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ing crops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5초

재래종 잎담배의 물질생산 및 생육해석 I. 물질생산요인의 개채군별 품종간차이 (Dry Matter Production and Growth Analysis of Nicotiana tabacum L. (Local Leaf Tobacco) I. Varietal Difference on Individual Population in Factors of Dry Matter Production.)

  • 안대진;신승구;민영근;유익상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24
    • /
    • 1983
  • Varietal difference of crop stand, growth of each organs and the factors of dry matter Production at different growth stage of three local tobacco varieties (Hyangcho, Youngwolyub and Yonginyub) were investigated in 1979 and 1980. Varietal variation of total standing crops was clear from 45th day after transplanting to end maximum value of photosyntheticinon-photosynthetic organs was Hyangcho: 1.9, Youngwolyub; 1.6, Yonginyub; 2.3. Maximum value of L/S and T/R ratio was clear from 35th day after transplanting to 45th day. RGR, NAR and CGR were in decreasing order of Yonginyub) Youngwolyub)Hyangcho through out growth stage, LAR and SLA were in decreasing from early growth stage to last growth stage, LAI was obtained to maximum value in the large growth state and LAI was increasing order of during the total growth period that it was Hyangcho is 7.6. Youngwolyub is 9.1 and Yonginyub is 8.7, SLA was Hyangcho;$2.088\textrm{cm}^2$/g/leaf, Youngwclyub;$2.173\textrm{cm}^2$/g/leaf and Yonginyub;$2.020\textrm{cm}^2$/g/leaf, respectively.

  • PDF

전복치패 부착파판에서 저서미소조류 엽록소 및 갈색소의 년변화 (Annual Variation of Chlorophyll a and Pheopigments of the Benthic Microalgae on the Corrugated PVC Sheets for Abalone Seedlings)

  • 나기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5-71
    • /
    • 1996
  • PVC 파판에서 초기전복치패의 먹이생물인 저서미소조류의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1984년 1월부터 12월까지 France Bourneuf만의 굴 양성지에 파판을 수하하여 파판에 부착 발생된 저소미소조류의 엽록소 a와 갈색소를 분석하였다. 저서미소조류의 생체량을 엽록소의 양으로 추정하고, 생리상태를 갈색소의 백분율로 나타낼때 생체량은 제절에따라 겨울에는 파판의 수하시간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고수온기인 여름에는 저서미소조류의 군집이 빠르게 노쇠되어 매 2주마다 최대치를 나타내는 양상을 보였다. 갈색소의 백분율은 봄과 가을에 낮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나, 여름 고수온기에는 군집의 빠른 노쇠로 인하여 백분율은 최대치를 나타내어 군집의 활성이 저하되었으며, 생체량과 갈색소의 백분율을 고려할 때 5, 6월과 9, 10월에 전복의 산란이 이루어지는 것은 저서미소조류를 먹이로 하는 초기부착치패에게 영양적으로 종은 균형을 이루게 한다.

  • PDF

서해 천수만의 식물플랑크톤에 대하여 (On Phytoplankton Of The Cheonsu Bay, West Coast)

  • 심재형;이원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4
    • /
    • 1979
  • 해양 식물플랑크톤은 해양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생산자로서 해양생물 및 해양환경에 지극히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식물 플랑크톤은 해양의 생태를 연구함에 있어 중요하고도 우선되는 연구 대상이다. 한국에서는 Skvortzow(1931) 및 산전(1933)가 처음으로 해양 식물플랑크톤을 연구한 이래, 상천(1934), 소구보(1938), 창무(1943, 1944), 박(1956a,b), 최(1966, 1967, 1969, 1972), 엄 유(1967), 이 심 김 (1967), 박 김(1967), 방(1967), 최(1969, 1970), 정 심 이(1970, 1971), 정(1969), 유외(1975), 유 이(1976), 유(1977), 정 이(1977) 등으로 연구가 계속되어 오고 있다.

  • PDF

리기다 소나무 인공조림지의 물질생산량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Biomass and Production in Man-made Pitch Pine Plantation in Korea)

  • 임경빈;이경재;권태호;박인협
    • 임산에너지
    • /
    • 제2권2호
    • /
    • pp.1-12
    • /
    • 1982
  • To study tile comparison of aboveground biomass of Pinus rigida Mill. of 18-year-old, plantations located in Whaseong, Yuseong and Wanju district were selected. Ten sample trees in each district selected taking account of DBH distribution were felled carefully to minimize loss of branches and stem analysed by 1m lag segment sectioned from base . The tree height and DBH were measured for sample trees in total growing within $200m^2$ experimental plot. The diagram of oven-dry weight distribution of stem, branch and needle for each 1m segment was constructed. The logarithmic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dry weight of each component and the two variables, $DBH^2$ and tree height, combined term were presented. The standing crops in the sample stand was estimated to be as much as 23.88, 54.09 and 42.68 tons of dry matter, above ground , per ha in Whaseong, Yuseong anf Wanju district respectively. Annual net production was estimated at 253,657 and 3.65 tons per ha per year respectively. The net assimilation rate was 1.65,1.95 and 1.81 kg/kg/yr in Whaseong, Yuseong and Wanju district respectively. The efficency of leaf to produce stem was 0.99, 1.12 and 1.30 kg/kg/yr respectively.

  • PDF

회야강(울산)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The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Hoeya River (Ulsan))

  • 최철만;배진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49-154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Hoeya river(Ulsan) from March 2000 to February 2001. The taxa of phytoplankton identified included 135 species, 5 divisions, 33 families and 82 genera. Among them, chrysophyta(diatoms) were 63 species(46.7%), chlorophyta(green algae) 47 species(34.8%), pyrrophyta(dinoflagellates) 13 species(9.6%), cyanophyta (cyanobacteria) 8 species(5.9%) and euglenophyta(euglenoids) 4 species(3.0%) respectively. Ecological important species is called frequently appearing species, red tide causative species, seawater species and pollution indicator. 22 species including Aulacoseira granulate were recorded frequently appearing species. 19 species including Ceratium furca were recorded as red tide causing species. And the pollution indicators were 33 species including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uviatile. The highest standing crops were 3,103,441 cells/$\ell$ in August at the RW-1 and the lowest 1,245 cells/ $\ell$ in January at the RW-5. In the community analysis, the dominanance indices ranged from 0.34(October, RW-2) to 0.94(January, RW-1) and the diversity indices from 0.50(May, RW-2) to 2.57(September, RW-2). The saprobic indices were 2.43 in RW-1, 2.41 in RW-2, 2.375 in RW-3, 2.40 in RW-4, 2.43, in RW-5. Therefore, these areas were investigated "$\beta$-mesosaprobic". According to the similarity index among the stations, these areas were defined as residential district areas(RW-2 and RW-3), lower part of the dam (RW-1) and seawater areas(RW-4 and RW-5).

인공메소코즘에서 동물플랑크톤의 섭식압에 대한 어류의 영향 (Effects of Fish on the Grazing Pressure of Zooplankton in the Artificial Mesocosms)

  • 임지혁;손세환;김진영;오민우;남귀숙;송영희;이옥민;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76-783
    • /
    • 2011
  • In a natural water body, a useful ecotechnology to reduce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is to strengthen the top-down force of zooplankton. However, the predation of fish for zooplankton can make the force wea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fish on the grazing pressure of zooplankton in the mesocosms established in a eutrophic stream (Kyongan Stream) from October to November in 2010. In the corral with fish,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creased, and a small size cladoceran Bosmina longirostris was dominant. In the corral without fish, chlorophyll a concentration decreased along with the domination of a large cladoceran Daphnia galeata and a large copepod Eudiaptomus japonicus. The size-selective predation of fish appeared to miniaturize the zooplankton community, to narrow their food-size spectrum, and to weaken the top-down force.

진해만 서부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The Characteristics on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Western Jinhae Bay, Korea)

  • 유만호;송태윤;김은수;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4호
    • /
    • pp.305-314
    • /
    • 2007
  • 남해 진해만 서부해역에서 2003년 11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식물플랑크톤의 시 공간 분포특성 및 해양환경요인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해양환경요인은 균일한 공간분포를 보였고, 식물플랑크톤 종조성은 돌말류와 와편모류가 주를 이루었으며 개체수는 연간 $16{\times}10^3\;cells\;l^{-1}{\sim}5,845{\times}10^3\;cells\;l^{-1}$(평균 $555{\times}10^3\;cells\;l^{-1})의 범위로 변화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대발생은 고현항 내측수역에서 하계에 발생하였다. 계절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2월(동계)과 8월(하계)에 높고, 5월(춘계)과 11월(추계)에 낮았다. 연구기간동안 Skeletonema costatum, Akashiwo sanguinea, Pseudo-nitzschia pungens, Dactyliosolen sp., Leptocylindrus danicus, cryptomonads 등이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특히, S. costatum은 하계에 극우점하여 출현하였으며, A. sanguinea(추계와 춘계), Pseudo-nitzschia sp.(하계), Guinardia striata(춘계), 미동정 편모류(하계), cryptomonads(춘계) 등은 특정시기에 높은 우점률을 보였다. Chl a 농도는 연간 $0.6{\mu}g{\cdot}l^{-1}{\sim}16.7{\mu}g{\cdot}l^{-1}$(평균 $3.4{\mu}g{\cdot}l^{-1}$)로 나타났다. 정준대응분석 결과 진해만 서부해역은 크게 두 개의 수역(고현항 내측과 외측)으로 나눠지며, 높은 밀도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Chl a 농도를 보인 고현항 내측의 경우 수온, 용존산소, 영양염류($SiO^2$, TN, TP and etc.) 등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환경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현항 내측수괴는 동계에 가조도와 칠천도 사이의 중앙 수역까지 확장되어 나타났다.

한국산(韓國産) 왕대나무의 현존량(現存量)과 토양(土壤) 미세균류상(微細菌類相) (The Standing Crops and Soil-borne Microfungal Flora of Phyllostachys reticulata in Korea)

  • 김관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1-116
    • /
    • 1979
  • 본(本) 연구(硏究)는 예산지역(禮山地域)(A)과 광산지역(光山地域)(B)의 왕대나무(Phyllostachys reticulata)의 현존량(現存量)과 그 토양(土壤) 미세균류상(微細菌類相)을 조사(調査)한 것이다. 왕대나무의 죽림밀도(竹林密度)는 예산지역(禮山地域)이 17,250본(本)/ha이며 광산지역(光山地域)이 14,780본(本)/ha으로서 예산지역(禮山地域)이 16.1%가 많았다. 양지역(兩地域)의 환경요인(環境要因)은 B지역(地域)의 생장기간(生長期間)의 평균기온(平均氣溫)이 A지역(地域)보다 $1.5{\sim}2^{\circ}C$가 높았고 토양온도(土壤溫度)도 $1{\sim}2^{\circ}C$가 높았으며 토양내(土壤內)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전실소(全室素), 인산(燐酸) 및 유기물질량(有機物質量)도 약간(若干)많았다. 또 B지역(地域)에서는 낙엽량(落葉量)과 부식량(腐植量) 그리고 죽림내(竹林內)의 식생수량(植生數量)도 많았으며 죽림지(竹林地)에서 환원(還元)되는 각종(各種) 유기물(有機物) 분해(分解)에 관여(關與)하는 미세균류(微細菌類)도 Mortierella elongata, Mucor circinelloides, Aspergillus japonicus, Penicillium waksmani and Trichoderma lignorum등의 5종(種)이 더 많았다. 온도(溫度)는 죽림내부(竹林內部)로 들어 갈수록 낮았고 습도(濕度)는 높았다. 죽림내(竹林內)의 상대조도(相對照度)의 비율(比率)은 A지역(地域)이 4.19% B지역(地域)이 2.7%로서 하단분(下端部)에서는 모두 광합성작용(光合成作用)을 할 수 있는 능력(能力)이 상실(喪失)되었으나 조도(照度)가 약(弱)할수록 표토(表土)근처에서 서식(棲息)하는 미세균류(微細菌類)는 오히려 활동력(活動力)을 강(强)하게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생산구조도(生産構造圖)에서 B지역(地域)의 광합성부(光合成部)의 최대량(最大量)이 대나무 지상부(地上部)의 상단(上端)에 위치(位置)하고 있어서 높은 생산량(生産量)을 유지(維持)하는데 효과적(效果約)인 구조(構造)였다고 생각된다. A,B지역(地域) 죽림(竹林)에서 $D^2H$, $w_s,\;w_b$, 및 $w_l$ 상대생장식(相對生長式)을 유도(誘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지역(地域) $logw_s=0.5262\;logD^2H+1.9546$ $logw_b=0.6288\;logD^2H+1.5723$ $logw_l=0.5181\;logD^2H+1.8732$ B지역(地域) $logw_s=0.5433\;logD^2H+1.8610$ $logw_b=0.1630\;logD^2H+2.3475$ $logw_l=0.4509\;logD^2H+2.0041$ 상기(上記)한 식(式)을 적용(適用)하여 10a당 현존량(現存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A지역(地域) $w_s=1128.83kg,\;w_b=689.05kg,\;w_l=926.69kg$ 으로 $w_e=2744.57kg$이었고, B지역(地域) $w_s=1206.66kg,\;w_b=679.92kg,\;w_l=1112.51kg$으로 $w_t=2999kg$이였다. 따라서 A,B양지역간(兩地域間)에 있어서 $D^2H,\;w_s,\;w_b$, 및 $w_l$의 현존량(現存量)을 비교한 결과(結果)(t-test), $D^2H,\;w_s,\;w_b,\;w_l$에서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되었으나 $w_b$는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토양생(土壤生) 미세균류(微細菌類)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58균주(菌株)를 분리(分離)하고 55종(種)을 동정(同定)하였다. 그 중 A지역(地域) 50종(種), B지역(地域) 55종(種)으로 양지역(兩地域)의 우점종(優占種)들은 다음과 같다. Trichoderma viride, Penicillium janthinellum, P. commune, Aspergillus oryzae, A. niger, A. gigantus, A. fumigatus, Mortierella ramaniana, var. anguliFPora, Mucor hiemalis와 Zygorhynchus moelleri.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 의(依)하면 토성(土性)이 좋고 토양양료(土壤養料) 및 토양생(土壤生) 미세균류(微細菌類)의 증가(增加) 그리고 생육기간(生育期間)의 온도(溫度)가 왕대나무의 생장(生長)이나 임상식물(林床植物)의 종(種)과 양(量)을 증가(增加)시킨 것으로 나타났고 왕대나무의 현존량(現存量)과 환경요인(環境要因)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이들의 모든 요인(要因)이 상호연관(相互連關)을 갖고 복잡(複雜)하게 작용(作用)한 것으로 보며 더욱 죽림밀도(竹林密度)가 중용(重要)한 인자(因子)로 작용(作用)한 것같다.

  • PDF

관리(管理)를 중단(中斷)한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I. 관리(管理)를 중단(中斷)한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식생구성(植生構成), 생태적(生態的) 반응(反應) 및 사료가(飼料價)의 변화(變化) (Studies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Hilly Pasture I. Changes in the botanical composition, ecological behaviour and forage value of vegetation in abandoned hilly pasture)

  • 박근제;윤세형;이종경;김맹중;강우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9-336
    • /
    • 1998
  • 본(本) 시험(試驗)은 산지초지(山地草地)에서 관리(管理)를 포기(抛棄)한 후 초지(草地)의 식생(植生), 생태적(生態的) 반응(反應), 초지(草地)의 사료가(飼料價) 및 현존량(現存量)의 변화를 조사하여 산지초지(山地草地) 관리(管理)에 이용코자 1993년부터 1996년까지 경기도 여주 야산지(野山地)에 조성(造成)한 초지(草地)에서 수행(遂行)되었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지(草地)의 식생구성(植生構成)은 정지초지(整地草地)나 임간초지(林間草地) 모두 방치후(放置後) 야초(野草)와 관목류(灌木類)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목초(牧草)는 비교적 빨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초지(草地)의 수분가(水分價), 토양반응가(土壤反應價) 및 질소가(窒素價) 등 초지의 생태적(生態的) 반응(反應)은 미세지형(微細地形) 정지초지(整地草地) 및 임간초지(林間草地) 공히 크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3. 초지(草地)의 사료가(飼料價)는 방치전(放置前) 정지초지(整地草地)는 7.06에서 방치후(放置後) 3년차는 4.60으로 임간초지(林間草地)는 방치전(放置前) 6.81에서 방치후(放置後) 3년차에는 4.38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4. 초지(草地)의 현존식생(現存植生) 생초량(生草量)은 방치전(放置前) $1.63{\sim}1.48kg/m^2$에 비하여 방치후(放置後) 3년차에는 $0.84{\sim}0.68kg/m^2$으로 48.5~54.1% 감소되었다.

  • PDF

남매지의 수환경 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인 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Environment Factors and Phytoplankton in Nammae Reservoir)

  • 박정원;이영옥;김미경
    • 생태와환경
    • /
    • 제36권1호통권102호
    • /
    • pp.48-56
    • /
    • 2003
  • 경북 경산시에서 농업용수로 이용되는 남매지의 3개 정점을 선정하여 2000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하였다. 다양한 이화학적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의 엽록소 a, b, a 농도 및 현존지 매월1회 조사량의 상호관계를 통해 남매지 생태계의 계절적 변화를 파악하였다. 엽록소 a, b와 c의 농도가 6월에 정점 1에서 각각 최고치 (295nlg/1, 9.Smg/1, 48mg/1)를 나타냈고, 식물플랑크톤은 현존량이 정점 3에서 여름에 가장 높았다(7월: $1.7{\time}10^5$scells/1). 수온 분포는 $7{\sim}37.4^{\circ}C$ 범위 이었다. 수소이온 농도는 8월에 $9.9{\sim}10.1$ 범위로 최고치를 나타냈고, 최저는 7로서 9월이었다. SS저는의 최대 및 최 정점 1에서 6월과 11월에 각각 308 mg/1, 4 mg/1이었다. COD와 DOC는 동일한 정점에서 6월에 각각 33mg/1와 16mg/1로 높았다. 식물플랑크톤의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는 7${\sim}$8월에, 녹조류 Scenedesmus acutus는 3${\sim}$5월과 11l${\sim}$1월에, 규조류 Cyclotella orientalis는 10월에 각각가장 우점종하였고, 인산이온과 규산이온의 농도는 여름에 비교적 높은 반면에 가을과 겨울에 전반적으로 낮았다. TSI는 16.6${\sim}$86.4범위로서 전 정점이 부영양화 혹은 과영양화 상태이었고, 유역관리가 선행된 지속적인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