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ch spray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1초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공정백수에서의 전분 정량분석 (A Quantitative Analysis of Dissolved Starch in White Water by UV Spectroscopy)

  • 정소현;류정용;김형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37권4호통권112호
    • /
    • pp.38-43
    • /
    • 2005
  • Natural Com Starch(NCS) spray system has been widely used In multiply board mill for the better bonding strength between board layers. However the unsuitable NCS spray system could lead to a drop in plybond efficiency of multiply board. It could also result in the accumulation of unretained-starch in the white water system, which could not only rise in BOD and COD level but also reduce the effects of rosin-alum sizing system and other additives. In this study, the simple and rapid method by UV-spectroscopy for measuring the starch contents in the white water was proposed,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for dissolved starch content in white water was carried out in two kinds of board production process. It could be confirmed that about 150 ppm of oxidized starch was retained in white water dewatered from undertop ply of multiply board process, and about 470 ppm of natural starch was dissolved in white water originated from unsuitable spraying system in the multiply board production lines for cup base paper.

전분 분무기술을 통한 다층지의 물성개선 (Improvement of Multiply Board Properties with Starch Spraying)

  • 이학래;류정용
    • 펄프종이기술
    • /
    • 제39권3호
    • /
    • pp.12-23
    • /
    • 2007
  • Frequently spraying of natural starch slurry onto the formed wet web has been adopted to improve properties of paperboards. This conventional starch spraying technique, however, becomes less effective in strength improvemen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wet web dryness, quantity of starch slurry sprayed, and drying temperature on paperboard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Migration of starch granules into the webs appeared to cause a reduction in plybond strength when the web dryness was lower than this level. Wet webs should contain enough water to swell the starch granules, and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be heated to a temperature high enough for complete cooking of the sprayed starches to occur. This suggested that preheating of the wet web can be employed to improve the plybond strength.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른 옥테닐호박산 쌀전분의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ctenyl Succinated Rice Starches Based on Amylose Content)

  • 정명훈;윤광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77-582
    • /
    • 2012
  • 쌀 전분의 아밀로오스 함량차이에 따른 옥테닐호박산(OSAn) 변성전분의 제조 특성 및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아밀로오스의 함량은 Jinsumi가 15.42%, Milyang 261은 34.21%였으며 전분 추출 후의 Jinsumi가 20.31%, Milyang 261은 39.32%였다. 치환도 및 반응효율은 Milyang 261이 각각 0.0137, 89.89%였으며 Jinsumi는 0.0144, 95.92%로 Jinsumi가 Milyang 261보다 높았다. 점도는 Jinsumi와 Milyang 261이 각각 30.1 cP 및 7.8 cP이었으며 옥테닐호박산을 이용한 변성전분의 경우 240.5 cP 및 162.6cP으로 상승하였다. 변성전분의 유화안정성은 두 품종 모두 대체적으로 안정하였으며 특히 Jinsumi는 높은 유화안정성을 보였으며, 변성전분을 부형제로 이용하여 미세캡슐화한 후의 코팅효율은 Jinsumi가 65.70-73.54%, Milyang 261이 29.45-36.98%로 나타나 분무건조를 통한 미세캡슐 효율은 Jinsumi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분무건조를 통한 미세캡슐화의 피복물질 소재로서 변성을 통한 쌀 전분이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Jinsumi가 Milyang 261에 비하여 높은 활용도를 가질 것이라 판단된다.

Effect of Chitosan Addition on the Surface Properties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Paper

  • Ashori Alireza;Raverty Warwick D.;Harun Jalaluddin
    • Fibers and Polymers
    • /
    • 제6권2호
    • /
    • pp.174-179
    • /
    • 2005
  • The present paper studies the effect of chitosan, cationic starch and polyvinyl alcohol (PVA) as sizing agents to enhance surface properties of kenaf paper. The polymers were incorporated into the sheets by spray application. Th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the addition of chitosan to a sheet formed from beaten fibers had excellent improvement in surface properties, compared to the effect of other additives. Sizing quality of cationic starch fairly matched with the sizing quality of chitosan, however, it was able to reduce the water absorption potential of paper more than chitosan at a same concentration. In most other properties, particularly the most important property for printing papers, surface smoothness, chitosan-sized papers are superior to the paper sized with cationic starch or PVA.

Phytase Production by Rhizopus microsporus var. microsporus Biofilm: Characterization of Enzymatic Activity After Spray Drying in Presence of Carbohydrates and Nonconventional Adjuvants

  • Sato, Vanessa Sayuri;Jorge, Joao Atilio;Oliveira, Wanderley Pereira;Souza, Claudia Regina Fernandes;Guimaraes, Luis Henrique Souz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2호
    • /
    • pp.177-187
    • /
    • 2014
  • Microbial phytases are enzymes with biotechnological interest for the feed industry. In this article, the effect of spray-drying conditions on the stability and activity of extracellular phytase produced by R. microsporus var. microsporus biofilm is described. The phytase was spray-dried in the presence of starch, corn meal (> $150{\mu}m$), soy bean meal (SB), corn meal (< $150{\mu}m$) (CM), and maltodextrin as drying adjuvants. The residual enzyme activity after drying ranged from 10.7% to 60.4%, with SB and CM standing out as stabilizing agents. Water concentration and residual enzyme activity were determined in obtained powders as a function of the drying condition. When exposed to different pH values, the SB and CM products were stable, with residual activity above 50% in the pH range from 4.5 to 8.5 for 60 min. The use of CM as drying adjuvant promoted the best retention of enzymatic activity compared with SB. Spray drying of the R. microsporus var. microsporus phytase using different drying adjuvants showed interesting results, being quite feasible with regards their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especially for poultry diets.

열풍건조 및 분무건조 공정을 이용한 생 고구마와 찐 고구마 분말제조 및 물리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Hot Air-Dried and Spray-Dried Powders Process of Sweet Potato and Steamed Sweet Potato)

  • 구율리;채호용;홍주헌
    •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0-1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베니하루카 고구마를 식품가공용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열풍건조 및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하여 생 고구마 및 찐 고구마 분말을 제조하였고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구마 분말의 수분함량은 1.66~2.19%이고, 색도는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의 L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b값이 낮게 나타났다. 전분함량은 52.65~57.41%로 찌는 과정을 통해 증가하였으며, 열풍건조 분말(52.65 및 53.61%)보다 분무건조 분말(54.44 및 57.41%)의 전분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수분흡수지수 및 수분용해지수는 찌는 과정을 통해 증가하였고 분무건조 분말이 열풍건조 분말에 비해 수분흡수지수는 낮고 수분용해지수는 높게 분석되었다. 분말의 입자크기는 분무건조 분말(46.18 및 $65.53{\mu}m$)이 열풍건조 분말(175.35 및 $620.87{\mu}m$)보다 유의적으로 크기가 작게 나타났으며, 입자표면구조는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의 입자 크기가 균일하고 미세한 분말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분말의 열적 특성에서 호화개시온도, 최대호화온도, 호화종결온도 및 호화엔탈비 값은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이 높게 나타났다. 용해도는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이 낮게 나타났으나, 팽윤력은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이 높게 나타났다. 고구마분말의 amylose 함량은 11.67~19.06%로 열풍건조 분말(19.01 및 19.16%)보다 분무건조 분말(11.67 및 12.51%)이 낮게 나타났으며, 식이섬유 함량은 열풍건조 분말(1.12 및 1.64%)보다 분무건조 분말(1.34 및 2.02%)에서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스팀 처리후 분무건조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구마 분말은 가공적성이 향상되었고, 전분 및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증가하여 기능성이 증진된 식품가공용 소재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Maltodextrin류의 표면도포에 의한 냉동전분의 Microwave 가열특성 개선 (Improvement of Microwave Heating Properties of Frozen Starch by Spray of Surface Materials)

  • 김은미;한혜경;김인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35-1040
    • /
    • 2005
  •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는 간편 조작 및 조리시간 단축 등의 장점이 있으나, 전자파에 의한 급격한 온도상승으로 식품, 특히 전분성 냉동식품 등의 표면에 급격한 수분증발을 유도하여 식품의 식감저하 및 품질저하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를 개선하고자 4종의 도포제를 전분표면에 도포하여 저장 및 전자레인지 가열에 의한 수분을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조건별로 제조된 시료들을 저장조건 즉 저장온도별$(0,\;20,\;-50^{\circ}C)$, 저장기간(90일)을 달리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시료의 물성측정 결과 0, $-20^{\circ}C$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hardness, brittleness, cohesiveness 등이 증가되었고, tapioca(TA) 혼합첨가구의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brittleness, cohesiveness 등이 기본반죽물(Control)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A 혼합첨가구 중에서도 $7\%$ M3를 도포한 시료(TM)의 물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어 TA첨가 및 $7\%$ M3도포가 전자레인지 가열 조리에 의한 품질저하방지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열전 위 변화는 저 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호화개시 온도(To)는 낮은 쪽으로 이동하고, 엔탈피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endothermic peak의 면적도 함께 증가하였다. 또한 다른 시료들에 비해 TM의 흡열엔탈피 $({\Delta}H)$가 낮은 것으로 보아 $7\%\;M3$의 도포가 표면의 품질저하방지(경화억제)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SEM을 이용한 미세구조관찰 시에도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장된 냉동전분들의 물성 및 노화정도를 측정한 결과 control보다는 도포제가 도포가 되지 않은 TN과 TM의 효과가 더 좋았으며, 그 중 $7\%\;M3$가 도포된 TM이 전자레인지 가열조리에 따른 품질개선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Fluidized bed granulation을 이용한 참기름의 저온 미세캡슐화 (Low-Temperature Microencapsulation of Sesame Oil Using Fluidized Bed Granulation)

  • 정찬민;이민경;이현아;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7-31
    • /
    • 2009
  • 식품의 원료인 참기름을 캡슐화하기 위해 전보(11)에서 최적화한 model system을 기초로 피복물질을 선정하고 이에 3%의 gellan gum을 첨가한 후 유화압력을 20.7 MPa로 하여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top spray dryer와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공정으로 캡슐을 제조하여 캡슐화 수율, surface oil, 수분함량, 입자 크기, 캡슐의 저장 안정성 및 제품 응용성을 비교하였다.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캡슐은 top spray dryer에 의한 캡슐보다 상대적으로 surface oil 함량이 낮고 수율이 높으며 입자 크기가 컸다. 제조한 캡슐을 $37^{\circ}C$에서 저장하면서 flavor retention을 측정한 결과 참기름 원료 자체를 저장한 경우 향기 성분은 1% 이하의 잔존 함량을 나타내어 대부분의 향기 성분이 소실되었다고 보았으나, top spray dryer와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캡슐은 각각 37%, 42%의 향기성분을 보유하여 향기 성분 포집성 및 보존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쇠고기 죽 제품에 응용한 후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참기름 캡슐을 사용한 제품들이 모두 참기름 원료 자체를 사용한 제품보다 풍미의 강도 및 기호도면에서 모두 높았고 특히 fluidized bed granulator를 이용하여 제조한 캡슐을 사용한 제품이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참기름 원료와 같이 향기 성분이 소실 되기 쉬운 소재를 fluidized bed granulator를 이용하여 저온 미세 캡슐화하면 풍미의 안정성 증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한 유산균포집 미분의 제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ay-dried rice flour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CGKW3)

  • 박혜미;이대훈;정유석;정희경;조재곤;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92-39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쌀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쌀 가공제품 개발시 기능성 및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분을 제공하고자 분무건조공정에 의해 유산균을 포집한 미분을 제조하였으며 유산균포집 미분의 품질특성 및 유산균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유산균포집 미분의 제조는 미분을 24시간 배양한 유산균 배양액 대비 각각 10%, 20%, 30% 및 50%(w/v)을 첨가하여 분무건조하였다. 유산균포집 미분의 아밀로오즈함량 및 손상전분함량은 각각 14.18~17.75% 및 24.65~34.08%이었다. 유산균포집 미분의 입자크기는 $82.28{\sim}131.17{\mu}m$로 미세캡슐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구형의 모양을 보여주어 분말 흐름성이 양호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분함량의 경우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3.34%)에 비하여 유산균포집 미분이 2.32~2.62%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수분흡수지수 및 수분용해지수 측정결과 유산균포집 미분제조시 흡습성이 낮고 용해성이 양호한 분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시차주사열량계에 의한 호화특성을 측정한 결과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호화에 필요한 호화엔탈피가 높아 취반 특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산균포집 미분의 유산균 포집특성을 확인한 결과, 미분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60.02~73.85%로 유의적으로 높은 유산균 생존율을 보여주어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50% 미분을 첨가한 유산균포집 미분의 유산균수, pH 및 산도는 각각 7.11 log CFU/g, pH 4.11 및 0.31%이었으며, 이를 통해 기능성이 향상된 유산균포집 미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한 유산균포집 미분은 쌀 가공제품 개발시 기능성 및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분의 제조가 가능하고 유산균 안정성이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월동 및 해동기 뽕나무의 생화학적 물질의 변동과 내동성과의 관계 (Studies on the Change of Biochemical Components during Wintering and Thawing Periods and Cold Hardiness of Mulberry(Morus))

  • 최영철;류근섭;안영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1
    • /
    • 1997
  • In relations to cold acclim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seasonal changes in reserve substances of the mulberry. The shoot barks and leaves of three mulberry varieties(Kaeryangppong, Shinilppong and Yongcheonppong) were sampled, after that their reserve substances were analyzed. The cold hardiness of mulberry was investigated by DTA(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method. To increase cold hardiness, gibberellin(100 ppm), kinetin(100 ppm) and Jambi 8 were sprayed on the mulberry leaves. After spraying, falling of the leaves of Yongcheonppong occured earier than the other varities. After the first frost, all of treatments except gibberellin were entirely fallen. Growth regulator extended the leaves fallen. After spraying, water of the shoot barks was not showed difference in the content among the treatments, but amino acid, carbohydrate and soluble protein increased from September to October. Starch content of the shoot barks and leaves was maximum in October, but thereafter decreased during wintering stage. In Shinilppong, Jambi 8 spray increased cold hardiness by 1-2$^{\circ}C$ more than no spray. It was concluded that the cold hardiness of the mulberry in midwinter is closely related to the reserve substances with spraying Jambi 8 on the mulberry leav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