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t-Up

검색결과 1,865건 처리시간 0.03초

A Study on the Effects of Small Enterprise Start-up Preparatory Factors on Business Performance

  • Kim, Seung-Hee;Kim, Young-Ki;Choi, Shin-Hea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5호
    • /
    • pp.23-33
    • /
    • 2017
  • Purpose -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mall enterprise start-up preparatory factors and increases in sales and operating profits, which are business performances utilizing the National Survey of Actual Conditions of Small Enterprises conducted by the Small Enterprise, Market Servi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Start-up preparatory factors were divided into six types; business type, start-up history, start-up motives, preparatory periods, and start-up fund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ales and operating profits with regression analyses.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foregoing with a view to identifying the effects of start-up preparatory factors on business performance. Results - Since start-up preparatory factors generally affect business performance, it was identified that start-up preparatory factors importantly affect operating profits and sales, which are business performances. However, start-up preparatory periods and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among preparatory activities were shown to have no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s, and the effect of the ratio of start-up fund provided by the founder on operating profits was shown to be not significant. Conclusions - The present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d those start-up preparatory factors that have positive effects on business performances after start-up.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positive implications for efficient start-up of small enterprises hereafter.

패션디자인관련 학과 내 창업교육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Basic research for designing start up business education in fashion design related departments)

  • 정화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9-100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 of a starting up business in the fashion design related departments of two year college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designing a start up business education and examined the opening status of the start up business subjects. Only 4.4%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an experience in a start up. And 76.2%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like to start up a business after graduation. The initial start up types were "online shopping mall" and "blog market" in that order. Nearly 86.7%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needed "start up" education in college.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would participate if there is a start up extracurricular program, and the subject they would choose, 40.9% answered "I want to get a start up related certification", showing the highest rate of interest in the course. The status of introducing start up business subjects in the regular courses in fashion design related departments in 25 two year colleges related that there were 11 start up related courses begun in the last semester, that is, the 2nd semester of the 2nd year. Since the proportion of clothing in online shopping malls is high, start up education based on the demands of students in fashion design majors can be used as another employment exit strategy.

기술창업교육캠프 참가 대학생의 창업역량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in Start-up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Technology Start-up Education Camp)

  • 전주현;임경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4호
    • /
    • pp.67-72
    • /
    • 2017
  • It was only 2010 when start-up education spread to undergraduate education in South Korea. Start-up education was conducted so late that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f evaluation and feedback on the effectiveness of start-up education. Education is a complex concept of teaching people in a desirable direction and developing their inherent abilities. Based on this, start-up education can be defined as cultivating students' entrepreneurial spirit internally and making them exhibit start-up competence externally by teaching them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necessary for business start-up and developing abilities such as creativity, challenge spirit and problem-solving skills. This study conducted pre and post survey to check if the education camp for the technology start-up, which is a practice-oriented start-up education, has an effect on the change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business start-up. This study would analyze various factors of college students' business start-up through a factorial analysis so that the quantitative accumulation of start-up education can lead to a qualitative change and propose measures for the management of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예비창업자의 개인적 규범과 창업준비 수준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re-entrepreneur's Individual Norm and Start-up Preparation Level on a Start-up Intention: Focusing on a Moderation Effect in Start-up Education)

  • 김서호;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2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예비창업자의 개인적 규범과 창업준비수준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개인적 규범과 창업준비수준이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창업을 계획하는 예비창업자들이 보다 성공적인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유용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위해 k 지역 소재 교육기관과 대학교에서 창업교육을 받은 예비창업자들을 대상으로 2017년 9월 13일에서 2017년 11월 14일까지 설문을 실시한 총 211부에서 통계에 활용이 어려운 11부를 제외한 200부를 최종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SPSS 20.0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개인적 규범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창업준비수준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개인적 규범과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창업교육은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창업준비수준과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창업교육은 조절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집지역을 k지역으로 한정하였기에 연구결과를 전국으로 일반화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나아가 개인적 규범과 창업준비수준 뿐만이 아닌 예비창업자의 창업의지 영향요인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Factors on Satisfaction with Start-up Education and Start-up Intention)

  • 김기홍;김용태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5호
    • /
    • pp.33-41
    • /
    • 2014
  • 최근 들어 창업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창업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아울러 창업교육의 양적인 증가와 더불어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창업교육 방법의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을 교육 콘텐츠 특성, 교육시스템, 멘토 역량으로 분류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창업교육 만족도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중에서 교육 콘텐츠 특성과 멘토 역량이 창업교육의 만족도를 높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성과 시스템은 창업의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확산되고 있는 창업 멘토링 교육에서 우수한 교육 콘텐츠 확보와 멘토 역량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의 창업 멘토링 운영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고 하겠다.

  • PDF

창업준비, 창업지원 및 액셀러레이터 지원활동이 창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A Effects of Start-up Preparation, Start-up Support Policy And Accelerator Support on Business Satisfaction)

  • 이경호;하규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333-34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이들 창업기업의 창업 전 창업준비, 창업기업에 대한 창업지원 및 액셀러레이터 지원활동이 창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창업자 308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주요 실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업준비, 창업지원 및 액셀러레이터 지원활동은 모두 창업기업의 창업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창업준비의 하위요소 중 창업팀준비가 창업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점차 창업생태계에서 민간 창업지원체계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창업에 있어서 창업팀의 구성을 창업만족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보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고 사료된다.

성취욕구와 창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동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Achievement Needs and Entrepreneurship on the Start-up Intention: Focus on Mediation Role of Start-up Motivation)

  • 유봉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3호
    • /
    • pp.51-60
    • /
    • 2015
  • 본 연구는 창업 활성화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발굴하고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혀 보고자, 창업동기를 비롯한 성취욕구와 창업가정신과 같은 창업가적 심리특성을 살펴보았다. 다시 말해서, 창업동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성취욕구 및 창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업보육기관 입주기업의 창업자들로부터 회수한 설문지 181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성취욕구와 창업가정신이 창업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이 두 변수가 창업동기의 선행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유의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이 두 변수의 선 후행관계가 명확히 밝혀졌다. 셋째, 본 연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성취욕구 및 창업가정신과 창업의지 간에 창업동기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다시 말해서, 창업동기가 성취욕구 및 창업가정신으로 하여금 창업의지를 더욱 강화시켜 줄 수 있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성취욕구, 창업가정신, 특히 창업동기와 같은 창업가적 심리특성을 강화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업의지관련 이론적 시사점은 물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BI의 창업기업 성과달성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s Plan to Achieve the Performance of Start-up Companies)

  • 황규일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1호
    • /
    • pp.75-90
    • /
    • 2022
  • 창업은 참신한 아이디어 또는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창업가는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신규로 창업하는 대부분은 창업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창업기업이 성장,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와 대학에서는 창업보육센터(BI)를 운영하고 있다. 목표는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성공률 제고에 있다. 창업기업의 다양한 니즈를 지원하고, 기업이 보유한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업기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BI의 기대효과는 창업의 활성화를 통한 국가경제발전의 기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BI의 효율적인 운영으로 발전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초기 창업기업 창업지원정책의 효과성 분석: 창업업종 및 창업성장단계 조절효과 (Effectiveness Analysis of Startup Support Policy of Early Start-ups: Moderating Effect of the Industry and Growth Stage of the Start-ups)

  • 정경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1호
    • /
    • pp.59-70
    • /
    • 2020
  • 본 연구는 초기 창업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창업지원정책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현재의 창업지원정책에 대한 효과성을 측정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창업지원정책이 초기 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창업기업의 특성으로 창업업종 및 창업성장단계에 따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에 선정된 최근 3년간 창업기업 297개의 실제 테이터를 수집하여, 변수 간 영향력은 다중회귀분석,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성과의 영향 관계 확인 결과, 매출은 창업자금, 창업멘토링, 창업인프라(공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반면 창업교육은 매출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고용은 창업멘토링만이 유의한 영향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창업업종과 창업성장단계의 조절효과 확인 결과, 창업업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창업교육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업종별 매출 관계는 지식서비스는 창업교육이 매출향상에 도움을 주며, 제조는 창업멘토링과 창업인프라(공간) 지원 여부와 관계없이 모두 매출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성장단계별 매출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예비단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창업단계는 창업멘토링 지원, 성장단계는 창업자금 지원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고용은 창업성장단계에 따라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창업기업 대상 창업지원정책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창업기업 특성에 따른 차별적 정책지원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향후 정책적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창업자의 창업준비와 창업실패 부담감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사회적지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Founder's Start-up Preparation and the Burden of Start-up Failure on Start-up Achievement-Focusing on the Social Support Moderating Effect)

  • 한향원;하규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71-19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창업자가 창업을 함에 있어 창업준비를 통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본질적으로 항상 내재되어 있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 요인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 검증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 본 연구는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창업준비와 창업실패에 대한 부담감의 관계에서 미치는 영향력을 증명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현재 창업을 하고 있는 창업자 298명을 표본 추출하여 실증 분석하였으며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창업준비, 창업실패 부담감과 창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증명하였다. 연구 결과 창업준비의 하위 가설인 창업아이템 준비가 창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패에 대한 불안감이 창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상반된 개념의 독립변수가 동시에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창업준비와 창업실패부담감과 창업성과간의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으나, 창업실패 부담감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