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tistical CFB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무선 통신망 암호동기에 적합한 Statistical CFB 방식의 암호 알고리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 Statistical CFB Encryption Algorithm for Cryptographic Synchronization Metho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박대선;김동수;김영수;윤장홍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419-142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통신 채널의 오류로 인하여 통신 단말간에 서로 송수신되는 정보중에 임의의 비트가 삭제되거나 추가되어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통신이 불가능해지는 경우,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법으로 Statistical CFB 방식의 암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먼저, 비트 삽입 또는 비트 삭제 발생 시 오류 전파의 영향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이론적인 Statistical CFB 암호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한다. 이 경우, Statistical CFB 방식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인 농기 패턴의 길이와 피프백되는 키의 길이를 변화해가며 분석하도록 한다. 또한 이론적인 분석과 함께 실제로 특정 길이의 동기 패턴과 피드백되는 키를 선택한 후, Statistical CFB 방식을 적용한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이론적인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제안된 암호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Screening for diabetes mellitus using gingival crevicular blood with the help of a self-monitoring device

  • Gaikwad, Subodh;Jadhav, Varsha;Gurav, Abhijit;Shete, Abhijeet R.;Dearda, Hitesh M.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3권1호
    • /
    • pp.37-40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compare blood glucose in capillary finger-prick blood and gingival crevice blood using a self-monitoring blood glucose device among patients with gingivitis or periodontitis.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gingivitis or periodontitis and bleeding on probing (BOP) were chosen. The following clinical periodontal parameters were noted: probing depth, BOP, gingival bleeding index, and periodontal disease index.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gingival crevicular blood (GCB) and capillary finger-prick blood (CFB). These samples were analyzed using a glucose self-monitoring device.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in the present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udent's t-test. A r-value of 0.97 shows very strong correlation between CFB and GCB, which was statistically highly significant (P<0.0001). Conclusions: The authors conclude that GCB may serve as potential source of screening blood glucose during routine periodontal examination in populations with an unknown history of diabetes melli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