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am humidifica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반도체 클린룸용 증기가습 및 수분무가습 외기공조시스템의 에너지소비량 평가 (An Assessment of Energy Consumption in Steam-Humidification- and Water-Spray-Humidification-Type Outdoor Air Conditioning Systems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lean Rooms)

  • 김기철;송근수;김형태;유경훈;신대건;박덕준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55-63
    • /
    • 2013
  • For a large-scal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lean room, the energy consumed in an outdoor air conditioning system to heat, humidify, cool and dehumidify incoming outdoor air is very large. In particular, the energy requirement to humidify outdoor air in the winter season is generally known to be high. Recently, in order to overcome the high energy consumption nature of a steam generator in a conventional steam humidification type outdoor air conditioning system, an air washer is often introduced instead of the steam generator in the outdoor air conditioning system, which can be called a water spray humidification type outdoor air conditioning system. Therefore, the assessment and comparison of the annual energy consumed in the steam humidification type and the water spray humidification type outdoor air conditioning systems deserves to be examined in order to reduce the outdoor air conditioning load of a clean room. In the present study, a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obtain the annual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two outdoor air conditioning systems. It was shown from the comparison of the numerical results that the water spray humidification type outdoor air conditioning system can reduce about 30% of annual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steam humidification type outdoor air conditioning system.

반도체 클린룸용 증기가습 및 수분무가습 외기공조시스템의 에너지소비량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Energy Consumption in Steam-Humidification- and Water-Spray-Humidification-Type Outdoor Air-Conditioning Systems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lean Rooms)

  • 김형태;송근수;김기철;유경훈;손승우;신대건;박덕준;권오명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12호
    • /
    • pp.1249-1255
    • /
    • 2011
  • 최근의 반도체 제조용 대규모 클린룸에서는 도입 외기를 가열가습 및 냉각감습하는 외기공조시스템의 에너지소비량이 클린룸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체 공조에너지의 약 45 %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동기(겨울철)의 경우 외기를 가습하기 위한 에너지소비량은 매우 높다. 따라서 에너지절감을 통한 제조비용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외기부하와 관계되는 공조에너지의 사용효율 증대 및 철저한 사용합리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반도체 클린룸용 외기공조시스템의 핵심 가습방식인 증기가습과 수분무가습 방식에 대한 소비전력량을 분석하는 것은 에너지절약적 측면에서 상당히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극봉식 가습기에 의한 증기가습방식 및 에어와셔에 의한 수분무가습방식 외기공조시스템들의 공조프로세스 및 소비전력량을 외기량 1000 $m^3$/h의 경우 기흥지역의 동기 및 하기의 피크부하에 대해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들로부터 에어와셔 수분무가습 외기공조시스템이 전극봉식 증기가습 외기공조시스템보다 연간 소비전력량이 적어서 에너지절약적임을 보여주었다.

반도체 클린룸용 외기공조시스템의 수분무 가습을 이용한 에너지절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ergy Reduction in an Outdoo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leanrooms Using Water Spray Humidification)

  • 송원일;김기철;유경훈;신대건;태경응;김용식;박덕준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5-77
    • /
    • 2017
  • In recent large-scal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leanrooms, the energy consumption in outdoor air conditioning (OAC) systems to heat, humidify, cool and dehumidify outdoor air(OA) represents about 40~50 % of the total cleanroom power consumption required to maintain cleanroom environment. Therefore, the assessment of energy consumption in outdoor air conditioning systems is essential for reducing the outdoor air conditioning load for a cleanroom. In the present study, an experiment with an outdoor air flow rate of $1,000m^3/h$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nergy consumption in steam humidification, simple air washer, exhaust air heat recovery type air washer and dry cooling coil(DCC) return water heat recovery type air washer OAC systems. Besides, a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nual energy consumption of the aforementioned four OAC systems. It was shown that the simple air washer, exhaust air heat recovery type air washer and DCC return water heat recovery type air washer OAC systems using water spray humidification were more energy-efficient than the steam humidification OAC system. Furthermore the DCC return water heat recovery type air washer OAC system was the most energy-efficient.

막가습기와 공기극 재순환을 사용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가습특성 해석 (Study on PEM-Fuel-Cell Humidification System Consisting of Membrane Humidifier and Exhaust Air Recirculation Units)

  • 변수영;김범준;김민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4호
    • /
    • pp.337-344
    • /
    • 2011
  •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에서 공급 기체의 가습은 연료전지의 효율과 수명 향상 측면에서 필수적이다. 기존의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가습 방법으로 물 분사나 막가습기, 엔탈피 휠 등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외부 가습 방법은 시스템 부피를 크게 하고 고출력 구간에서 가습량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가습 장치의 효율과 전체 연료전지 시스템 효율을 높이려면, 연료전지의 고온다습한 배출기체로부터 열과 수분을 회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의 고온다습한 배출공기를 재순환하여 공급공기를 1 차로 가습하고 소형의 막가습기로 2 차 가습하는 복합가습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최적의 가습 시스템 설계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습증기 투입 조건에 따른 가습용 중공사막 튜브 수분 투과 특성 (Moisture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Hollow Fiber Membrane Tube for Humidification According to Input Conditions of Wet Steam)

  • 채종민;유상석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620-626
    • /
    • 2018
  • Recently, fuel cell field is receiving much attention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in the world. Among the various types of fuel cells, in the case of PEMFC, ions move through the membrane in the middle of the unit cell. Therefore, proper moisture is required inside the PEMFC. In the case of membrane type humidifier, flat membrane or hollow fiber membrane is mainly used. Since various parameters can change the performance, the performance investigation has to be carried out with parameters. In this study, water transport of hollow fiber membrane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principle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flow rate.

편백잎추출수의 실내 가습시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Humidifier with Using Hinoki Cypress Extracts)

  • 이민;박상범;이상민;이희영;길덕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747-757
    • /
    • 2014
  • 건축재료와 생활용품으로부터 방출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들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 속에 피톤치드에 대한 효능이 알려지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피톤치드를 다량 함유한 편백잎 증류추출수의 가습시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출특성을 GC-MS를 이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편백잎추출수 가습시 115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화합물들은 aromatic compound, terpenoid, alkane, ketone, ester, aldehyde, alcohol, acid, miscellaneous compound류로 분류하였으며 aromatic compound류(13종, 38%)와 terpenoid류(23종, 33%) 화합물이 다른 화합물류에 비해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다. Aromatic compound류 경우 편백잎추출수에 의한 추가 화합물은 검출되지 않아 그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terpenoid류 경우 편백잎추출수 가습시 10% 정도 증가하였고 7종의 화합물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편백잎추출수 가습시 방출된 terpenoid류 화합물들은 항균, 방충, 방부 효력뿐만 아니라 항고혈압성과 항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건강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가습 방식에 따른 가습입자의 평균 입경 및 활착촉진 시스템 내의 상대습도 분포 (Mean Size of Droplets Ejected from Humidifier and Distributions of Relative Humidity As Affected by Different Humidifying Methods in Graft-taking Enhancement System)

  • 박현수;최유화;김용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16
    • /
    • 2003
  • 접목묘의 활착촉진을 위해서 활착촉진 시스템 내의 상대습도가 90% 이상으로 균일하게 조절되어야 하는바,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가습기와 전극봉식 가습기를 이용하여 상대습도를 조절할 때 가습방식에 따른 가습입자의 평균 입경과 활착촉진 시스템 내의 상대습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초음파 가습기와 전극봉식 가습기로부터 발생된 가습 입자의 평균 입경은 각각 7.58$\pm$0.14, 9.01$\pm$0.06 $\mu$m로 나타났다. 한편 가습기 토출구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가습 입자의 크기가 조금씩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가습기에서 발생된 입자가 토출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입자가 서로 결합되어 가습입자의 크기가 조금씩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활착촉진 시스템 내의 상대습도를 90%로 설정한 조건에서 초음파 가습기와 전극봉식 가습기를 사용하였을 때 0.4, 1.1, 1.8 m 높이에서의 상대습도는 초음파식의 경우 각각 92.1$\pm$5.3, 90.9$\pm$5.6, 89.7$\pm$6.8%, 전극봉식의 경우 각각 93.4$\pm$5.4, 90.7$\pm$5.9, 89.3$\pm$7.0%로 나타났다. 초음파 가습기에서 발생된 가습 입자가 전극봉식에 비해서 다소 작기 때문에 부유가 쉽게 이루어져 시스템 내에서 상대습도의 공간 분포가 균일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