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nt shortening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9초

Delayed Carotid Wallstent Shortening Resulting in Restenosis Following Successful Carotid Artery Angioplasty and Stenting

  • Yoon, Seok-Mann;Jo, Kwang-Wook;Baik, Min-Woo;Kim, Young-Wo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6권5호
    • /
    • pp.495-497
    • /
    • 2009
  • Carotid angioplasty and stenting (CAS) for carotid stenosis has been increasingly use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in patients not eligible for surgery. Even though CAS can be performed relatively simply in many cases, various complications can occur. We report four cases of CAS using the Carotid Wallstent, which were complicated by delayed shortening of the stent, resulting in restenosis after successful CAS.

조직접착제를 이용한 점막이식 전정성형술 (THE FIBRIN-ADHESIVE SYSTEM IN MUCOSAL GRAFT VESTIBULOPLASTY)

  • 민승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2호
    • /
    • pp.130-136
    • /
    • 1995
  • Vestibuloplasty are following categories : Mucosal advancement(submucous), secondary epithlization(reepithelization) and grafting vestibuloplasty. Although certain procedures are indicated for alveolar bone loss and sulcus shortening, relapse can occur. Every efforts to minimize or compensate for it is controversy. O'Steen(1970) reported the mucous graft methods that none of vestibular shrinkage and graft contracture. 15patients in mucous graft vestibuloplasty with fibrin adhesive system(Beriplast) were taken in cases of alveolar bone resorption and mucosal shortening due to traumatized alveolar bone defects, senile atrophic alveolar bone, postoperative cyst or tumor resection, edentulous alveolar bone loss, and others. A technique in the use of small piece of palatal mucosa$(1{\times}20mm)$ from the lateral aspect of the palate with adhesive system provided to secure the skin grafts, avoid stent fixation, postoperative patient's comfort and less time-consuming than the standard technique, especially excellent bleeding control.

  • PDF

나이티놀 와이어 스텐트의 피로도 특성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 (A Study on Fatigue Characteristic of Stent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 김한기;신일균;김동곤;김성현;이주호;기병윤;서태석;김상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0권3호
    • /
    • pp.119-124
    • /
    • 2009
  • 스텐트는 인체내 비혈관 또는 혈관의 내강에 직접 삽입되어 장기간 내강의 개통을 확보해 주어야 하는 보형기구로 체내에서의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스텐트의 성능은 크게 radial force, shortening, anti-migration, 방사선 불투과성, 유연성, 회복력, 삽입기구의 굵기 및 삽입 용이성 등의 항목으로 평가된다. 현재 스텐트는 다양한 제품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병변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다. 스텐트는 개통이라는 고유 목적을 달성하면서 시술의 편의성이 고려되는 데 스텐트의 radial force와 유연성, 그리고 삽입기구의 유연성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한 스텐트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는 상당량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한 스텐트의 피로 거동 분석을 위한 전산 모사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특히, 세선형 스텐트의 연구 및 시술 이후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혈관용 세선형 스텐트에 대하여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한 전산모의실험을 통한 피로특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해당 제품이 목표 수명을 지나서 피로 파괴(내구지수 : 1.74)가 발생한다고 예측할 수가 있었다. 이러한 유한요소 해석법은 스텐트 시술시의 장기적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산업체의 스텐트 개발 기간 및 예산 절감 등 경제적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전기분사를 이용한 양성담관 협착 치료용 약물방출 스텐트 개발 (Development of Drug Eluting Stent for the Treatment of Benign Biliary Stricture by Electro-spray Method)

  • 신일균;김동곤;김한기;김상호;전동민;서태석;장홍석
    • 폴리머
    • /
    • 제36권2호
    • /
    • pp.163-168
    • /
    • 2012
  • 최근에 내시경 관련기술의 진보에 따라서 시술 편리성, 회복시간 단축, 환자 고통 경감 등의 장점으로 인해 스텐트 삽입술이 빠르게 진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양성담관 협착 치료를 목적으로 파클리탁셀을 이용한 약물방출 스텐트를 전기분사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으며, 이 때 사용된 고분자는 polyether-based polyurethane(상표명 : PELLETHANE 2363-80AE$^{(R)}$)과 첨가제로서 Pluronic F127, 약물로서 파클리탁셀을 사용하여 금속스텐트 표면에 코팅하였다. 그 결과로서, 약물이 코팅된 고분자 필름의 물리적 특성은 SEM, FTIR, 접촉각 측정기, XRD에 의해 확인하였으며, 약물방출속도는 약물함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스텐트의 구조 및 기계적인 반응에 대한 최적인자 도출과 유한요소해석법을 통한 검증 (Deduction and Verification of Optimal Factors for Stent Structure and Mechanical Reaction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 전동민;정원균;김한기;김상호;신일균;장홍석;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2호
    • /
    • pp.201-208
    • /
    • 2010
  • 최근 내시경의 기술발전과 더불어 수술의 편의성, 회복시간의 단축, 환자의 고통감소 등의 효과를 위하여 스텐트가 개발되고 있다. 이를 위해 스텐트 구조와 기계적인 반응에 대한 최적의 인자를 찾고 유한요소해석법을 통해 최적 조건임을 검증하였다. 현재 상용화된 제품들 중 선호도가 높은 Zilver (Cook, Bloomington, Indiana, USA)와 S.M.A.R.T (Cordis, Bridgewater Towsnhip, New Jersey, USA) 모델을 분석하였고, 스텐트의 기계적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인자를 도출하기 위해 다구치 요인분석으로 배열한 다음, 유한요소해석법으로 유연성과 팽창성을 찾아보았다. 또한 반응표면분석의 중심합성법을 이용하여 최적조건에 알맞는 중요인자를 도출하였고, 이를 고려하여 최적설계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구치 요인분석을 통한 유연성 평가와는 다르게 팽창력 평가에서는 최적조건을 만족시키는 인자를 찾을 수 없었다. 반응표면분석법의 중심합성법으로 수행한 결과, 스텐트의 유연성에 대한 중요인자는 스텐트의 두께(T), 단위넓이(W)이고, 팽창력에 대한 중요인자는 스텐트의 두께(T)로 도출되었다. 반응면을 통한 중요인자에서 유연성에 대한 것은 두께(T), 단위넓이(W)로 도출되나, 팽창력의 경우에는 다른 중요인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표면분석의 중심합성법을 이용하여 최적조건에 부합한 중요인자는 T=0.17, W=0.09의 결과를 보였으며 유연성과 팽창력이 뛰어나 설계요구조건을 충족하였다. 최근에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한 스텐트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는 상당량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체계적인 실험계획법을 적용하여 스텐트의 최적조건을 도출하여 시간 및 비용을 줄이는 설계방법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스텐트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세계적으로 검증된 방법인 다구치 요인분석과 반응표면분석법의 중심합성법을 적용하여 최적조건을 도출하고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실제 시제품을 제작하여 발생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이러한 체계적인 실험계획법과 유한요소해석을 스텐트 설계단계에 적용함으로써 산업체의 스텐트 개발 기간 및 예산 절감 등 경제적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Superiorly based flap을 이용한 기관절개술 (Superiorly Based Flap Tracheostomy)

  • 정필상;이정구;정필섭;김영훈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9-135
    • /
    • 1995
  • The superiorly based flap tracheostomy(SBFT) has been advocated as an new technique of tracheostomy to manage a wide variety of causes of upper airway obstruction. This technique has particular applicability in patients who require long term tracheostomy such as in b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and severe obstructive sleep apnea. SBFT has numerous advantages such as shortening of the gap between the skin and trachea : construction of a self-sustaining tract ; circumferential mucocutaneous junction to reduce infection, granulation tissue, bleeding, and stenosis of the tract : avoidance of the laryngotracheal damage : easy placement of a tracheostomal stent to promote speech, coughing and swallowing. Most of all, this technique can reduces the suprastomal buckling by the support of the superiorly based tracheal flap, and thus prevents the stenosis of suprastomal airway. The disadvantage of SBFT is more time-consuming procedure than the conventional tracheostomy, A retrospective analysis of 8 patients undergoing SBFT between June, 1994 and March, 1995 i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was performed to present the surgical technique and com-plication rates. The average duration of follow up was 11 months. The complications were consisted of a wound infection and a sternal granulation. The other complications including wound dehiscence, tracheitis, pneumonia, tracheal granulation, sternal narrowing and subglottic stenosis were not experienced.

  • PDF

Role of Balloon Guide Catheter in Modern Endovascular Thrombectomy

  • Chueh, Ju-Yu;Kang, Dong-Hun;Kim, Byung Moon;Gounis, Matthew J.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3권1호
    • /
    • pp.14-25
    • /
    • 2020
  • Proximal flow control achieved with a balloon guide catheter (BGC) during endovascular treatment of acute ischemic stroke is reviewed in this article. In clinical practice, BGCs offer a multi-faceted approach for clot retrieval by creating proximal flow arrest, reducing embolic burden, and shortening procedure time. Evaluation of frontline thrombectomy procedures with BGCs revealed advantages of combined use over the conventional guide catheter (CGC), notably in the significant reduction of distal emboli to both the affected and previously unaffected territories. Recently, new measures of early and complete reperfusion at first thrombectomy pass have been identified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improved outcomes, which were consistently demonstrated with use of BGC as a safe and effective option to minimize number of passes during intervention. Pri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eporte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GC-treated patients and a lower risk of mortality as well as shortened procedure time. While BGC use is more common in stent retriever-mediated mechanical thrombectomy, preliminary data has shown the potential benefit of device application during contact aspiration thrombectomy to achieve successful recanalization. However, the question of which major endovascular strategy reigns superior as a frontline remains to be answered. Along with clinical case assessments, BGC performance during in-vitro simulation was analyzed to further understand mechanisms for optimization of thrombectomy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