나도국수나무족(Neillieae)은 전통적으로 나도국수나무속(Neillia), 국수나무속(Stephanandra), 산국수나무속(Physocarpus)의 3속으로 구성된 장미과의 분류군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국수나무속은 최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근거하여 나도국수나무속에 포함되어, 나도국수나무족은 나도국수나무속과 산국수나무속의 2속으로 구성된 족으로 인식된다. 나도국수나무속은 난형 내지 피침형의 잎, 점첨두 내지 꼬리형의 엽선, 총상 또는 원추화서 및 단심피의 암술을 갖는 특징에 의해 산국수나무속과 뚜렷이 구분된다. 본 속의 식물은 히말라야에서 중국 및 한국을 거쳐 동쪽으로 일본, 남쪽으로 인도네시아에 걸쳐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나도국수나무족의 종속지적 연구의 일환으로 나도국수나무속의 분류를 제시하였다. 기준표본을 포함한 표본 조사 및 야외 조사를 바탕으로 형태형질 분석 결과와 현재까지 밝혀진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종에 대한 검색표, 모든 학명에 대한 자세한 명명법적인 검증 및 처리를 포함하여 나도국수나무속 및 각 종에 대한 기재, 분포도 및 조사한 표본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나도국수나무속에 12종을 인식하였으며, 이 중 3종에서 총 10 변종을 인식하였다. 또한, N. sinensis f. glanduligera 및 N. thyrsiflora의 학명에 대한 선정기준표본을 지정하였다.

덕유산 국립공원 백련사-향적봉지구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Paekryunsa-Hyangchokpong area in T$\v{o}$kyusan National Park)

  • 김갑태;김준선;추갑철;진운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5-163
    • /
    • 1994
  • 덕유산 백련사-향적봉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21개의 방형구(20$\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분석한 결과 네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미역줄나무와 시닥나무, 백당나무 및 사스래나무, 개암나무와 국수나무, 거제수나무와 층층나무, 고로쇠나무와 피나무, 피나무와 음나무, 괴불나무와 백당나무 및 사스래나무, 시닥나무와 주목 및 백당나무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당단풍과 백당나무, 미역줄나무와 국수나무, 시닥나무와 국수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0.9402~l.2473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향적봉지역에 분포하는 주목, 사스래나무 및 구상나무 등은 잘 보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보문산 삼림(森林) 군집(群集)의 구조(構造)와 동태분석(動態分析) (II) (The Structural and Dynamic Analysis of the Forest in Mt. Bomun (II))

  • 김지문;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22-27
    • /
    • 1983
  • 보문산의 관목시(灌木尸)을 대상(對象)으로 수종(樹種)의 종군(種群) 분류(分類)와 천이(遷移) 계열(系列)을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5{\times}5m$의 quadrat 22개소(個所) 선정(選定)하였다. 관목(灌木)의 분석(分析)에는 reciprocal averaging(RA) ordination 방법(方法)을 사용(使用)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보문산에 출현(出現)한 관목수종(灌木樹種)은 45종(種)이었으며 우세종(優勢種)은 Quercus aliena, Quercus serrata, Rhododendron mucronulatum 등(等)이다. 2. RA ordination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보문산의 관목(灌木)은 Zanthoxylum schinifolium에서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Rubus crataegifolius 를 거쳐 Quercus류(類)로 천이(遷移)되며, 또 하나는 Stephanandra incisa-Corylus heterophylla에서 Lespedeza maximowiczii를 거쳐 Quercus류(類)로 천이(遷移)된다.

  • PDF

나도국수나무족(장미과)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의 계통학적 유용성 (The systematic implications of leaf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tribe Neillieae (Spiraeoideae, Rosaceae))

  • 송준호;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22-235
    • /
    • 2017
  • 나도국수나무족에 속하는 Neillia속(나도국수나무속) 4종 4변종, Physocarpus속(산국수나무속) 5종, Stephanandra속(국수나무속) 2종을 포함, 총 3속 15분류군의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관찰 및 기재하였으며, 형질의 분류학적, 계통학적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Neillia속, Stephanandra속에서 기공복합체는 모두 배축면에만 존재하는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이 나타났고, Physocarpus속에서는 P. monogynus, P. opulifolius에서만 양면기공엽(amphistomatic type)이 나타났다. 공변세포의 크기는 $12.02-34.39{\times}10.76-27.13{\mu}m$로 속과 종마다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N. thyrsiflora가 평균 $13.98{\times}12.43(L{\times}W){\mu}m$로 가장 작은 공변세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 gracilis가 평균 $26.82{\times}20.67(L{\times}W){\mu}m$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형태는 N. affinis에서만 평행형(paracytic)이 나타났고, 대부분 불규칙형(anomocytic)이 확인되었다. 표피세포는 섬국수나무(Physocarpus insularis)에서만 배축면에서 유두상(papillate)이 관찰되어 구별되었으며, N. affinis, S. tanakae의 향축면에서 판형(platelets)의 표피상납질(epicuticular wax)이 나타나 구별되었다. 한편, 연구된 분류군에서 모용은 크게 단세포단모(unicellular non-glandular trichome), 2-5개 가지상 모용(two- to five-armed trichome), 성상모(stellate), 선모(glandular trichome), 총 4종류로 확인되었다. 특히, 섬국수나무를 제외한 Physocarpus속 모든 분류군에서 성상모가 나타나 구별되었다. 끝으로,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 중 기공복합체의 형태, 유두상표피세포의 유무, 성상모의 유무 형질이 분류학적 및 계통학적으로 유용성이 있음을 밝혔고, 본 연구 결과, Stephanandra속의 Neillia속으로의 통합, 섬국수나무(Physocarpus insularis)의 Spiraea속(조팝나무속)으로의 전속을 주장한 이전의 분자계통학적 및 화분학적 연구 결과를 강력하게 지지하였다.

加德島 植生의 植物社會學的 硏究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in kadok islet)

  • Kim, In-Taek;Lee, Sang-Myung;Byun, Doo-We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1호
    • /
    • pp.81-102
    • /
    • 1992
  • The forest of kadok islet was investigated from aug. 1 1990 through oct. 30, 1990.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 : a floristic community. Most of the investigated area is occupied by arable land and pinus thunbergii forest, quercus serrata forest with only small area of camellia japonica forest of the eastern units. pinus thunbergii community subunit : eurya japonica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elaeagnus umbellata typical quercus serrata community subunit : stephanandra incisa rhus chinensis typical quercus autissima community camellia japonica community zelkova serrata-acer mono community carpinus coreana community

  • PDF

문안산의 목본식물과 공생하는 수지상균근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f Woody Plants in Mt. Munan)

  • 박상희;어주경;가강현;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수지상균근균(AMF)의 형태적 및 분자 생물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문안산에 분포하는 수지상균근균의 종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AMF 시료는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쪽동백(Styrax obassis), 노린재나무(Symplocos sawafutagi)의 뿌리와 뿌리 부근의 토양에서 채취하였으며, 수수(Sorghum bicolor)를 숙주식물로 사용하여 포자를 배양하였다. 추출된 포자들의 형태 형질과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caulospora longula, A. mellea, Ambispora leptoticha, Gigaspora margarita, Paraglomus occultum 등 4속 5종이 동정되었으며, 숙주식물에 따른 수지상균근균의 분포는 수종에 따라서 다른 경향을 보였다. 생강나무에서는 A. longula가, 국수나무, 쪽동백나무, 노린재나무에서는 A. leptoticha가 우점종이었다.

계룡산국립공원 등산로의 주연부식생 (Edge Vegetation Structure of Trail on Kyeryongsan National Park, Korea)

  • 오구균;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80-286
    • /
    • 2001
  • 계룡산국립공원 지역의 등산로 주연부식생 구조 및 훼손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10개 등산로를 대상으로 2000년 8월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등산로 주연부식생의 수종으로는국수나무, 조록싸리, 조릿대 등이었다. 등산로 주연부의 종다양도, 개체수는 이용강도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이용강도와 하층피도는 대체적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로 전 구간에서 우세하게 출현한 수종은 국수나무이었으며, 대체적으로 능선부 등산로 주연부식생과 사면부에 위치한 등산로 주연부식생간 종구성이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입지환경에 따른 등산로 주연부 수종의 차이는 작은 편이다. 등산로 주연부의 식생피도는 북사면, 서사면, 동사면, 남사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설악산 상천 계곡의 황철나무 (On the Populus maximowiczii Forest of Sangcheon Ravine, Mt. Seolag)

  • Yim, Yang-Jai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2호
    • /
    • pp.95-103
    • /
    • 1984
  • The Populus maximowiczii dominated forest of the Sangcheon ravine, Mt. Seolag, is distributed in the area with the conglemerates substrate, along the ravine stream from 170m to 550m in altitude. Toward the both slope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peak from the stream side, the zon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was recognized; P. maximowiczii forest of Pinus densiflora forest and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The pure community of P. maximowiczii with even more 80-98% in relative basal area (aspen basal area/basal area) was found in the ravine area from 360m to 420m in altitude, the optimal ranges in the species and community by two dimensional ordination with thermal and xeric cline axis. The species compete with Pinus densiflora, in the ravine stream side, and with deciduous broad leaved tree species such as Fraxinus rhynchophylla, Prunus sargentii, Lindera obtusiloba, in the mountain slope sides. On the other hand, the ravine vegetation, including the aspen forest, was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Pinus densiflora-Carpinus laxiflora, Pinus densiflora-Populus maximowiczii, jessoensis, Acer mono-Fraxinus rhynchophylla, Carpinus laxiflora-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Quercus ariena, Quercus ariena, Quercus variabilis-Stephanandra incisa, Picrasma quassioides-Celtis sinensis, Betula davurica-Zanthoxylum schinifolium and Styrax obassia-Lindera obtusiloba associ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