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vation of hatching larva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6초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어의 기아시 형태변화 (Morphological changes during starvation of larvae of left ey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명정구;김형선;김병기;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0-28
    • /
    • 1992
  • 1990년 3월 한국해양연구소 수조실에서 넙치 수정란을 부화, 사육시키면서 기아시 넙치자어의 형태 변화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넙치자어는 부화 5일째부터 먹이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무급이구는 부화 11일째 100% 사망하였다. 부화 6일째(1일기아) 먹이를 투여하였던 실험구는 급이구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성장을 하였으며, 7일째 이후 먹이를 투여한 실험구에서는 부화 13~14일에 100% 사망하였다. 2. 넙치자어는 기아시 전장, 근절높이, 장 높이가 감소 성장하였으며 이중 장의 높이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3. 정상과 기아개체 사이의 어체 각 부위에 대한 비율중에서 장 높이/근절 높이(GH/MH)가 가장 큰 변화폭을 나타내었으며. 부화 13일 후 정상개체가 0.797, 기아개체는 0.467이었다. 4. 기아상태의 자어는 턱이 뾰족해지며, 쇄골의 아래 끝이 튀어나오고, 장이 가늘게 나타났다.

  • PDF

Influence of starvation on the larval development of the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Diptera: Stratiomyidae)

  • Park, Kwanho;Lee, Heui-Sam;Goo, Tae-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7권2호
    • /
    • pp.100-104
    • /
    • 2018
  • The rearing of black soldier flies in Korea is affected by season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sun light; for this reason, it requires a great deal of effort to rear and maintain black soldier flies during the wint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starvation affects larval development. After hatching the larvae, they were fed for 5 or 10 d and then starved for a certain period to see how they recovered. The length and width of larvae were estimated to be 18.18 to 21.96 mm, 5.19 to 6.04 mm, respectively. Larvae survivorship to the pupal stag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and periods of starvation. The groups of fed for 5 d then starved showed a high survival rate until 20 d starvation and then the survival of larvae rapidly decreased. The survival rate of the larvae was abruptly decreased for 20 d starvation in the groups of fed for 10 d and starved,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until 60 d starvation thereafter. Our research attempted to influence larvae development through starvation and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how to culture the black soldier fly effectively and economically throughout the year.

천잠알의 수시부화 및 최청법 개선 (Improvement of Occasional Artificial Hatching and Incubation Method in Diapause Egg of the Wild Silkmoth, Antheraea yamamai)

  • 윤형주;강필돈;이상몽;김삼은;김기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95-302
    • /
    • 2007
  • 천잠의 연중 실내사육법을 확립하고자 천잠의 의잠절식, 수시부화 및 최청법을 조사하였다. 천잠의 일시소잠을 위하여 의잠을 절식 실험한 결과, $25^{\circ}C$$5^{\circ}C$ 에서 1일간 보호한 4령기잠기 생존율이 각각 83.3% 및 96.0% 로 의잠 절식기간의 보호온도가 낮을수록 생존율이 높았다. 연중 다회사육을 위해 수시부화실험을 한 결과, 천잠알을 2개월 냉장할 경우에는 $5^{\circ}C$가 좋았으나 6개월 이상 냉장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2.5^{\circ}C$또는 $0^{\circ}C$에 보호하는 것이 실용부화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시부화에 적합한 천잠알의 보호조건을 조사한 결과, 관행적 최청방법 ($25^{\circ}C$ 보호)으로는 5-6일 걸리는 천잠알의 부화가 $15^{\circ}C$ 예비최청과 암최청 방법의 도입으로 2일간에 80% 가 부화하는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었다.

Assessment of nutritional condition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larvae and juveniles with special emphasis on metamorphosis and settlement

  • Gwak, Woo-Seok;Masaru Tanaka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76-77
    • /
    • 2003
  •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larvae and early juveniles were reared for 43 days after hatching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starvation during development and metamorphosis. Morphological,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measurements were made to assess the nutritional condition during growth and starvation from pre-matamorphic through post-metamorphic phases. Two groups of fish were compared ; one with sufficient food supply and one under continuous starvation until death. Among morphometric analyses, both ratios of body height at anus/head height and pre-/post-anal lengths appeared to be sensitive to starvation during which substantial reduction was observed within a day of food deprivation. Histological variables as intestinal and rectal epithelial heights and gall bladder volume changed significantly with onset of starvation. The gut epithelial heights of starving fish decreased with advances in starvation, although they fluctuated during mid-metamorphic phase. In contrast, gall bladder volume increased remarkably soon after starvation. Ontogenetic changes in both gut epithelial height and gall bladder volume were evident, those associated with settlement and/or completion of metamorphosis. Abrupt decrease in the RNA/DNA ratios of starving fish were found right after onset of starvation. Even in the fed fish marked fluctuations in its ratios during metamorphosis were observed, evident by decreasing from late-metamorphic to post-metamorphic stag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combination of morphologically and histologically sensitive characteristics, and biochemical measurement could be utilized as a measure to evaluate nutritional condition related to starvation in wild olive flounder larvae and juveniles.

  • PDF

자주복 Takifugu rubripes 자어의 성장 생존 및 섭이율에 미치는 기아의 영향 (Effects of Starvation on Growth, Surival and Feeding Incidence of Tiger Puffer(Takifugu rubripes) Larvae)

  • 한경남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21-528
    • /
    • 1998
  • 자주복 Takifugu rubripes 자어의 섭이상태에 관한 기초 지식을 얻기 위하여 수온 16.5~18.5${\circ}C$ 범위의 급이와 무급이 조건하에서 초기자어의 성장, 생존율 그리고 섭이율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자주복 자어는 부화후 5일 전후에서 난황흡수의 내부영양에서 외부영양으로의 전환이 시작되고, 이 시기에 있어 섭이의 유무는 그후 자어의 성장,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육실험 결과 밝혀졌다. 무급이 자어는 부화후 16일에 전 개체가 사망하나, 초기사망의 출발점은 유구가 흡수되는 부화후 9일(기아 5일)경부터 추측된다. 급이구와 무급이구 자어의 성장을 비교한 결과, 무급이구에서는 부화후 4일경부터 성장이 정지되고, 부화후 7일이후는 성장 감소를 보였다. 기아상태에 놓여있는 자어의 섭이율 변화는 기아일수 경과에 따른 자어의 유영력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자주복 종묘생산시급이 개시시기는 가능한 빨리 결정하는 것이 건강한 종묘의 생산과 높은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기아시 붉바리 자어의 간세포핵 변화 (Influence of Starvation on the Variations of Hepatocyte Nucleus in Larvae of Red Spotted Gruper, Epinephelus akaara)

  • 이창규;박인석;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17
    • /
    • 1998
  • 기아시 붉바리 자어의 생리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부화후 3일부터 5일 동안 자어의 성장 및 간세포핵 크기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자어의 전장 변화는 부화후 4일째까지는 먹이 공급구 및 기아구에 있어 서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부화후 5일째에는 먹이공급구의 경우 전장이 급격히 증가되었고 기아구의 경우는 계속하여 전장이 감소되었다. 자어의 생존률은 먹이공급구의 경우 부화후 3~5일 동안 비교적 안정되었으나, 기아구의 경우는 부화후 4일째부터 생존률이 급격히 감소되기 시작해 부화후 5일째에는 대부분의 자어가 사망하였다. 붉바리 자어의 간세포핵 크기는 기아구 및 먹이공급구 모두 부화후 3일째까지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부화후 4일째 이후부터는 두 구간 사이의 핵 크기의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해, 부화후 4~5일째 간세포핵의 크기는 기아구의 경우가 먹이 공급구 보다 약 1.4~1.9배정도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세포핵의 형태적인 변화는 먹이공급구의 겨우 부화후 3~5일 동안 형태적으로 서로 큰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기아구의 경우는 부화후 4일째부터 간세포핵의 크기가 축소되고 핵의 분포밀도가 높았으며 형태가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부화후 5일째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화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붉바리 자어의 생존을 위해서는 최소한 부화후 4일 이전에 먹이섭취가 가능하도록 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위의 결과는 앞으로 붉바리 종묘생산시 먹이공급시기 조절의 기초자료 및 자어의 영양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X>$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 칼슘, 철분의 섭취량이 권장량 보다 적었다. 특히 철분은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자의 60.1%, 비복용자의 74.1%가 권장량의 2/3 미만을 섭취하였으며, 기타의 비타민.무기질도 권장량의 2/3미만을 섭취하는 대상자가 많았다. 6)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자의 60.8%가 종합비타민을 복용하였으며, 비타민.무기질 보충제를 복용하는 복용하는 이유는 힘을 내기 위해서가 39.9%, 주의의 권유에 의해서 28.3%, 질병의 치료를 위해서 17.4%이다.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비복용자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를 복용하지 않는 이유는 건강하기 때문이 36.0%로 가장 많았으며, 귀찮아서, 식이로 충분히 섭취하기 때문에, 효과가 없어서의 순이었다.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자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에 대한 견해는 효과가 있다. 23.3%, 효과가 없다 18.4%이며, 비복용자는 효과가 있다 16.6%, 효과가 없다 14.4%로 나타났다.갈화로부터 분리된 tectorigenin과 kaikasaponin III는 아급성 알코올 중독된 흰쥐 간의 free radical 생성계 효소를 억제시켜 알코올로 인한 간손상을 회복시키고, 알코올 대사 효소계에 관여하여 해독작용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알코올 해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가열조리 중 capsaicin은 비교적 열에 안정하여 대기하의 $100^{\circ}C\;및\;150^{\circ}C$에서 5시간 가열조리 후 잔존율은 각각 84.7%

  • PDF

점농어 Lateorabrax sp. 초기 발육 단계에 있어서의 기아시 형태 변화-I. 후기 자어기 (Morphological Changes During Starvation in Early Developmental Stages of Spotted Sea Bass, Lateorabrax sp. I. Post-larval Stage)

  • 명정구;박철원;김민석;김종만;강충배;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1
    • /
    • 1997
  • 1996년 11월, 충청남도 보령군 보령화력발전소 내에 있는 실내 부화장에서 점농어의 수정란을 부화, 사육시키면서 절식 1일(부화후 6일째), 2일, 3일, 4일째와 연속 기아시 점농어 자어의 형태 변화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점농어 자어는 부화 5일째부터 먹이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무급이구는 부화 9일째 100%사망하였다. 부화 6일째(1일 기아)먹이를 투여하였던 실험구는 급이구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성장을 하였으며, 7일째(2일 기아) 먹이를 투여한 실험구에서는 부화 후 9일째 5.3%의 생존율을 보였으나, 3~4일 기아구는 부화 10일에 100% 사망하였다. 2. 기아시 점농어 자어의 전장은 정상 먹이급여군보다 감소 성장하였다. 3. 정상 사육 개체와 기아 개체 사이의 체장에 대한 장높이(GH)와 근절높이(MH)의 비값이 다른 형태 형질에 비하여 가장 큰 변화 폭을 나타내었으며, 장높이/근절높이(GH/MH)도 큰 변화폭을 나타내어, 부화 9일 후 정상개체가 0.8, 기아 개체가 0.5이었다. 4. 기아 상태의 자어는 몸통 부분이 가늘어져서 휘어지며, 주둥이가 뾰족해졌고, 쇄골의 아래 끝이 튀어나왔다.

  • PDF

참돔 Pagrus major, 자어(仔魚)의 기아시(飢餓時) 형태(形態) 변화(變化) (Morphological changes during starvation of larvae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 명정구;김종만;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38-148
    • /
    • 1990
  • 1988년(年) 7월(月) 경남(慶南) 통영군(統營郡) 산양면(山陽面) 달아마을의 성지실업(주)(成志實業)(株) 배양장(培養場)의 실내수조(室內水槽)에서 자연(自然) 산란(産卵)된 참돔 수정란(受精卵)을 부화(孵化) 사육(飼育)시키면서 기아시(飢餓時) 참돔자어(仔魚)의 형태변화(形態變化)를 조사하였다. 1. 참돔 부화자어(孵化仔魚)는 부화(孵化) 2일후(日後)부터 먹이(rotifer)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먹이를 투여하지 않았던 실험구(實驗區)에서는 부화(孵化) 5일후(日後) 100%사망(死亡)하였다. 부화(孵化) 3일후(日後)와, 4일후(日後) 먹이를 투여하기 시작하였던 실기구(實騎區)는 부화(孵化) 6일후(日後) 100%사망(死亡)하였다. 2. 참돔자어(仔魚)는 기아시(飢餓時) 전장(全長), 체장(體長), 근절(筋節) 높이와 장(腸) 높이의 부위가 감소 성장하였으며 이중 장(腸) 높이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3. 정상(正常), 기아개체(飢餓個體) 사이의 어체(魚體) 각 부위의 비율(比率) 중 장(腸)높이(GH)/근절(筋節)높이(MH)가 가장 큰 변화(變化) 폭을 나타내어 부화(孵化) 3일후(日後)의 정상개체(正常個體)는 0.597, 기아개체(飢餓個體)는 0.636, 부화(孵化) 5일후(日後)의 정상개체(正常個體)는 0.010, 기아개체(飢餓個體)는 0.306이었다. 4. 부화(孵化) 6일후(日後)의 기아상태(飢餓狀態)의 자어(仔魚)는 턱이 뾰족해지며, 쇄골(鎖骨)의 아래 기부(基部)와 후두부(後頭部)(상쇄골(上鎖骨) 위쪽 기부(基部))가 튀어나오고, 장(腸)이 가늘게 나타났다.

  • PDF

Induced Morphological Changes in Larval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under Starvation

  • Park, In-Seok;Choi, Hee-Jung;Noh, Choong-Hwan;Myoung, Jung-Goo;Park, Hye Jung;Goo, In B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4호
    • /
    • pp.399-407
    • /
    • 2013
  •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reared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from hatching to six days after hatching were examined during the early growth stage under starvation. All the larvae died within five days when feeding was delayed for three days after hatching. These results imply that initial larval food should be supplied within two days of hatching. Changes in the pectoral angle and the ratios of eye height to head height, gut height to standard length, and gut height to myotome height in the rock bream are alternative indicators for the identification of starving fish. These indicators might prove useful in evaluating the successful transition from endogenous to exogenous feeding in this species.

쏘가리 Siniperca scherzeli 자어기에 있어 초기 기아가 체형, 생존율 및 공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layed initial feeding on body form, mortality and cannibalism in larval stages of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li (Teleostei : Centropomidae))

  • 명정구;정철;한명수;김병기;김형배;최희정;김민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69-673
    • /
    • 1999
  • 1997년 7월, 강원도 소양댐에서 채포한 어미로부터 수정란을 받아 부화사육하면서 절식 1일(부화 후 5일째), 3일, 5일 실험구와 무급이구에서 쏘가리 자어의 체형, 생존율 변화 및 공식률을 조사하였다. 쏘가리 자어는 4일째 먹이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7일 절식구와 무급이구는 9일째 (부화 후 12일째) $100\%$ 사망하였다. 절식 1일 실험구에서는 급이구와 유사한 성장을 나타냈으며 3일 절식구는 실험종료일에 $33\%$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기아시 쏘가리 자어는 전상 금이구보다 성장이 느렸으며 지느러미의 발달도 느려졌고 체고 (BD)와 근절 높이 (MH)가 낮아지는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공식은 급이구에 비하여 무급이구나 절식구에서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절식구에서는 1일 최고 $23\%$의 높은 공식률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