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inernema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2초

Temperature Effects on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glaseri and S. longicaudum, and their Symbiotic Bacteria

  • Hang Dao Thi;Choo, Ho-Yul;Lee, Dong-Woon;Lee, Sang-Myeong;Kaya Harry K.;Park, Chung-Gy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420-427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temperature effects on the virulence, development, reproduction, and otility of two Korean isolates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glaseri Dongrae strain and S. longicaudum Nonsan strain. In addition, we studied the growth and virulence of their respective symbiotic bacterium, Xenorhabdus poinarii for S. glaseri and Xenorhabdus sp. for S. longicaudum, in an insect host at different temperatures. Insects infected with the nematode-bacterium complex or the symbiotic bacterium was placed at $13^{\circ}C,\;18^{\circ}C,\;24^{\circ}C,\;30^{\circ}C,\;or\;35^{\circ}C$ in the dark and the various parameters were monitored. Both nematode species caused mortality at all temperatures tested, with higher mortalities occurring at temperatures between $24^{\circ}C\;and\;30^{\circ}C$. However, S. longicaudum was better adapted to cold temperatures and caused higher mortality at $18^{\circ}C$ than S. glaseri. Both nematode species developed to adult at all temperatures, but no progeny production occurred at $13^{\circ}C\;or\;35^{\circ}C$. For S. glaseri, nematode progeny production was best at inocula levels above 20 infective juveniles/host at $24^{\circ}C\;and\;30^{\circ}C$, but for S. longicaudum, progeny production was generally better at $24^{\circ}C$. Steinernema glaseri showed the greatest motility at $30^{\circ}C$, whereas S. longicaudum showed good motility at $24^{\circ}C\;and\;30^{\circ}C$. Both bacterial species grew at all tested temperatures, but Xenorhabdus sp. was more virulent at low temperatures $(13^{\circ}C\;and\;18^{\circ}C)$ than X. poinarii.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의 냉동저장법 (Cryopreservation of the Entomopathogenic Na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 이승화;김용균;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9-152
    • /
    • 2000
  • 곤충변원성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의 감염태 유충에 대한 액체질소( $-190^{\circ}C$)냉동 저장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냉동보관 전처리 과정 및 저장기간에 따른 선충생존율과 감염력 변이를 조사하였다. 냉동저장 전에 22% 글리세롤로 선충은 6, 12,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70% methanol($0^{\circ}C$)안에 10분간 유지하였다. 글리세롤과 methanol에 넣어 둔 샘플을 0,85% 식염수에 넣어 24시간 유지한 후 생존능력을 측정하였다. 글리세롤 배양시간에 따른 선충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으나, methanol처리에서는 글리세롤 처리 시간이 길수록 선충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 냉동저장에 따른 선충의 생존율은 글리세롤 배양시간이 짧았던 처리(6시간)를 제외하고는 5개월 동안 평균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냉동저장 되었던 선충의 곤충감염율은 저장기간에 관계없이 90% 이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곤충병원선충이 냉동저장에 의해 장기간보존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 PDF

벼 물바구미의 방제를 위한 곤충 병원성 선충 및 공생박테리아의 야외포장시험

  • 박선호;박재성;조한규;남민희;박노봉;임상종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14-917
    • /
    • 2001
  • 곤충병원성 선충인 S. carpocapsae에 대한 벼 물바구미의 field와 바프에서의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표준처리구의 경우 부처리군에 비해 71%의 방제가를 보였으며, 2배처리구의 경우 74.2%의 방제가를 보였다. 바트에 처리한 경우에도 표준처리구의 경우 79.3%의 방제가를 보였으며, 2배처리구에서는 84.5%의 방제가를 보였다. 또한 공생박테리아인 Xenorhabdus spp.에 대한 바트에서의 벼 물바구미에 대한 선충의 방제가를 확인한 결과 무처리군에 비해 공생박테리아을 10mL 처리한 구에서는 33.3%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60mL의 공생박테리아를 처리한 구에서는 58.3%의 방제가를 보였다.

  • PDF

접종농도가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arenarium (Nematoda: Steinernematidae)의 병원성과 발육 증식 및 체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oculation Concentration on Pathogenicity, Development, Propagation and Body Length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arenarium (Nematoda: Steinernematidae))

  • 한건영;이동운;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61-67
    • /
    • 2010
  •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arenarium의 접종농도가 병원성, 발육, 증식 및 체장에 미치는 영향을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노숙유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병원성은 S. arenarium의 접종농도를 증가시킬수록 높아졌는데, 5마리 접종농도에서는 82%의 치사율을 보였고, 10마리 이상의 접종농도에서는 98%이상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기주체내에 정착한 선충수는 5, 10, 20, 40마리 접종농도에서는 각각 2.7, 5.0, 7.4, 12.2마리였으며 80마리와 160마리 접종농도에서는 24.3마리와 40.2마리였다. 접종농도는 암컷의 평균 체장(4,616 to 6,444 ${\mu}m$)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수컷의 체장(1,600 to 1,934 ${\mu}m$)에는 영향을 주었으며 왜화 암컷(stunted female)의 발생은 80마리와 160마리 접종농도에서 각각 70.2%와 63.7%로 높게 나타났다. 5, 10, 20, 40, 80, 160마리의 접종농도에서 증식수는 각각 20,431, 26,696, 47,943, 50,516, 58,701, 74,235마리였다 S. arenarium의 침입태 유충의 체장은 접종농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 636~1,496 ${\mu}m$ 범위였다.

양송이버섯 재배사에서 Steinernema carpocapsae를 이용한 긴수염버섯파리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the Sciarid Fly, Lycoriella mali (Diptera: Sciaridae) Using Steinernema carpocapsae in a Button Mushroom Cultivation House)

  • 최용석;서화영;황인수;이대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55-359
    • /
    • 2018
  • 양송이 버섯재배 시 발생하는 긴수염버섯파리(Lycoriella mali)의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제를 위하여 곤충병원성 선충인 Steinernema carpocapsae를 이용하였다.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두 제품의 농도는 각각 $m^2$$6{\times}10^4$$2.5{\times}10^5$이었다. 양송이 버섯시설 내 버섯배지와 상토에서의 긴수염버섯파리 유충 밀도를 조사한 결과 각각 $30cm^2$ 내 평균 마리 수는 0.8마리와 22.2마리로 상토에서 주로 서식하였다. S. carpocapsae 1회 처리 후 방제효과는 처리 14일 후에 가장 높았다. S. carpocapsae $6{\times}10^4$ 농도 제품의 2회 처리에 따른 긴수염버섯파리 방제효과는 51.9%였으며 $2.5{\times}10^5$ 농도 제품의 2회 처리 후 방제효과는 96.8%로서 $2.5{\times}10^5$ 농도가 $6{\times}10^4$ 농도 보다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살충제인 diflubenzuron 수화제의 방제효과는 50% 이하로 낮은 수준이었다.

곤충병원성 선충(Steinernematid와 Heterorhabditid)을 이용한 시설재배지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with Korean Isolates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tid and Heterorhabditid) in Greenhouse)

  • 김형환;조성래;이동운;전흥용;박정규;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1-209
    • /
    • 2006
  •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엽채류 재배지역에 발생하여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배추좀나방을 환경친화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토양에서 분리한 steinemematid 선충과 heterorhabditid 선충, 5계통을 이용하여 실내 petri dish, pot 및 엽채류 재배 온실에서 병원성과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곤충병원 성 선충 5계통의 배추좀나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를 조사한 결과, 선충의 계통과 배추좀나방의령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반수치사농도는 Steinernema carpocapsae GSN1(GSN1) 계통이 배추좀나방 2$\sim$4령충에서 2.6$\sim$3.9마리로 가장 낮았다. 배추좀나방에 대한 pot에서의 병원성 실험결과도 선충의 계통, 처리농도, 처리횟수 및 엽채류의 종류에 따라차이가 있었다. 병원성이 가장 높았던 선충은 GSN1계통이었고, Steinernema 계통 선충들이 Heterorhabditis 계통 선충들보다 높았다. 선충의 처리회수에 따른 배추좀나방의 유충 치사율에서는 선충의 계통과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1회 처리보다 2회와 3회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높았다. 배추, 양배추, 케일, 적겨자, 쌈추 및 잎브로콜리에 발생하는 배추좀나방에 곤충병원성 선충을 처리한 결과 배추, 쌈추, 적겨자에서는 방제효과가 높았으나, 양배추, 케일, 잎브로콜리에서는 효과가 낮았다. 시설 내 배추, 양배추 및 케일 포장에서 GSN1, GSNUS-14 및 Heterorhabditis GSNUH-1 계통의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한 방제효과는 선충 계통, 처리농도, 처리회수 및 엽채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선충 계통 간에는 GSN1이 방제효과가 높았고, 처리농도에서는 m$^2$2당 100,000마리(720,000마리/7.2 m$^2$=$1\times10^9$마리/ha)가 다른 두 농도처리보다 높았다. 처리회수에서는 3회 처리가 1회와 2회 처리보다 높았고, 엽채류 종류에 따라서는 배추가 양배추나 케일보다 논았다.

Parti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xtracellular Protease from Xenorhabdus nematophilus a Symbiotic Bacterium Isolated from an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glaseri

  • Chae Young-Rae;Ryu Keun-Garp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5호
    • /
    • pp.379-382
    • /
    • 2004
  • Entomopathogenic nematodes are used for insect control. Herein, an extracellular protease was partially purified from a culture supernatant of Xenorhabdus nematophilus, a symbiotic bacterium of an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glaseri: using precipitation with $80\%$ v/v isopropyl alcohol follow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with a packed Sephacryl S-300 HR media. The partially purified protease exhibited maximal activity at pH 7 in the presence of 1 mM $CaCl_2$. The protease was identified as a metallo-protease based on the inhibition of its activity by the metal chelating agent, EDTA.

농약이 곤충병원성 선충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queous Solutions of Pesticides on Survival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 이동운;추호렬;최은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13-222
    • /
    • 1999
  • The toxic effects of four pesticides on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s.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NC strain, Steinernema glaseri NC and Dongrae strain were tested by checking the mortality of infective juveniles(Ijs) in aqueous solution of pesticide. Mortality of Ijs was influenced by pesticide and concentration and soaking time. The herbicide alachlor and insecticide fenitrothion were toxic to Ijc of three entomopathogenic nematodes. But, the fungicides mepronil and tolclofos-methyl were nontoxic to Ijs. Tolclofos-methyl showed significantly very week toxicity at 28 days after soaking for S. glaseri NC strain. H. bacteriophora NC strain was more highly sensitive to high temperature condition then were the other nematod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