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Precautions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4초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병원감염관리 표준지침의 인지와 수행에 관한 연구 (Cognition and Practice of Standard Precautions towards Hospital Infection Control in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 김진욱;김윤신;지현경;배기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64-273
    • /
    • 2014
  •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표준지침 인지 및 수행을 파악하여, 감염관리 인식도를 높이고, 표준지침 인지 및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감염관리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2년 3월 20일부터 4월25일까지 충청도 소재 응급구조(학)과 재학생 중 임상실습을 마친 2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PSS Inc,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별, 감염관리 교육 경험, 감염관리 교육기관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표준지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혈액, 체액, 점막, 또는 상처가 있는 피부에 접촉한 경험 횟수, 표준지침 인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표준지침에 대한 인지는 비교적 높은 반면 대부분의 영역과 항목에서 인지보다 수행이 낮았으며, 무경험의 비율이 높은 항목도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표준지침 인지 및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교육을 통해 표준지침 인지와 수행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사의 소명의식, 지각된 위험, 표준주의지침 수행 및 소진 (Nurses' Calling, Perceived Risk,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and Burnout in the COVID-19 Pandemic)

  • 정현;고영혜;이미현;정미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65-74
    • /
    • 2023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소명의식, COVID-19 관련 지각된 위협과 표준주의지침 수행이 COVID-19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융합연구이다. 간호사 21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병원간호사의 COVID-19 지각된 위협이 높을수록 COVID-19 소진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COVID-19 소진의 주요 영향 요인은 COVID-19 지각된 위협(𝛽=.233)과 근무부서(𝛽=.154)로 나타났으며, COVID-19 소진의 6.9%를 설명하였다. 간호사의 소명의식과 표준주의지침 수행은 COVID-19 소진의 유의한 영향 변수가 아니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COVID-19 지각된 위협을 감소시키기 위해 간호교육 등의 조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한방병원의 봉약침 시술 동의서의 사용 현황과 표준 시술 동의서 개발에 대한 제안 (Usage of informed consent form for Bee-venom pharmacopuncture Therapy at korean medicine hospitals and Proposal for development of a standard informed consent form.)

  • 김민정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66-80
    • /
    • 2020
  •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sent form for bee-venom pharmacopuncture therapy, which is using in Korean medicine hospitals. We suggest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informed consent form. Metho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status of using informed consent form was identified at 24 Korean medicine hospitals. We analyze different types of informed consent form, which was developed by each hospitals. We investigated the types of informed consent forms for various medical procedures through electronic searches. A standard informed consent form for bee-venom pharmacopuncture therapy was developed based on the medical law and the standard informed consent form for medical procedures developed by Korea Fair Trade Mediation Agency. Result: In our survey, 65% of the hospitals do not use consent well, only 35% of the hospitals use informed consent form, and the most hospitals use self-developed informed consent for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informed consent form used in each hospitals, the explanation of diagnosis, treatment precautions, suggestions for other treatments, consequences of not performing the scheduled procedure, possibility of treatment change was insufficient. 48% of hospitals manage consent in recording on a chart, 39% in scanned documents, and 13% in digital electronic consent form. Conclusion: A standard informed consent form for Bee-venom pharmacopuncture therapy include diagnosis, effectivness, necessity, indications, method, skin reaction test, hypersensitivity questionnaire, treatment precautions, possible hypersensitivity reactions and countermeasures, suggestions for other treatments, consequences of not performing the scheduled procedure, possibility of treatment change and the name of doctor.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ors for Standard Precautions Compliance in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mong Nursing students)

  • 김명숙;김진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569-58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지역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통제, 표준주의 행위 의도 및 수행정도를 파악하고, 그들의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일 광역시 3개 간호학과 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 점수의 평균 정답률은 87.0%였으며, 표준주의 수행 점수는 5점 만점에 4.30점이었다. 표준주의 지식점수와 표준주의 수행 점수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고, 표준주의 수행과 표준주의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통제와 행위의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간호학생들의 감염관리 표준주의 수행을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했던 변수는 행위의도와 지각된 행위통제였으며 이들 변수가 그들의 표준주의 수행의 21.9%를 설명하였다. 간호학생들의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과 수행은 수용가능한 수준이었으나, 지각된 행위통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간호학생들의 표준주의 행위의도와 지각된 행위통제를 증가시킴으로써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교수학습법을 활용한 간호학생들을 위한 표준주의 지침 수행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 및 평가가 요구된다.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융합적 연구 : 건강신념모델 기반 (A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Standard Precautions: Focusing on the Health Belief Model)

  • 김미자;윤선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77-88
    • /
    • 2018
  • 신종 감염병에 직면하고 있는 의료종사자들을 보호하고, 모든 의료 환경에서 전염병 전파를 막기 위한 표준주의는 미래의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들에게 감염병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중요하다. 이에 간호대학생들의 표준주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시기는 2016년 5월부터 6월까지이며,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대학생 291명이다.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신념 하위요인 중 지각된 이익(4.2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표준주의 지식점수는 정답률 78.9%이었고, 태도 수준(4점 척도)은 평균 3.63점 이었다.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 자기효능감,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이 표준주의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건강신념의 하위요인 중 지각된 민감성(${\beta}=.152$, p<.05)과 지각된 장애(${\beta}=-.125$, p<.05)가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에 대한 태도(F= 5.680, p<.001)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에 대한 태도 수준을 높이기 위해 간호대학생에게 건강신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융합적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팬데믹에 대한 윤리인식과 표준주의 건강신념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ical Awareness about Pandemic and Health Beliefs of Standard Precaution on the Performance Standard Precaution of Nursing Students)

  • 최동원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137-145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팬데믹에 대한 윤리인식과 표준주의 건강신념 요인을 조사하고, 이들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3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163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의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및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표준주의 수행도는 윤리인식(r=.17, p=.033), 지각된 민감성(r=.33, p<.001), 지각된 심각성(r=.24, p=.003) 및 지각된 유익성(r=.35,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지각된 장애성(r=-.31,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8.09, p<.001), 지각된 유익성(β=.20, p=.014)과 지각된 장애성(β=-.20, p=.008)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8.1%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 윤리인식과 함께 표준주의 건강신념 요인 중 유익성 및 장애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간호학생의 의료관련감염예방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 최종림;고일선;임영이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6-148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level of nursing students' awareness, attitude, safety climate,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239 nursing students from 5 nursing school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5 to December 11, 2013 and analyzed by frequenc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with SPSS/WIN 21.0. Results: Of the participants, 216 (90.4%) had experienced contact with infectious diseases. The performance of personal hygiene was scored the highest followed by standard precautions, transmission precautions, and vaccination.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wareness, attitude, safety-climate and performance. Awareness, safety-climate, attitude, contents of infection control education, and direct exposure to infectious disease collectively explained 30% of the variance in performance, and awarenes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by nursing students can be increased if awareness, safety climate, attitude, and contents of infection control education are improved, and exposure to infectious disease is decreased.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improve performance by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for infection control.

Occupational Exposure to Potentially Infectious Biological Material Among Physicians, Dentists, and Nurses at a University

  • Reis, Leonardo Amaral;La-Rotta, Ehidee Isabel Gomez;Diniz, Priscilla Barbosa;Aoki, Francisco Hideo;Jorge, Jacks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0권4호
    • /
    • pp.445-451
    • /
    • 2019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accidents with biological material, the level of knowledge, and compliance to standard precautions (SPs) among dentists, physicians, nurses, and dental and medical students. Methods: A closed cohort study with a prospective and retrospective component was conducted between August 2014 and September 2015. The participants were contacted in two moments during the follow-up period, during which a structured questionnaire divided into six sections was use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Month 6) and at the end of the observation period (Month 12). Results: The global prevalence of accidents in the previous 12 months was 10.2%, with a difference between professionals and students (13.0% vs. 5.1%, respectively; p < 0.003). The incidence rate was 6.49 per 100 person/year, with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6.09 per 100 person/year in professionals and 7.26 per 100 person/year in students), type of specialization (hazard ratio, 3.27), and hours worked per week (hazard ratio, 2.27). The mean of compliance to SP was 31.99 (±3.85) points, with a median of 33 (30, 35) points against the expected 27.75 points. Adherence to SP was associated with the accident report (p < 0.020).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proportion/incidence rate of accidents with biological material was high in relation to that in the literature, being higher in professionals and especially among physicians. The levels of knowledge and adherence to SP were good, with the best found in dentists and dental students.

고조파전류 측정에 근거한 국내 고조파 관리기준 검토 (Examination of the domestic harmonic standard introduction based on measurement of harmonic current)

  • 박용업;강문호;이남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539-540
    • /
    • 2007
  • In order to increase an efficiency of electric machine, the power electric devices are rapidly increasing of late. These electric components are mainly caused to lower of power quality. To take precautions against lower of power quality, the advanced countries already made effort to control of harmonic level. For these harmonic control of advanced countries have applied harmonic planning level, emission of harmonic based on the technical calculation and experiment.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the introduction abroad advanced country standard through compared IEEE, IEC with the real measurement of domestic harmonic level.

  • PDF

중소병원 임상간호사의 감염관리 지식과 표준주의 수행도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nd Standard Precaution Practice among Clinical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 이순희;양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07-11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 지식, 표준주의 수행도를 파악하고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 방법으로 7개 중소병원 간호사 25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감염관리 지식은 평균 7.25점, 표준주의 수행도는 평균 3.61점이었으며, 임상경력(r=.123, p=.047)과 직위(F=5.356, p=.005)에 따라 표준주의 수행도에 차이를 보였다. 감염관리 지식과 표준주의 수행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421, p<.001),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위(β=-.187, p=.025)와 감염관리 지식(β=.408, p<.001)으로 나타났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의료관련감염 관리를 위한 표준주의 수행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에 대한 융복합 교육이 요구된다.