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tus of fertilizer application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2초

지상 원격탐사의 농업적 활용 (Agricultural Application of Ground Remote Sensing)

  • 홍순달;김재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2-103
    • /
    • 2003
  • Research and technological advances in the field of remote sensing have greatly enhanced the ability to detect and quantify physical and biological stresses that affect the productivity of agricultural crops. Reflectance in specific visible and near-infrared regions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have proved useful in detection of nutrient deficiencies. Especially crop canopy sensors as a ground remote sensing measure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from nearby surfaces such as leaf tissue or soil and is in contrast to aircraft or satellite platforms that generate photographs or various types of digital images. Multi-spectral vegetation indices derived from crop canopy reflectance in relatively wide wave band can be used to monitor the growth response of plant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where NDVI = (NIR-Red)/(NIR+Red), was originally proposed as a means of estimating green biomass. The basis of this relationship is the strong absorption (low reflectance) of red light by chlorophyll and low absorption (high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in the near infrared (NIR) by green leaves. Thereafter many researchers have proposed the other indices for assessing crop vegetation due to confounding soil background effects in the measurement. The green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GNDVI), where the green band is substituted for the red band in the NDVI equation, was proved to be more useful for assessing canopy variation in green crop biomass related to nitrogen fertility in soils. Consequently ground remote sensing as a non destructive real-time assessment of nitrogen status in plant was thought to be useful tool for site specific crop nitrogen management providing both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Soil Mineral Nitrogen Upteke and Com Growth from Hairy Vetch with Conventional and No-Tillage Systems

  • Seo, Jong-Ho;Lee, Ho-J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381-387
    • /
    • 2003
  • Winter hairy vetch (HV) can be used as green manure with conventional tillage system (CT), in which chemical N fertilizer required for cultivation of sub-sequent com could be fully saved, or as cover crop with no-tillage system (NT) in which soil could be protected from erosion, control of weed, and the reduction of N fertilizer application.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enrichment of soil mineral nitrogen (SMN) at corn root zone, and the changes of com growth and N uptake according to HV amounts (winter fallow, above-ground HV removed, intact HV, and HV added from aboveground HV removed) under two tillage systems in the upland field of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Suwon, Korea in 1996. HV cultivation during winter decreased SMN a little at com planting. HV incorporation with CT increased SMN rapidly during early growth stage according to rapid decomposition of Hv. SMN by HV cover with NT was increased slowly and its increase was higher in the surface soil (soil layer 0-7.5cm) compared to deep soil layer 7.5-22cm. Com growth and N status at corn silking stage, com yield and N uptake at harvest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aboveground HV amounts regardless of tillage system. Average hairy vetch nitrogen (HV-N) uptake efficiency by com was 10% higher with CT than with NT in which average HV-N uptake efficiency was 43 %. Corn yield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tillage systems, but corn N uptake was increased by 33 kgN/ha more with CT than with NT due to the increase of corn N concentration. The increase of SMN and com N uptake from HV cover with NT could not be disregarded though those with CT were higher than with NT

사과 및 배 과수토양(果樹土壤)의 비옥도구분(肥沃度區分)에 의한 시비기준(施肥基準) 설정(設定) (Fertility and Rate of Fertilizer Application for Orchard Soils of Apple and Pear)

  • 이춘수;이주영;이용재;신재성;한기학;김동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3-110
    • /
    • 1993
  • 안성군(安城郡) 소재(所在) 과수(果樹)(사과, 배) 주산단지 토양(土壤)에 대한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사과 112, 배 369 농가(農家)를 대상(對象)으로 주간(株間) 중간지점(中間地點)의 토양(土壤)을 채취분석(採取分析)하였으며, 또한 토양분석(土壤分析) 성적(成積)에 의하여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를 구분(區分), 시비처방(施肥處方) 기준(基準)을 검토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과수(果樹) 주산단지 토양(土壤)의 화학성분(化學成分) 함량(含量)은 전체 조사농가(調査農家)에 대하여 잠정적(暫定的)으로 정(定)한 적정수준(適正水準)의 비율(比率)은 토양성분(土壤成分)에 따라 12.7~49.6%에 불과하여, 대부분의 과수원(果樹園)이 개량(改良)을 요(要)하는 부적지(不適地)이었다. 2. 토양층위별(土壤層位別)로 화학성분(化學成分)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을 포함한 대부분의 성분(成分)에서 층위(層位)가 깊어짐에 따라서, 또한 생육(生育)이 불량(不良)하여 수량(收量)이 적은 토양(土壤)에서는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이 감소(減少)되는 경향이었다. 3. 동일(同一)한 토양(土壤) 및 시비관리(施肥管理)를 하는 지역(地域)에서는 표층토(表層土) 20cm 깊이의 토양성분(土壤成分) 함량(含量)으로 심층토(深層土)(21-80cm) 성분함량(成分含量)의 추정(推定)이 가능하였다. 4. 배 수량(收量)과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 및 치환성석회(置換性石灰) 함량(含量)과는 단순(單純) 및 다중회귀(多重回歸) 관계(關係)가 성립(成立)되어 이들 성분(成分)이 수량(收量)에 관계가 큰 인자(因子)임을 알았다. 5. 토양(土壤) 화학성분(化學成分) 함량(含量)의 전체(全體) 평균치(平均値), 분포비율(分布比率), 시비권장량(施肥勸奬量) 등(等)을 참고(參考)하여 비옥도(肥沃度)를 고(高), 중(中), 저(低)로 구분(區分), 3 요소(要素)와 유기물(有機物)의 시비처방기준(施肥處方基準)을 설정(設定)하였다. 6. 토양(土壤)성분 함량(含量)에 의한 시비처방(施肥處方) 결과(結果)를 481 농가(農家)에 적용(適用)한 결과(結果), 농가(農家) 관행시비량(慣行施肥量)에 비하여 질소(窒素) 7.1~7.7 kg/10a, 인산(燐酸) 0.8~11.5 kg/10a, 가리(加里) 7.1~19.9 kg/10a의 절감(節減)이 가능 하였으나, 유기물(有機物)은 오히려 증시(增施)가 필요하였다.

  • PDF

우리나라 주요 산약 재배지 GAP와 관련된 재배환경 실태 (Cultivation Environment in Relation to Good Agricultural Practices in the Major Cultivation Area of Disocorea batatas)

  • 조재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290-295
    • /
    • 2011
  • 본 연구는 산약(Disocorea batatas)을 대상으로 토양 및 관개용수의 질 평가, 화학비료 및 퇴비의 사용실태 그리고 잡초 및 병해충 실태에 대한 현장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생산단계에서 good agriculture practices (GAP) 기반조성에 유용한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약 재배지 토양과 관개용수 중 카드뮴, 납, 구리 및 아연 모두 자연함유량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산약재배지 관개용수 가운데 총질소는 대부분의 조사지점에서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나 총인은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산약 재배지에 화학비료와 퇴비가 복합적으로 과량 투입되고 있음이 현장 설문조사에서 나타나 최적의 양분종합관리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약 재배지에서 우점 잡초는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쇠비름(Portulaca oleracea) 그리고 깨풀(Acalypha australis)로 나타났으며, 제초제 처리횟수는 1년에 2회 처리가 가장 많았고, 일부 농가에서는 4회까지 처리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산약 재배지에서 병해는 탄저병과 잎마름병이 주로 발생하였고, 해충으로는 응애가 주로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병해충 방제 목적으로 살충제나 살균제를 연 4~5회 처리하고 있었다. 산약의 안전성과 지속적인 농업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화학비료와 농약의 저투입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유기농업에 의한 우수 산약의 재배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Yield Response of Bushbean (Phaseolus vulgaris L.) to Doses of Fertilizers and Sowing Times in Bangladesh

  • Ullah M.J.;Hossain H.M.M. Tariq;Baqque M.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491-496
    • /
    • 2006
  • The present study was initiated to explore the yield potential of bushbean by exploiting the interaction of variety, sowing time, and fertilizers containing N, P, and K Two varieties namely BARI Bushbean 1 and BARI Bushbean 2, three levels of fertilizer viz. control ($N_{0}P_{0}K_{0}$), medium ($N_{20}P_{30}K_{30}$), high ($N_{40}P_{60}K_{60}$) and three sowing times (November 15, December 1 and December 15) were considered as treatment variables. Among the varieties, BARI Bushbean 2 always showed better performance for most of the yield and yield attributes duly attributed by the application of fertilizers ${\circleda}$ N: P: K = 40: 60: 60 respectively. The highest seed yield (1375.17 kg/ha) was recorded when the crop was sown on the $15^{th}$ November with the supplemented soil nutrition status as above. The influence of sowing times indicate that there is a gradual trend of decreasing in seed yield and other associated parameters after first sowing ($15^{th}\;Novemb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ulti-locational trial under varied sowing times with soil nutrition might potentially increase the long-term adaptation of bushbean in Bangladesh.

여천군(麗川郡) 지역(地域)의 황금재배실태(黃金栽培實態) (The Current Status of Cultivation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in Yeocheon, Korea)

  • 권병선;김광모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8-181
    • /
    • 1996
  • 황금재배실태(黃金栽培實態)와 문제점(問題點)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주산지(主産地)인 전남(全南) 여천군(麗川郡) 화양면(華楊面)에서 5년간(年間) 재배(栽培)한 결과(結果)를 대상(對象)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맥후작(麥後作) 황금직파재배시(黃金直播栽培時) 제초제(除草劑) 전용약제(專用藥劑) 개발(開發)이 시급(時急)하다(현재(現在)로서는 인력(人力)으로 제초작업(除草作業)이 이루어 지고 있으므로 노동력(勞動力)이 부족(不足)하다) 2. 조숙다수성(早熟多收性) 보리품종(品種) 개발(開發)이 시급(時急)하다. 3. 내병다수성(耐病多收性) 양질(良質)의 황금품종육성(黃金品種育成)이 시급(時急)하다. 4 병충해방제(病蟲害防除)는 농업(農業)의 사용(使用)이 아닌 영양요구시비(營養要求施肥)와 유기농법(有機農法)에 의한 내병충성(耐病蟲性) 재배법개선연구(栽培法改善硏究)가 시급(時急)하다.

  • PDF

승주지역(昇州地域)의 택사(澤瀉) 재배현황(裁培現況) (The Current Status of Cultivation of Alisma plantago L. in Seung-Ju, Korea)

  • 박희전;정병관;임준택;권병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02-204
    • /
    • 1993
  • 택사(澤瀉) 재배실태(載培實態)와 문제점(問題點)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산지(主産地)인 전남(全南) 승주군(昇州郡) 해용면(海龍面)에서 6년간(年間) 재배(栽培)한 결과(結果)를 대상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택사(澤瀉) 육묘시(育苗時) 제초제(除草劑) 전용(傳用) 약제(藥劑) 개발(開發)이 시급(時急)하다. (현재(現在)로서는 인력(人力) 이용(利用)을 하고 있으나 노동력(勞動力)이 문제(問題)가 된다. ) 2. 벼 극조생종(極早生種) 양질미(良質米) 수도(水稻) 품종(品種) 개발(開發)이 시급(時急)하다. 3. 택사내병(澤瀉耐炳) 다수성(多收性) 양질(良質) 품종(品種) 육성(育成)이 시급(時急)하다. 4. 병충해(病蟲害) 방제(防除)는 농약(農藥)의 사용(使用)이 아닌 영양요소시비(營養要素施肥)와 유기농법(有機農法)에 의한 내병충성(耐炳蟲性) 재배법(裁培法) 개선(改善) 연구(硏究)가 시급(時急)하다.

  • PDF

땅콩재배지(栽培地) 토양(土壤)의 특성(特性)과 삼요소(三要素) 시비반응(施肥反應) (Yield Response of NPK Fertilizers and Soil Fertility Status of Farmers' Field for Peanut)

  • 신철우;이강만;이춘수;박준규;고재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97-303
    • /
    • 1985
  • 땅콩에 대(對)한 삼요소(三要素)의 시비효과(施肥效果)와 땅콩 재배지(栽培地) 농가포장(農家圃場)의 토양비옥도상태(土壤肥沃度狀態)를 파악(把握)하여 토양개량(土壤改良)과 합리적(合理的) 시비(施肥)를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삼개년간(三個年間)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땅콩에 대(對)한 삼요소(三要素)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은 $N-P_2O_5-K_2O$ 각각(各各) 8.6-10.9-10.4kg/10a 이었다. 2.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의 각(各) 결제구(缺除區)에 대(對)한 시비효과(施肥效果)는 각각(各各) 23, 8, 16%,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의 시비효율(施肥效率)은(비료각성분(肥料各成分) kg당(當) 증수량(增收量))은 각각(各各) 6.0, 1.8, 3.4kg이었다. 3. 땅콩 재배(栽培)를 위(爲)한 토양중(土壤中) 적정(適正) 유효인산(有效燐酸) 및 치환성가리함량(置換性加里含量)은 각각(各各) 250ppm, 0.8me/100g로 추정(推定)되었다. 4. 땅콩 재배농가포장(栽培農家圃場)의 토양옥비도(土壤沃肥度) 조사결과(調査結果) 토양중(土壤中) 유효성분함량(有效成分含量)의 대부분이 적정함량(適正含量) 범위(範圍)에 크게 미달(未達)되었다.

  • PDF

지상원격측정 센서를 이용한 벼의 생체량 및 질소 영양 평가 (Evaluation of Biomass and Nitrogen Status in Paddy Rice Using Ground-Based Remote Sensors)

  • 강성수;공효영;정현철;김이현;홍석영;홍순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954-961
    • /
    • 2010
  • 지상원격측정 센서 반사율 지표는 비파괴적으로 실시간으로 빠르게 생육 중 작물의 생체량, 질소 스트레스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도구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질소 시비량 수준별로 재배된 벼 (Oryza sativa L.)의 질소흡수량, 생체량 및 수량과 지상원격측정센서 반사율 지표들의 상호관계로부터 효율적인 반사율 지표를 선발하고 반사율 지표를 통한 벼 생육 중 질소시비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질소시비수준 0, 70, 100, 130 kg N $ha^{-1}$별로 처리된 시험구의 캐노피 반사율을 여러 종류의 수동형과 능동형 지상원격측정 센서로 각 생육시기별로 측정하였고 생체량과 질소흡수량 및 수량을 조사하여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수동형 센서보다는 능동형 센서가 생육시기별 벼의 지상부 건물중, 수량, 질소농도 및 질소흡수량과 더 밀접한 상관을 나타냈으며 생육 후반으로 갈수록 상관계수 크기는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P<0.01 수준이 계속 유지되었다.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인 반사율 지표는 Crop Circle-active 센서로 측정한 NIR/Red, NIR/Amber 지표였다. 특히 이삭거름 시비시기인 7월 중순의 Crop Circle 센서로 측정한 NIR/Red, NIR/Amber 지표는 건물중, 엽면적 지수와 상관계수 0.92 이상의 고도로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관계 (P<0.01)를 보였다. NIR/Red와 NIR/Amber 지표로 계산한 충족지수의 시비수준에 대한 회귀에서 회귀곡선은 충족지수 변동의 91%와 92%를 각각 설명하였다. 따라서 7월 중순~8월 초에 측정한 반사율지표의 충족지수는 실시간에 비파괴적으로 시비수준을 예측하여 위치별로 변량적인 질소시비량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Managing Within-Field Spatial Yield Variation of Rice by Site-Specific Prescription of Panicle Nitrogen Fertilizer

  • Ahn Nguyen Tuan;Shin Jin Chul;Lee Byun-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38-246
    • /
    • 2005
  • Rice yield and protein content have been shown to be highly variable across paddy fields. In order to characterize this spatial variability of rice within a field, two-year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2002 and 2003 in a large-scale rice field of $6,600m^2$ In year 2004,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know if variable rate treatment (VRT) of N fertilizer, that was prescribed for site-specific management at panicle initiation stage, could reduce spatial variation in yield and protein content of rice while increasing yield compared to conventional uniform N topdressing (UN, 33kg N/ha at PIS) method. VRT nitrogen prescription for each grid was calculated based on the nitrogen (N) uptake (from panicle initiation to harvest) required for target rice protein content of $6.8\%$, natural soil N supply, and recovery of top-dressed N fertilizer. The required N uptake for target rice protein content was calculated from the equations to predict rice yield and protein content from plant growth parameters at panicle initiation stage (PIS) and N uptake from PIS to harvest. This model· equations were developed from the data obtained from the previous two-year experiments. The plant growth parameters for the calculation of the required N were predicted non-destructively by canopy reflectance measurement. Soil N supply for each grid wa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of year 2003, and N recovery was assumed to be $60\%$ according to the previous reports. The prescribed VRT N ranged from 0 to 110kg N/ha with an average of 57kg/ha that was higher than 33 kg/ha of UN. The results showed that VRT application successfully worked not only to reduce spatial variability of rice yield and protein content but also to increase rough rice yield by 960kg/ha.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for rice yield and protein content was reduced significantly to $8.1\%$ and $7.1\%$ in VRT from $14.6\%$ and $13.0\%$ in UN, respectively. And also the average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in VRT showed very similar value of target protein content of $6.8\%$. In conclusion the procedure used in this paper was believed to be reliable and promising method for reducing within-field spatial variability of rice yield and protein content. However, inexpensive, reliable, and fast estimation methods of natural N supply and plant growth and nutrition status should be prepared before this method could be practically used for site-specific crop management in large-scale ric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