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nosis

검색결과 1,761건 처리시간 0.063초

요통 치료의 빈용 경혈과 자가 운동 요법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Systematic Review of High Frequency of Acupuncture Point and Self Exercise Therapy for Lower Back Pain)

  • 남대진;허건;이형은;최보미;이정민;이은정;오민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9-71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figure out which acupoints are frequently used to treat low back pain and which exercises are effective to low back pain. Methods We searched the three electronic database (RISS, KISS, KTKP) and manually checked related Korean journals and reference lists up to June 2013.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acupoints for using treatment of low back pain. We Introduce exercise therapies we can do easily at home without professional skills for treatment low back pain. Results We included 72 articles in this study. The most frequently adopted acupoints were BL25, BL23, BL24, GB30, BL40, BL26, BL60, GB34, BL52, BL57, GB39. The most frequently adopted meridian pathways were BL, GB, GV, ST. The most frequently adopted disease causing low back pain were HIVD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Lumbar sprain, Spinal stenosis, Compression fracture, Cauda equina syndrome, Spondylolisthesis, Ankylosing spondylitis. There are many exercise therapies (Lumbar stabilizing exercise, Resistance exercise, Bareunmom physical exercise, Mckenzie exercise, Williams exercise, Emblass exercise, Swiss ball exercise, Thera band exercise, Yoga) for treatment low back pai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st frequently adopted acupoints were foot taeyang urinary bladder channel acupoints. Beacuse foot taeyang urinary bladder channel is passes through the waist, it will be effective for treatment of low back pain. Also exercise therapy is effective for enhance Muscular strength. In order to treatment of low back pain, Acupuncture treatment is also important, as well as exercise therapy.

경부식도암 및 하부인두암에서 근치적 전후두인두식도절제술 후 위를 이용한 재건술의 의의 (Use of the Stomach as an Esophageal Substitute after Total Pharyngolaryngoesophagectomy for Treating Cervical Esophageal Cancer or Hypopharyngeal Cancer)

  • 이상혁;이상훈;윤호영;김충배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4호
    • /
    • pp.200-205
    • /
    • 2007
  • 목적: 하부인두암 및 경부식도암 환자에서 근치적 전인두후두식도절제술시 위를 이용한 재건술 후 수술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1년부터 2006년까지 하인두암 및 경부식도암에서 전인두후두식도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재건술을 개흉술 없이, 경열공적으로 위를 이용하여 하인두위 문합술을 시행한 2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해서는 신체검사소견과 수술 후 시행한 식도조영술의 결과에 따라 분류하였고, 퇴원 후 외래추적조사 시 환자의 증상 및 신체검사소견상 협착이나 재발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서 시행한 흉부 X-선 검사, 식도내시경 및 식도조영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사망한 환자는 2예(8.8%)였으며, 4예(4.4%)에서 누출이 있었으나, 공장루를 통해 경장영양으로 해결되었으며, 협착은 없었다. 호흡기합병증은 폐렴 1예, 기흉 1예였다. 수술 후에 연하곤란은 없었으나, 2000년 이후 유분부성형술을 시행하지 않으므로, 일시적으로 정체증상을 호소한 환자가 1예 있었다. 결론: 하인두암이나 경부식도암에서 근치적 절제 후 위장관 재건술시 위를 이용하는 것은 충분한 길이를 얻을 수 있어, 원활한 혈액공급이 가능하여 조직괴사나 문합부 누출 및 협착 등의 합병증이 적으며, 술식의 시간이 빠르다. 또한 모든 문합이 경부에서 이루어지므로 문합부의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치료되어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 PDF

혈압 수준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 및 동맥경화반의 관련성 (Association of Blood Pressure Levels with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nd Plaques)

  • 이영훈;권순석;최진수;이정애;최성우;류소연;신민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5호
    • /
    • pp.298-304
    • /
    • 2009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blood pressure levels with the common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 (CCA-IMT) and carotid plaques. Methods : Data were obtained from 2,635 subjects, aged 50 years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in Dong-gu, Gwangju city between 2007 and 2008.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blood pressure levels; normotensives (<120/80 mmHg), prehypertensives (120-139/80-89 mmHg), and hypertensives ($\geq$140/90 mmHg). Prehypertensives were further categorized as low prehypertensives (120-129/80-84 mmHg) and high prehypertensives (130-139/85-89 mmHg).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nd plaques were evaluated with a high-resolution B-mode ultrasoun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chi-square test, ANOVA,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Prehypertensives had significantly greater maximal CCA-IMT values than normotensives, with a multivariate adjusted odds ratio of 1.78 (95% CI=1.36-2.32) for abnormal CCA-IMT (maximal CCA-IMT$\geq$1.0 mm), and 1.45 (95% CI=1.19-1.77) for carotid plaques. The multivariate adjusted odds ratio of low prehypertensives was 1.64 (95% CI=1.21-2.21) for abnormal CCA-IMT, and 1.30 (95% CI=1.04-1.63) for carotid plaques compared with normotensives. Subject with hypertension had higher frequency of abnormal CCA-IMT (odds ratio, 2.18; 95% CI=1.49-3.18), and carotid plaques (odds ratio, 1.98; 95% CI=1.46-2.67) compared with normotensives after adjustment for othe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Conclusions :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carotid atherosclerosis in subjects with prehypertension (even in low prehypertensives) compared with normotensive subject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onfirm the benefits and role of carotid ultrasonography in persons with prehypertension.

절제 불가능한 식도암에서 고선량 외부조사 방사선 치료의 결과 (Treatment Results of Increased Dose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for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 이승헌;이석호;이규찬;신동복;심선진;이재익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9-56
    • /
    • 2009
  • Purpose :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 for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treated with relatively high dose radiation therapy(RT).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8, 32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or medically inoperable esophageal cancer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RT) with or without concurrent chemotherapy. Ten patients were excluded from analysis because of distant metastasis and drop off. Patient distributions according to AJCC stages II, III IVa were 7(31.8%), 12(54.6%), 3(13.6%) respectively. The locations of tumor were cervical/upper thorax 3 (13.6%), mid thorax 13(59.1%), and lower thorax/abdominal 6(27.3%), respectively. Eleven patients received RT only, and 11 patients received cisplatin based concurrent chemoradiotherapy(CCRT). Median radiation dose was 65 Gy(range 57.6~72 Gy). Results : The median follow-up was 9.1 months(range 1.9~43.8 months). The response rates for complete response, Partial response, stable disease and Persistent disease were 6(27.3%), 11(50.0%), 4(18.2%) and 1(4.5%), respectively. Two patients(9.1%) suffered from esophageal stenosis and stents were inserted. Two patients(9.1%) had Grade 3 radiation pneumonitis and one of them expired due to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at 36 days after completion of radiation therapy. The recurrence rate was 11(50.0%). The patterns of recurrence were persistent disease and local progression in 5(22.7%), local recurrence 3(13.7%) and concomitant local and distant recurrence in 3(13.7%). The overall survival(OS) rate was 32.1% at 2 years and 21.4% at 3 years(median 12.0 months). Disease free survival(DFS) rate was 17.3% at 2 and 3 years. All patients who had no dysphagia at diagnosis showed complete response after treatment and 100% OS at 3 years(p=0.0041). The OS for above 64.8 Gy group and 64.8 Gy or below group at 3 years were 60.6% and 9.1%(p=0.1341). The response to treatment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OS(p=0.004). Conclusion : Relatively high dose radiation therapy in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tended to have a better outcome without increased complication rate. Further study with more patients is warranted to justify improved result.

  • PDF

유리공장을 이용한 인두 및 경부식도 재건술 (The Free Jejunal Autograft for the Hypopharynx and Cervical Esophagus Reconstruction)

  • 오경균;심윤상;이용식;박혁동;김기환;심영목;조재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0-128
    • /
    • 1991
  • Reconstruction of the pharynx and cervical esophagus presents a tremendous surgical challenge to the Head and Neck Surgeon. Because life expectancy of pa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hypopharynx, and cervical esophagus is limited, treatment must be aimed at palliation. A variety of techiques have been proposed over the years with none proving entirely satisfactory. These techiques include prosthesis; skin graft; cervical flaps; tubed cutaneous and myocutaneous chest flaps; visceral reconstruction with stomach, colon. and jejunum; and jejunal free autografts. Many factors dictate the best method of reconstruction in any given clinical situation. The goal of the surgery is a one-stage reconstruction of swallowing function with minimal morbidity to allow as short a hospital stay as posible. Nine patients underwent the free jejunal autograft reconstruction of the pharyngoesophagus after the ablative surgery for the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one perioperative death, two abdominal wound dehiscences, two neck hematomas, one carotid rupture, one funtional dysphagia, one late strictures. There were no graft failure, no immediate stenosis and no fistula. An oral diet was started between days 8 and 16, with an average of 9 days and median of 8 days. Patients left the hospital between days 9 and days 38, with an average of 23.4 days and median of 23 days. This method of reconstruction is advocated as reliable palliative procedure with short-term follow-up. In conclusion, we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are of the opinion that the free jejunal autograft offers an excellent, safe and relative easy method of the pharyngeal and cervical esophageal reconstruction with significant advantages over other techiques.

  • PDF

심장외폰탄수술의 조기성적 (Early Results of Extracardiac Fontan Operation)

  • 김웅한;정도현;김수철;전홍주;이창하;김욱성;오삼세;정철현;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7호
    • /
    • pp.650-659
    • /
    • 1998
  • 부천세종병원에서는 '96년 8월부터 '97년 8월까지 22명의 환자에게 심장외폰탄 (extracardiac Fontan) 수술을 시행하였다. 남자 14명, 여자 8명이었으며, 진단별로는 단심실증 16명(우심실형 12명, 좌심실형 4명), 삼첨판폐쇄증 4명, 좌측이소성(left isomerism), 대혈관전위증, 심실중격결손증이 있으면서 폐동맥협착증이 있는 환자 1명, 그리고 Criss-Cross 심장이면서 비대칭심실이 있는 1명이었다. 연령은 22개월부터 26세까지 분포하였고 폐동맥압은 평균 11.7$\pm$3.1 mmHg이었다. 선행수술로 양방향성대정맥폐동맥단락술(bidirectional cavopulmonary shunt)을 시행한 환자가 15명으로 평균 15.6$\pm$3.4개월의 기간을 두고 수술을 시행하였고, 고전적 글렌 수술 후 14년만에 Fontan 수술을 시행한 환자가 1명 있었다. 전대정맥폐동맥단락술(total cavopulmonary shunt, Kawashima operation)후 폐동-정맥루(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발생으로 평균 37.5$\pm$20개월만에 수술을 받은 환자가 4명 있었고, 2명의 환자는 선행수술 없이 심장외폰탄수술을 시행하였다.

  • PDF

관상동맥우회술 후 재수술의 단기 및 증기 성적 (Early & Midterm Results after Redo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김준성;김홍관;장우익;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46-153
    • /
    • 2004
  • 관상동맥우회술의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관상동맥우회술의 재수술은 증가하는 추세이나 아직까지 국내 보고는 미흡한 수준이다. 저자들은 관상동맥 재수술의 사망률, 유병률 등의 임상경험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관상동맥우회술의 재수술을 시행 받은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초 수술 후 재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66$\pm$56 (3∼157)개월이었고 재수술 시 평균연령은 62.8$\pm$8.7 (51∼78)세였다. 2003년 6월 30일을 추적관찰 종료시점으로 하여 평균추적관찰 기간은 43$\pm$29 (8∼105)개월이었다. 재수술의 적응증은 이식편의 협착 또는 완전폐쇄가 11예(78.6%), 관상동맥질환의 진행이 1예, 그리고 두 가지 병리가 혼재한 경우가 2예였다. 결과: 입원기간 중 사망은 2예(14.3%)가 발생하였고 사망원인은 저심박출증이었다. 술 후 합병증은 총 7명(50.0%)의 환자에서 8예가 발생하였는데, 수술 전후 심근경색이 2예(14.3%), 종격동염이 1예(7.2%), 십이지장 궤양천공 1예, 허혈성 하지괴사 1예, 장간막경색에 따른 위장관 천공 1예, 지연 뇌경색 1예, 비장출혈 1예 등이었다. 조기사망 2예를 제외한 12명의 환자를 추적 관찰한 결과 만기사망은 1예가 발생하였고 추적관찰 종료시점에서 협심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없었으며 모든 환자가 Canadian협심증분류 1급 또는 2급의 양호한 경과를 보였다. 결론: 관상동맥 재수술은 비교적 높은 유병률과 사망률을 보였으나 퇴원 후 환자상태는 양호하였으며 향후 경험의 축적과 노력이 요망된다.

삼첨판막 치환술의 장기성적 (Long-Term Result of Tricuspid Valve Replacement)

  • 임청;강문철;김경환;김기봉;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9호
    • /
    • pp.680-685
    • /
    • 2001
  • 배경: 삼첨판막친환술은 매우 드물게 시행되는 수술이며 그 장기 성적은 만족치 못한 수준이다. 또한 어떤 종류의 인공판막을 사용하느냐에 대하여도 논란이 많은 상황이다.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89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10년동안 71명의 환자에서 72례의 삼첨판막 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장단기 성적과 위험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평균나이는 42$\pm$13세(16~65세)였으며 남여비는 32/39였다. 술전진단은 50례의 후천성판막질환과 18례의 선천성심장질환이 있었고 삼첨판폐쇄부전만 단독으로 있었던 경우도 4례 있었다. 사용된 인공판막은 기계판막이 69개, 조직판막이 3개였다. 승모판막치환술 또는 대동맥판막치환술과 같이 시행된 경우는 50례였고 1례에서는 폐동맥판막 치환술이 같이 시행되었다. 결과: 조기사망은 7례(9.7%), 만기사망은 7례(13.0%)였고 10년 생존율은 59.2$\pm$7.2%였다. 삼천판막혈전증은 5례에서 11번에 결쳐 발생하였으며 그중 1례는 재수술을 시행받았다. 생존자들의 대부분은 심장기능분류 I-II의 상태로 현재까지 외래 추적관찰중이다. 결론: 삼첨판막치환술은 비록 혈전증등의 위험이 상존하기는 하지만 비교적 낮은 사망률과 이환율을 보이고 있으며 기계판막의 경우에도 조직판막과 비교하여 큰 차이 없이 좋은 장기성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188}He$을 이용한 혈관내 방사선 치료시 시술자의 방사선 피폭 수준 (Radiation Exposure of Operator in Intracoronary Radiotherapy Using $^{188}Re$)

  • 지의규;이명묵;우홍균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191-195
    • /
    • 2000
  • 현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진행중인 연구의 일환으로 혈관 내 방사선치료 시 시술자의 방사선피폭 정도 및 위험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심장혈관 폐색으로 연구에 포함되어 방사선치료른 시행 받은 42명의 환자 중 측정이 완벽한 34명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혈관내 방사선치료는 관상동맥성형술 직후 풍선도자법을 이용하여 대상 동맥의 중막에 17 Gy를 조사하였다. 사용된 동위원소는 $^{188}Re$이었으며 GM측정기로 각기 다른 8점에서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환자의 심장부위에서 10cm, 40cm 떨어진 지점을 시술자의 최대피폭량, 전신피폭량의 기준으로 삼았다. 치료선량의 중앙값은 111.6 mCi이었고 중앙치료시간은 576초였다. 환자 심장부위에서 l0cm, 40cm 지점의 평균 피폭 선량율은 0.43 mSv/hr, 0.30 mSv/hr 이었고, 각 지점에서의 시술 당 평균 피폭 선량은 0.07 mSv, 0.05 mSv 이었다. 이 수치는 ICRP-60나 과학기술부 고시에서 권고하고 있는 한계 피폭선량보다 훨씬 적은 값으로 현재 저울대학교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혈관내 방사선 치료법은 방사선방어 면에서 매우 안전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동반된 심부전 환자에서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적용 1례 (A Case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in a Patient with Central Sleep Apnea and Heart Failure)

  • 안지영;김신범;강현희
    • 수면정신생리
    • /
    • 제24권2호
    • /
    • pp.118-123
    • /
    • 2017
  • 일반적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이 중추성 수면 무호흡보다 발생 비율이 높지만 심부전 환자에서는 체인-스토크스 호흡이 동반된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흔하며, 실제로 심부전 환자에서 25~40%까지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발생한다고 한다. 저자들은 호흡곤란으로 내원하여 심부전으로 진단된 환자가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하고 난 이후 추적 시행한 심초음파 결과에 비해 주관적인 호흡곤란이 해결되지 않은 경우, 의료진의 자세한 병력 청취를 통해 환자가 평소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심하다는 소견을 바탕으로 조기에 수면 다원검사를 시행했다. 환자는 체인-스토크스 호흡을 동반한 중추성 수면 무호흡으로 진단 되어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을 적용 후 호흡곤란 및 주간 졸림증이 호전 되었다. 심부전 환자에서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동반된 경우, 피로감, 주간 졸림증 등과 같은 수면 무호흡의 일반적인 증상이 심부전 자체로 인한 증상으로 오인되어 중추성 수면 무호흡의 진단이 늦어 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환자의 예후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증례의 경우와 같이 심부전 환자의 치료 시 수면 무호흡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있는 경우 중추성 수면 무호흡의 동반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중추성 수면 무호흡을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증상 호전 및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